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99861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전 고1~2 내내 국어 6~70점대 수학 5~60점대를 전전했는데 말이죠...(제...
-
6모 23
내가 원하던 수의대 성적 나와서 기분이가 좋았었음
-
저도 마음만은 01년생이라구요
-
.. 16
-
과탐.. 14
부산대..
-
ㅇㅈ 15
이미다들알겟지만 심심하니까
-
웹소설 ㅊㅊ 좀 20
야설 x 로맨스물x 남편 / 아내/ 이기 x
-
6모 전 정리기념으루다가 만들어봄
-
비갤에 4연속 저격먹고 선타면서 사리는중
-
. 14
-
많이 모은 걸까요 진짜 몰라서 그러는데 (친구도 없고 말하기도 뭐한 주제라) 지금...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14
해 뜨고 봐요
-
탈릅함 12
고마웟음 잘잇어 다시는안함 ㅆㅂ 진짜 별의별모든소리를 들어봣음 근데...
-
으으으으으ㅡ으으능애 13
으으으으ㅡㅇ으ㅡ으으으애 ㄹㅎ호ㅗㅓㅓ
-
재밌다.
너는 잊는 것이 병이라고 생각하느냐? 잊는 것은 병이 아니다. 너는 잊지 않기를 바라느냐? 잊지 않는 것이 병이 아닌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잊지 않는 것이 병이 되고, 잊는 것이 도리어 병이 아니라는 말은 무슨 근거로 할까? 잊어도 좋을 것을 잊지 못하는 데서 연유한다. 잊어도 좋을 것을 잊지 못하는 사람에게는 잊는 것이 병이라고 치자. 그렇다면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을 잊는 사람에게는 잊는 것이 병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 그 말이 옳을까?
비아냥대는
엄준식
전 성격이 이래요 ㅇ ㅈ ㄹ 진짜 존나 쳐패고싶노
ㅋㅋㅋㅋㅋ
ㄴㄱ
버거 쏴라
앞으로 잘 사십쇼
넵 감사합니다. 제 진심을 알아봐주셔서
버거도 쏴야된다 생각함
총대 매고 빌런짓 해준거 고맙다.재밌었어.
국군조직법
제2조(국군의 조직) ① 국군은 육군, 해군 및 공군(이하 "각군"이라 한다)으로 조직하며, 해군에 해병대를 둔다.
제3조(각군의 주임무 등) ④ 공군은 항공 작전을 주임무로 하고 이를 위하여 편성되고 장비를 갖추며 필요한 교육·훈련을 한다.
대한민국 공군(大韓民國空軍)은 전략적 항공 작전을 주 임무로 수행하는 대한민국 국군의 공군이다. 영문 표기는 Republic of Korea Air Force로 약자로 ROKAF[5]로 부른다.
대한민국 공군은 평시에는 한반도 영공과 한국방공식별구역 공역의 제공권 유지 및 이에 따른 국지적 도발 억제/제압 임무를 수행하며 전시에는 이렇게 유지된 제공권을 기반으로 적의 공중, 해상, 지상 전력을 격파하고 하늘을 통한 병력과 물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전개를 지원하여 궁극적으로 전쟁 수행이 신속하고 원활히 되도록 지원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공군의 총병력은 65,000명으로 국군 중 두 번째로 거대한 규모[6]고 예산도 육군 다음으로 많이 받는다.
항공기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7] 육해공 삼군 중 장비의 국산화율이 가장 낮은 군종이다. 이러한 풍토에서 벗어나고자 1980-1990년대 즈음부터 외산 항공기들을 국내에서 생산하거나 여러 국산 항공기들을 배치해 왔고, 2022년 이후로 KF-21 보라매 개발 등으로 지속적으로 국산화율을 높이고 있다.
이또한 사회화의 과정이겠죠
지방의 1g당 열량은 9kcal로, 영양소중에선 무게 대비 열량 섭취율이 매우 높다. 3대 영양소로 나란히 묶이는 탄수화물, 단백질은 지방의 반도 안 되는 1g당 4kcal 정도임을 감안하면 탄수화물과 단백질을 100g씩 합산 200g을 먹는 것보다 지방 100g을 먹는 게 훨씬 효율적이라는 뜻. 괜히 대부분의 생물이 지방을 섭취하는 것을 목표로 진화하고 학습해온 것이 아니다. 영국에선 체중이 207kg인 초고도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1년 1개월간 물과 비타민만 주고도 살아갈 수 있는가, 좀더 정확히는 이렇게 영양소 흡수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체내에 누적된 지방이 생존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실험을 진행한 적이 있다. 대상자는 상술한대로 27세에 체중이 207kg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사실상 불가능한 인물이었으나 의사와 과학자들의 관리하에 물과 비타민, 소량의 무기질만 섭취하는 것으로 실험 종료 시점에선 81kg까지 감량에 성공했고 5년 후 시점에도 90kg대 약간 안 되는 수준으로 체중을 유지했다. 효율면에서 차이는 있겠으나 사실상 인간도 낙타마냥 체내에 축적된 지방을 분해해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능력이 있음을 밝혀낸 것으로 실험을 진행했던 교수는 생물이 살이 찌면서 몸에 지방을 쌓는 게 꽤나 고등한 진화로 그러지 못하는 생물보다 생존에 우월하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