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장점 1
했다 튀었지만 이거 하면서 사문 도표푸는 감각 엄청 늘었음 사문 도표준비 2월에...
-
분명시발 05는 현역이었는데
-
계속 똑같이 사랑하는거면 찐사인가요?
-
평가원 96 이상들인가
-
이감이 하도 좋다길래 오프로해살까햇는데 간쓸가 아까워서 걍 바탕 사봄 후기 남겨볼게요
-
내신 수행도 있고 겸사겸사 풀어보려는데 며칠 잡고 풀까여
-
매력을 사회성, 도덕성으로 만들려는 사람들은 끝이 안좋습니다 항상
-
엔제 추천 빨리 . . 12
자기전에 주문넣어야함 . . 이해원이랑 사규 풀었음 . .
-
많관부!
-
인어공주 원작에선 왕자의 결혼을 축하해주고 불멸의 정령이 되어 승천하는...
-
귀신꿈 꿧음 1
귀신이 꿈에 나와서 나랑 같이 으흐흐 햇음
-
현실에서 만들긴 어럽지만 오르비같은 인터넷에선 저처럼 다양한 가상의 페르소나를...
-
몰입이 하고 싶어여
-
매력이없는거같음 다 나 싫어하는거같음ㄹㅇ..
-
제발 참아줘
-
국어의안정화 6
문과황의 조건
-
옯스타 12
맞팔해요 orbrora7
-
수업 들어보면 별거 업ㄱ는 문젠데 처음 풀때는 무슨 중학생이 와도 할거같은 풀이밖에 안나옴
-
그만 기다리기
-
꼴리는 대로 낸 문제 나보다 똑똑한 사람들 모여서 출제의도 토론을 한다고
-
유교 사상가들 구분 해야되나요? 그냥 유교로 놓고 풀면 안되나여 이때까지 그렇게...
-
그래도수능은절대 4
안칠거임 그전에뒤질가능성이매우높음..
-
다시 달려보자..
-
그런 행사가 9월에 있었나
-
엘클 개재밌네 1
바르샤 ㄴㅇㅅ~~~!!
-
기습질받 1
선넘질받
-
ㅈ르투아 사모라상 컷
-
연애 ㅎㅎ 5
할틈이없는인생 ㅅㅂ
-
작년9평때느꼈음
-
안 자 3
씨발
-
높2에서 낮1 진동하는 쪽인데 준킬러랑 킬러n제 같은거 풀때 어느정도 시간으로...
-
초록노프사
-
맞음 인생도망한거맞고 만만한거도맞음..
-
이런것도 그냥 뭔가 손으로 쓰려고 하면 안보이는디 걍 머리로 생각하다보면 닮음이라...
-
수학 실모 추천 1
수학 실모 추천 해주세요
-
ㅅㅂ 그게 말이되냐고
-
53점인가 받아봄
-
6모 대비 히든카이스 모의고사 2회분 출시 후 광클이벤 + 칸타타 vs 세계 칸타타vs시대갤로 홍보
-
어케 풀어여
-
하는 식으로 엮였는데 딱히 기분이 안 나쁘면 호감일까요 …아니야그럴리가없는데
-
뭘보고 팔해주시는걸까
-
과탐 가산점이랑 미적분/기하 가산점 없는 학교 대충 어디어디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외대 32111 6
32111 언매미적생윤윤사 낮3 낮2 사탐 둘다 높1인데 외대 LD 됩니까아 ㅠㅠ
-
작년에 이말 ㅈㄴ읏겼음
-
전 4규공통답컨하고 미적쎈발점 이해안되도넘어가기 하고 있었음ㅋㅋ
-
올해대학갈사람들은당연히빼고계산하는거지.. 난일단못감
-
ㅈㄱㄴ
-
렌즈끼고 알 없는 안경 끼니까 친구가 알 없는거 바로 알아보던데 ㅋㅋㅋ 티나나
(1) 일대일 대응의 정의: 함수 f: X → Y가 일대일 함수이면서 전사 함수일 때, 즉 X의 모든 원소 x에 대해 Y의 원소 y가 유일하게 대응되고, Y의 모든 원소 y에 대해 X의 원소 x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때, 함수 f를 일대일 대응이라고 한다.
(2)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일 조건: 함수 f(x)가 x=a에서 정의되어 있고, 극한값 lim x→a f(x)가 존재하며, 그 극한값이 f(a)와 같을 때, 즉 lim x→a f(x) = f(a)일 때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3) 명제의 참 거짓 판단: 주어진 명제 "f가 일대일 대응이면 f는 연속함수이다"는 거짓이다.
