2025년 05월 14일 영어 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47473
Source Text: "An Overview of Architecture as the Confluence of Arts,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and Politics", Journal of Architecture and Planning, 2017.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In the current trend where the integrity and primary role of Architecture is seriously challenged by specialized research and partial interpretations, there is a growing need to articulate a body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capable of reconciling the fragmented areas of knowledge within the given reality of our history and culture of Architecture as Arts,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and politics. However, to some extent, with certain tendencies in development of Architectural theory and philosophy which take into account not only the physical __EXPRESSION__ of shelter or building but also its concepts, as well as psychological aspect of human, cultural, politic and environmental nature at specific condition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overview through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as a discipline rooted in Arts,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and politics and visualize their point of confluence, ___________________ which must be thoroughly considered before any decision or concept in design is finalized and implemented.
*reconciling: 조화시키는, 통합하는 **confluence: 합류, 융합, 여러 요소의 통합점
Options
(1) as a means of systematically classifying architectural projects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 purposes
(2) as the most fundamental access to the given reality of Architecture of modern times
(3) as an essential process for reconciling diverse knowledge areas within architectural discourse
(4) as the primary strategy to distinguish architecture from other creative disciplines in academia
(5) as an educational framework that fosters balanced integration of artistic and technological elements
Answer
(2)
[정답 해설]
정답은 (2) "as the most fundamental access to the given reality of Architecture of modern times(현대 건축의 주어진 현실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접근으로서)"입니다.
이 지문의 핵심 개념은 '조화시키는(reconciling)'과 '융합(confluence)'으로, 건축학을 다양한 분야가 통합된 학문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문은 건축학이 전문화된 연구와 부분적 해석으로 인해 그 통합성이 도전받고 있다는 문제 인식에서 시작하여, 건축학을 예술, 과학, 기술, 환경, 정치가 융합된 종합적 학문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문장의 앞부분에서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rchitecture as a discipline rooted in Arts, science technology, environment and politics and visualize their point of confluence(예술, 과학 기술, 환경, 정치에 뿌리를 둔 학문으로서 건축에 대한 포괄적 이해와 이들의 융합점을 시각화하는 것)"이라고 언급하며, 이러한 종합적 이해가 "현대 건축의 주어진 현실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접근"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의 첫 부분에서 언급한 "the given reality of our history and culture of Architecture(우리의 역사와 건축 문화의 주어진 현실)"과 일관된 표현으로, 건축의 복합적인 현실을 이해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오답 해설]
(1) "as a means of systematically classifying architectural projects according to their functional purposes(건축 프로젝트를 기능적 목적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수단으로서)": 이 글은 건축물의 분류 체계에 대해 다루지 않으며, 오히려 건축학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지문에는 기능적 목적에 따른 분류에 대한 언급이 없습니다.
(3) "as an essential process for reconciling diverse knowledge areas within architectural discourse(건축 담론 내에서 다양한 지식 영역을 조화시키는 필수적 과정으로서)": 이 보기는 지문의 "reconciling the fragmented areas of knowledge" 개념과 관련은 있으나, 빈칸은 이 과정 자체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그 과정의 목적이나 의미를 설명해야 합니다. 즉, '융합점을 시각화하는 것'이 '필수적 과정'이라는 설명은 지문의 맥락에 맞지 않습니다.
(4) "as the primary strategy to distinguish architecture from other creative disciplines in academia(학계에서 건축을 다른 창의적 학문과 구별하는 주요 전략으로서)": 지문은 건축학을 다른 학문과 구별하기보다는, 여러 분야(예술, 과학, 기술, 환경, 정치)가 융합된 학문으로 이해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5) "as an educational framework that fosters balanced integration of artistic and technological elements(예술적 요소와 기술적 요소의 균형 잡힌 통합을 촉진하는 교육적 프레임워크로서)": 이 보기는 지문에서 언급하는 통합의 개념과 일부 연관되지만, 지문이 강조하는 것은 단순히 예술과 기술의 통합이 아니라 더 넓은 범위(예술, 과학, 기술, 환경, 정치)의 종합적 이해입니다. 또한 '교육적 프레임워크'라는 표현은 지문의 맥락과 거리가 있습니다.
[혼동 포인트 / 추가 설명] 이 문항에서 가장 혼동될 수 있는 보기는 (3)번과 (4)번입니다. (3)번은 지문의 "reconciling" 개념을 직접적으로 언급하고 있어 정답처럼 보일 수 있지만, 빈칸은 이러한 통합 과정의 의미나 목적을 설명해야 합니다. (4)번의 경우, 지문이 건축학의 "정체성"에 대해 논하고 있기 때문에, 건축학을 다른 학문과 "구별"하는 전략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문의 핵심은 건축학을 다른 학문과 구별짓는 것이 아니라, 여러 학문 분야가 융합된 통합적 학문으로 이해하는 것입니다.
(2)번 보기의 "the given reality of Architecture of modern times"라는 표현이 지문의 첫 부분에 등장하는 "the given reality of our history and culture of Architecture"와 유사하게 반복되어 나타나는데, 이는 정답의 단서가 됩니다. 이처럼 지문 내에서 반복되는 핵심 개념이나 표현을 찾는 것이 빈칸 추론 문제 해결의 중요한 전략입니다.
[주요 어휘 및 구문]
- integrity: 통합성, 일관성
- articulate: 명확하게 표현하다
- reconciling: 조화시키는, 통합하는
- confluence: 합류, 융합, 여러 요소의 통합점
- comprehensive: 포괄적인, 종합적인
- psychological aspect: 심리적 측면
- visualize: 시각화하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뭐 어쩌겠어 이따가 8시에 집가면서 술한잔 사야겟다
-
개념편이랑 기출편 정말 완벽하게했는데, SPEED는 목차 대강보니까 마치 개념편...
-
이제 ㅁㅊㄱㄴ뗏는데 4규 엔티켓 빅포텐중에 고민중
-
아 4
오
-
22번도 풀어보고 많이 잘한다고 생각했는데 가끔가다가 12 13에서 식이 다른...
-
이거 도대체 어디 써 있는 건가요 수능특강? 교과서? 저번에 어떤 분이 올린 지엽 자료에서 봤는데
-
굿모닝 0
https://youtu.be/GnF1S-WedwI?si=BXez7ErOxwFe3XW...
-
자연계 목표입니다. 그리고 서울대가 삼수부턴 많이 없다는 말이 있던데 진짜그런가요?...
-
소리있어도 집중하는 능력을 얻어버림 유튭 켜놓고 국어도 풀 수 있다 이젠
-
답이 안보이던데..
-
6월 연계 예측 4
1. 최한기와 양명학 2. 행동경제학 1체계와 2체계 <- 매우 유력 3....
-
알고리즘에 뜰때마다 좋아요 누르니까 계속 나오네 으흐흐
-
어지간한 네거티브는 들고와봤자 우리팀도 해당돼서 아무거나 못지르는
-
와씨발골때려
-
세상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가정해보고 그 문제를 P라해보자 P를 포함하거나...
-
점심시간인데 4
사람 왜케 없지
-
ㄹㅇ 개덥네 5월이면 꽤 느렸네 올해는 짜피 집에 에어컨도 없는 거 나가야지 뭐
-
큐브로 작년 9모 20번 풀어봤는데 수익률로 계산하니까 바로 풀리네
-
이명학 들어볼까 4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