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현S [633326] · MS 2015 · 쪽지

2025-05-12 22:53:10
조회수 72

2025년 05월 12일 영어 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128128

Source Text: "Digitalization in the understanding of philosophy, law,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Journal of Digital Science, 2020.


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3점]


This article discusses the influence of digitalization on diverse social activity spheres. The authors analyze the essential notions of digitalization with regard to philosophy, law, political science, and economics. The digital sphere becomes virtual space ______________ territorial and nation-state jurisdiction. Global digitalization for all social spheres becomes a reality. Nowadays, the digital economy is globalizing, the public administration is digitalizing, electronic technologies in finance are developing, and smart cities are being created. Law lags significantly behind new digitalization challenges and does not always react swiftly with regard to social interaction dynamics. Philosophy conceptualizes human existence in digital society in the new digital era.




①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 

② that regulates the interaction with 

③ that formally acknowledges the boundaries of 

④ that exists in parallel with traditional 

⑤ that provides alternative structures to replace



Answer



**[정답 해설]** 

정답은 ①번 "that transcends the limitations of(~의 한계를 초월하는)"입니다. 지문에서는 디지털화가 다양한 사회 활동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빈칸이 포함된 문장은 디지털 영역이 어떻게 가상 공간이 되는지에 관한 것입니다. 지문의 전체 맥락을 보면, 디지털 영역은 영토적 경계와 국가 관할권의 제약을 받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Global digitalization for all social spheres becomes a reality"라는 후속 문장에서 모든 사회 영역에서의 디지털화가 전 세계적으로 현실이 되고 있다고 언급함으로써, 디지털 영역이 국가나 영토의 한계를 넘어서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또한 "the digital economy is globalizing"이라는 표현도 디지털 경제가 국경을 초월해 세계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디지털 영역이 "영토 및 국가 관할권의 한계를 초월하는" 가상 공간이 된다는 ①번이 빈칸에 가장 적절합니다.


**[오답 해설]** ② "that regulates the interaction with(~와의 상호작용을 규제하는)": 지문에서는 디지털 영역이 영토적 경계와 국가 관할권과의 상호작용을 규제한다는 내용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디지털 영역은 이러한 기존 경계와 관할권의 제약을 넘어서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③ "that formally acknowledges the boundaries of(~의 경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지문의 내용과 반대되는 의미입니다. 디지털 영역은 영토적 경계와 국가 관할권의 경계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경계를 넘어서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④ "that exists in parallel with traditional(전통적인 것과 병행하여 존재하는)": 지문에서는 디지털 영역이 전통적인 영토 및 국가 관할권과 단순히 병행하여 존재한다는 개념보다는, 이를 초월하는 특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Law lags significantly behind new digitalization challenges"라는 문장에서 볼 수 있듯이, 법(전통적 제도)이 디지털화에 뒤처지는 현상을 언급하고 있어 단순한 병행 관계보다는 기존 체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디지털화의 특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⑤ "that provides alternative structures to replace(~를 대체할 대안 구조를 제공하는)": 지문에서는 디지털 영역이 영토 및 국가 관할권을 완전히 대체하기 위한 대안 구조를 제공한다는 적극적인 의미보다는, 이러한 기존 체계의 한계를 넘어서는 특성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대체"라는 표현은 지문의 맥락에서 지나치게 강한 의미입니다.


**[혼동 포인트 / 추가 설명]** 이 문항에서 가장 혼동하기 쉬운 부분은 ①번과 ⑤번의 차이입니다. 둘 다 디지털 영역이 기존 영토 및 국가 관할권의 제약을 넘어선다는 점을 암시하지만, ⑤번은 디지털 영역이 기존 체계를 '대체'하기 위한 구조를 제공한다는 적극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문에서는 디지털화가 기존 체계를 완전히 대체한다는 내용보다는, 그 한계를 초월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Law lags significantly behind new digitalization challenges"라는 표현에서 알 수 있듯이, 법적 체계가 여전히 존재하지만 디지털화의 도전에 뒤처지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고 있어, 완전한 대체보다는 한계 초월의 의미가 더 적합합니다.


**[주요 어휘 및 구문]**

* digitalization: 디지털화

* diverse social activity spheres: 다양한 사회 활동 영역

* jurisdiction: 관할권, 사법권

* lag behind: 뒤처지다

* swift(ly): 신속한(하게)

* conceptualize: 개념화하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