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베이스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96236
영어 커리를 정하는 중인데 괜찮을까요?! 지금은 천일문과 일리 마치고 신택스 듣는 중이에요. 별로면 댓글로 많은 조언 부탁드려요ㅠㅠ 독학생이라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튜브에 댓글쓰면 자꾸 ‘댓글은 다 1등급이네’ 이러는데 13
ㅅㅂ난 진짜 1등급인데 댓글 쓸때마다 눈치보임…
-
원금손실이 어쩌고
-
국어 마더텅보단 라이트한 재재별로 나눠져있는 기출문제집 있을까요
-
일단 본인은 평소 실력이 국3수1이었던 점을 고려하기 바람 원래 읽고 내용 파악하는...
-
ㄱㄹㅅㄴㄷ
-
아니 왜 근 2년 1컷이 계속 50임 그 아래론 거의 안 내려감?
-
모...몸이 롤을 자동으로 돌리고 있어...!!
-
이해원 수1 너무 어려워 한번씩 숨이 턱턱막히는 개수세기문제나 정수 자연수조건 쓰는거 진짜 모다게씀
-
싹 다 차단을 해놔서 뭐라는 건지 보이지도 안하노
-
난 그래도 다른 과목을 아예 못하지 않아서 점점 발전해서 공주머리가 있느누줄 알앗어...
-
푼 사람 있나여? 아예 모르겠네
-
근데 나름 학교에서 20등은 했는데 진짜 전혀 몰랐음.. 계룡이라그런가
-
과탐 사설모고 0
과탐 학원 안 다니면서 모고사서 풀려고 하는데 양질의 사설모고 추천 부탁드릴게요 생명이랑 지학이요.
-
보통 3모 성적 어느 정도면 수능 때 그나마 안정 1이라고 보나요 물론 질문 자체가...
-
아니 풀면서 뭔가 다른게 맞기보단 이상한 하나를 캐치는 하긴 했는데 뭔가...
수특 수완보다 기출 더 보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감사합니다!
천일문 입문을 쓰실 거면 차라리 일리를 하고 나서 보시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단순한 예로, 문법이 수학 개념이라면, 구문독해는 그 개념을 가지고 문제를 푸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천일문이 구문독해 교재인데, 구문독해를 먼저 하고 일리(문법)를 한다는 건 순서에 맞지가 않습니다. 그런데 질문자분은 순서를 뒤집어서 공부하셨습니다.
정말 멀리 본다면, 꾸준히만 공부하면 뭐 어떻게 하시든 결국 언젠간 잘하게 될 수는 있겠지만.. 순서에 맞느냐 물으면 그건 아니라는 겁니다.
그리고 애시당초 천일문은 좋게 말하면 정석적인 교재고, 나쁘게 말하면 상평시절에 쓰던 교재라 요즘 인강과는 호환성이 다소 떨어집니다.
천일문을 타실 것이면 천일문 풀커리를, 인강을 탈 것이면 인강을 타시는 게 맞고 정 천일문을 보시고 싶으시면 일리 + 신택스까지는 끝내고 보시는 게 더 효과적일 겁니다.
그리고 문풀을 하실 거면 신택스는 끝내고 보시는 게 맞습니다.
'일리+신택스'가 수학으로 치면 개념전체 한바퀴 돌리는 건데
수학 개념 전체 다 끝내지도 못했는데 수학개념 공부하면서 수능이나 6평 문제지 가지고 동시에 공부한다는 게 말이 되지 않듯이, 순리상으로는 신택스까지는 다 끝내고 문풀을 하시는 게 맞습니다.
문풀 병행하지 마시고 차라리 신택스에 집중해서 신택스를 더 빨리 끝내고 문풀을 해보시길 권장합니다.

헉 정성스러운 답변 감사드립니다!! 참고해서 공부해볼게요ㅠㅠ 커리 짜는데 많은 도움 될 거 같아요 감사합니다제가 위 답변 남겨드린 것 중에 순서를 거꾸로 적은 게 있어서 정정합니다.
3번째 문단에서
'천일문이 구문독해 교재인데, 문법(일리)을 먼저 하지 않고 구문독해(천일문)를 하는 것은 순서가 맞지 않다'고 말씀드리고 싶었던 것입니다.
문법과 구문은 한 몸이기 때문에
사실 문법을 배제하고 구문을 공부하더라도 어느정도는 통할 수 있고
또 구문을 공부하는 과정이 동시에 어느정도는 문법을 공부하는 과정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요즘은 문법을 아예 배제하거나, 볼륨을 많이 줄이고 구문독해를 가르치는 분들도 많으시고요.
하지만 문법과 구문독해를 동시에 공부할 수 있는 상황/생각이라면
문법을 먼저 하고 구문독해를 공부하는 게 이치에 맞습니다.
여기서 제가 말씀드리는 문법은 문법 문제 몇 개를 맞히기 위한 '어법공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니 오해하시지 않기를 바랍니다.
제가 말하는 문법은 '해석(=구문독해)을 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 하는 영어의 규칙들'을 이야기하는 겁니다. 단순히 수의 일치, 현재분사&과거분사 넣고 이런 개념만을 뜻하는 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