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3복 31번문제는 이게 제일 정석풀이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91041
개념 알면 10초컷 몰랐으면 확인해야 되어 시간 끌리는 씹고퀄문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나마 이런 빌런들이 불태울때 존나 까면서 그나마 잠깐이나마 덜 우울할수있음..
-
왜 이렇게 많아 ㅋㅋㅋㅋㅋ 괜히 불안감만 커지네요 ㅋㅋㅋㅋ 내거에요 근데 ㅠ
-
좆같은말 하면 쳐맞아야지 ㅋㅋ
-
누가누가 잘찍나 38
21세 여자가 얼굴이 붉어지고 목소리가 떨린다며 병원에 왔다. 어려서부터 다소...
-
역시 정상화는
-
커뮤에서 하고싶은말 다 하고 살수있음 ㄹㅇ..
-
지방이 1
졸귀
-
그러니까 내 지방 좀 지워다오
-
저는 13,15 기하는 28 30은. 걍 벡터 좋아해서 재밌게 푼듯
-
ㅇㅎ
-
오르비 여러분, 여러분은 지금 도를 넘었다는 생각 안 드십니까? 12
평소에 오르비를 눈팅만 하던 사람입니다만 도저히 작금의 상황에 개탄을 금할 수가...
-
[Web발신] 1
너는나를존중해야한다나는발롱도르5개와수많은개인트로피를들어올렸으며2016유로에서포르투갈을...
-
안녕하세요 9
전기쥐입니다
-
수학 실모 추천 좀 12
6모 보기전에 실모2개정도 풀려고 하는데 추천부탁드립니다 닌이도는 적당했으면...
-
우리 고등학교는 미개한 애들이 많았음
-
내년에 수능치는 대깨설 09년생입니다...지금까지 화1을 계속 잡고 있었고 등급도...
-
내 그곳 검 ㅇㅇ
-
결국 그 사람한테 전해지는 진심이 있을때 성공하더라 꼭 좋은 사람이면 잡아보려고 노력하시길
-
걍 저지랄로 저능해졌음 ㅋㅋ
-
저격을멈춰주세요 0
N수(망함) 명문대(아님) 지방(살았었음) ㅅㅂ럼들아 3수 지역인재 의대가...
-
제가 실력 딸려서 그러는 지 모르겠지만 29번은 계산 범벅입니다 하지만 30번은...
-
드립치고 싶은데 참아야겠지
-
공부에 집중해라
-
너무 그 분을 좋아한 나머지 성적도...
-
너는 저능하고
-
비대면으로 들을건데 현강 진도는 수2 끝나고 수1들어가고 있음 근데 수2강좌도...
-
개추가와바박 1
개웃기네 ㅋㅋ
-
ㅋㅋ 공부할때 썰만 들어야
-
치대 정시로 2
어느정도 받아야 하나요 지방 치대기준으로요 화작 미적 사문 생명인데 백분위 95...
-
예쁜 분들 12
-
연애 해본 적 없고 wwe가 난무하는 지방에 거주 중인 도태 불가촉천민입니다
-
ㅇㅇ
-
오이카와 국적 4
아르헨티나 좋아하는거: 우유빵
-
근데 ㅂㅅ같이 생기고 사회성도 ㅈ박으면 연애 못함
-
아님말고 ㅋㅋ
-
마더텅 푸는데 표도 읽어야하고 문제가 좀 어려운데요? 특히 최근기출들
-
본인의 대학을 알고있는가
-
뭐야 검머외야? 1
대충 상태 보니까 약좀 하다 왔냐?
-
비타오백 한 박스 드리고 와야겠다. 학창시절 선생님들께는 방문은 당연히 못하지만...
-
29를 제외한 15 22를 더 틀린 난 저능하다ㅠㅠ
-
백분위 99 작년 드릴 설맞이 이해원2 하사십 이정도 풀었었음 올해 드릴6 풀었는데...
