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출은 과외 수업으로 최근 10개년 고난도 독서 문학 지문들만 뽑아서 수업해서 6모...
-
차라리입대를하지
-
. . .
-
재수생이고 이번에 5모 미적 12번 찍맞으로 68점 맞았고(3) 이미지t 풀커리...
-
탈릅하지 마라 0
너네가 여기에 머물러야 사회가 돌아가
-
마네마네니치니치 0
-
아시발 0
ㅅㅅ하고싶다
-
오르비 고수님들 0
-
아 ㅅㅂ
-
팩폭맞음 0
아프다
-
묶어놓고 0
뺨이랑 복부 ㅈㄴ때리기
-
엄마 아빠 별로 안찾고 싶을듯 돈 급할때나 찾아야지...
-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하다
-
여미새가 되.. 0
예압
-
숨숨이 턱턱 막히네
-
응 오공완이야 0
흠
-
정치메타 과몰입한거 안해야 하는데 참 쉽지 않네요
-
아 고민이다 0
석사까지만 하고 결혼해서 한국에서 살지 결혼해서 박사하러 미국 같이 갈지
-
말씀해주세요 고치겠습니다 학교 싫다고 찡찡대는 글이나 정시 내신 반영 폐지하자는 글...
-
눌러살꺼임
이 문제 20번치고 좀 안읽히던데 ㅋㅋㅋ
마지막 문장읽고 바로골랐으면 ㄱㅊ
솔직히 앞에는 뭐라는지 이해못했음ㅋㅋㅋㅋ
AI가 뜨면서 샘 알트만 같은 AI 업계 종사자 권위가 높아지고 사람들은 이들의 말에 주목하게 됩니다. 글쓴이는 이러한 점을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AI 사업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이니까 AI로 발생하는 사회 문제에 이들이 공정한 판단을 할 전문가의 입장이 될 수 없고, 컴퓨터 과학자들이 AI가 사용되는 사회 전반에 걸친 이슈를 다 이해할 수도 없어요. 앞 부분은 AI의 발달에 따른 이슈를 다루고 있다고 보면 되구요. 그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의해서 AI를 설계한 자들뿐만 아니라 AI로 발생한 이슈에 더 직접적인 이해를 하는 사람들도 같이 문제 해결에 참여해야 한다입니다. 글쓴이가 어떤 비핀적인 입장에서 이 글을 쓰는지 생각해 보시면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