반례:
다음과 같이 정의된 함수 f를 고려한다.
f(x) =
x (x < 0)x + 1 (x ≥ 0)
이 함수는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일대일 대응이지만, x = 0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아니 속도 말되나 이거 ㅋㅋ
◕‿◕
지피티 아웃
지피티특 : 맨날 반례로 이상한거 들고옴

이거이거 gpt썼지gpt는 아님
애초에 반례가 일대일대응함수가 아님
그냥 삼성 AI 검색임
성의없어서 1000덕만 드림
ㅠㅠ
◕‿◕
x (x<-1,x>1), -x(-1<=x<=1) 이 반례 아닌가요
치역이슈때매
아 몰라몰라 그냥 덕코 내놔
좋아, 고등학교 수학 교과서 범위 안에서 서술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어:
---
(1) 일대일 대응의 정의를 서술하시오.
서술:
두 집합 , 사이의 함수 가 일대일 대응이 되기 위해서는 다음 두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일대일: 서로 다른 원소가 서로 다른 원소에 대응한다. 즉,
전사: 의 모든 원소가 의 어떤 원소와 대응된다. 즉,
의 모든 원소가 의 대응값이 된다.
이러한 함수 를 일대일 대응 함수 또는 전단사 함수라고 한다.
---
(2) 함수 f(x)가 에서 연속일 조건을 서술하시오.
서술:
함수 f(x)가 에서 연속이 되기 위한 조건은 다음 세 가지를 모두 만족해야 한다.
1. f(a)가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2. \lim_{x \to a} f(x)이 존재해야 한다.
3. \lim_{x \to a} f(x) = f(a)여야 한다.
이 세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f(x)는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
(3) 명제 판단: “가 일대일 대응이면 는 연속함수이다.”
고등학교 수준에서의 판단:
거짓이다.
반례:
함수 f: \mathbb{R} \rightarrow \mathbb{R}를
f(x) = \begin{cases}
x, & x \ne 0 \\
1, & x = 0
\end{cases}
왜냐하면,
\lim_{x \to 0} f(x) = 0 \ne f(0) = 1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
이렇게 정리하면 교과서 수준에서 충분한 서술이 된다고 볼 수 있어.
아오 직접 써오라고요 ㅋㅋㅋㅋ
우웅 써왔는디
1. 일대일 함수인데 치역과 공역이 일치
2. a에서 좌극한과 우극한과 함숫값 일치
3. 거짓, 반례)
f(x) = x (|x|>1)
-x (|x|<=1)
AI 개요
(1) 일대일 대응의 정의: 함수 f: X → Y에서, X의 서로 다른 임의의 두 원소 x1, x2에 대해 f(x1) ≠ f(x2)이고, Y의 임의의 원소 y에 대해 f(x) = y를 만족하는 X의 원소 x가 적어도 하나 존재할 때, 함수 f를 X에서 Y로의 일대일 대응이라고 한다.
(2) 함수 f(x)가 x=a에서 연속일 조건:
lim x→a f(x)가 존재해야 한다.
f(a)가 정의되어야 한다.
lim x→a f(x) = f(a)여야 한다.
(3) 명제의 참 거짓 판단:
명제:
"실수 전체의 집합에서 실수 전체의 집합으로의 함수 f에 대하여, f가 일대일 대응이면 f는 연속함수이다."
판단:
거짓
반례:
코드
f(x) = { x (x<0)
{ x+1 (x>=0)
이 함수는 일대일 대응이지만 x=0에서 불연속이다. 따라서 주어진 명제는 거짓이다.
대충
함숫값 다를때 x값 다르면서 치역=공역인거
함수의 좌극한 우극한 함숫값이 존재하고 싹다 같을때
반례는 위에다 적었으니 생략
이거 연속인건 원래 엡실론델타 써야하는데 엡실론델타 꼴보기도 싫으니 안쓸거임 ㅅㄱ
1.일대일 함수이자 치역과 공역이 동일하면 일대일 대응이라 한다
2. x =a 에서 lim x ->a f(x) = f(a) 라면 fx 는 x=a 에서 연속이라고 한다
3. 참이아니다, 반례: f = 1/x (x 가 0아닐경우) 0(x=0)
3. 해당함수는 일대일대응이 모든 실수에사 성립하지만 연속함수가 아니다

좋습니다 ㅎㅎ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