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1차자료 2차자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37712
1차자료는 나 또는 남이 직접 수집한 자료이고 2차자료는 과거의 나 또는 남이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재해석, 또는 분석하여 생산한 결과물이라고 이해했었는데, 문제풀다 보니 제 생각과 조금 다른것 같아 질문 남깁니다. 제가 이해한 내용이 틀린건가요? 기존에 제작되었던 1차자료를 가공하려는 목적으로 가져온 순간 그 자료가 이제부터 2차자료가 되는건가요? 아니면 가공 후 새롭게 제작된 자료가 2차자료가 되는건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화작 84 확통 99 영어1 한지99 사문100
-
나도 무물 9
알바하는 중인데 심심함
-
퀄리티가 올라가네
-
이미지 메타 참가 10
저는 이미지 어떰요
-
찐사랑이다
-
xx 추천해드림 0
으로 제목 맞춰야하는데 잘못 올려서 지움
-
더프 서프 말고
-
오운완 1
ㅇㅂㄱ
-
뚜우- 0
날자
-
사관 수학은 그래도 수능틱해서 실모랑 별 차이가 없는데 경찰대는 부등식 조작하고...
-
이 시간까지 안자면 언제 일어나야됨
-
ㅇㅇ..왜 지방이더비산거임
-
그래서 더 귀엽지
-
형식 없나 누가 좀 예시알려쥬ㅗ 해
-
흐흐흐흐
-
왜냐면나는문학이쉽게나오나어렵게나오나항상일관되게두지문을날리니까.
-
현역 정시파이터분들.. 14
내신은 아예 싹 다 버리셧나요???? 수학, 과탐은 챙기시는 경우도 많은가요......
-
생각노트 써보고 검토하는건 참 좋은데 선생님이 지문 분석해놓은건 반은 좋고 반은 좀...
-
인정하죠
-
잘자용 13
잘자욘
전자
해당 연구의 연구자 본인이 만든 거 아니면 2차입니다
갑이 만든 1차 자료를
을이 을의 연구에 갖다 쓰면 2차 자료입니다
이정도만 알고 계시면 될 거 같네요
아 새로운 창작물이 2차자료가 되는것이 아니라 남이 가져오는 순간에 1차자료 였던것이 2차자료가 된다는 말씀이신가요?
녜
해당 연구에서
해당 연구를 위해 직접 수집하고 만들었으면 1차
아니면 다 2차
넵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