-
아직까지도 먼지 ㅈㄴ많다는데 내년에 제대로 열었어야
-
ㅅㅂ…
-
삼수 사수를 했다고 해도 막상 나이를 보면 22 23 진짜 젊고 파릇파릇한건데...
-
거 좀 보내주지
-
소신발언)솔직히 3
세이버 이쁨
역시 엄국입니다
님이 말한 풀이가 출제쪽에서 의도한 정석풀이임 초점화자라는 교과서 개념에 입각해 작품을 이해해보라는거
사실 이건 심찬우T의 풀이에요
저는 처음 풀 때 틀렸음ㅋㅋ
시대 김재훈T도 비슷하게 말한다던데
그 점수 결정짓는 결정적 문제에선 찬우T 방식이 제일 맞는 방법임
focalizer라고 운영전(금성출판사)하고 고향(천재교과서) 이런데서 핵심으로 다룸 아예 천재교육은 작품을 창작하는데 있어 소설의 화자를 어떻게 만드는지가 핵심이라고 서술해놨고
근데 선생님은 국어 과외 시작할 때부터 교과서를 다 찾아보셨나요?
예 문학은 금성, 천재교과서, 천재교육, 신사고, 창비 다 봄
역시 정석대로 정확히 가르쳐주는 분이시라 풀이도 간결하고 명확하네요
오....
방3복이 뭔가 했더니만 2306 미스터방이었네요 저기서 <보기> 안 보면 못 풀게 선지 구성하면 24수능 나오는 건가
아 2306 저거구나 당연히 저렇게 푸는거아님...? 저거말고 다른 이견이 있었낭
일관되게 초점화한 것이 틀린겁니다. 초점화는 부정적 인물이 대상일 경우, 독자에게 비판적 거리를 유지하게 합니다. 부정적 인물의 초점화는 '상황적 아이러니'를 유발하구요. 오히려 미스터방이 수록된 신사고 교과서는 상황적 아이러니로 가르치고 있어서, 초점화는 무조건적으로 인물과 독자의 거리를 좁히는게 아니예요. 초점화는 거리를 '조절'한다고 한 것부터 평가원이 초점화가 무조건적인 공감.연민 유발이 아님을 명시했다고 해서 오히려 평가원 답게 잘 냈다고 생각했는데...
참고로 나병철 선생님의 '소설의 이해', 김윤식 선생님의 '한국 근대문학비평사' 홍기돈, 이문재 선생님의 논문들에서 일관되게 채만식 소설에서 초점화로 인한 비판적 거리 확보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렇죠 이 경우는 작가가 민중에 대해 긍정적인 스탠스를 견지하고 있기에 민중의 시점으로 초점화하는게 민중의 시선에서 보게하는거고
본문 댓글에 초점화가 독자의 공감을 유발한다는 것을 지적한 것입니다. 공감 유발이 아닐 수 있거든요.
부정적 인물이 초점화된 것을 넘어 아예 1인칭 시점이 되면 '신뢰할 수 없는 화자'가 되어 상황적 아이러니에 대한 비판성은 강화됩니다. (채만식의 '치숙'에 등장하는 '나') 이때 인물은 '전망'이 없기 때문에 독자들은 괴리감을 느끼고, 인물을 비판하게 됩니다.
5번 선지에서 '일관되게 초점화하여(인) 독자들이 통쾌함을 느낌(과)'이 틀렸다고 하면 맞지만, 단순히 백주사에 초점이 맞춰졌을 때 '독자들이 통쾌함을 느낄 수 없다'고 한다면 틀린 해설입니다.
다만, 부정적 인물에 초점이 맞춰져도 그 인물이 소시민에 해당한다면 공감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소시민은 인식적 측면에서 최소한의 전망을 독자와 공유하고 있기 때문에요
인과가 틀린게 맞죠 제 표현이 정확하진 않았네요
감사합니다 :)
아것저것 자료 좀 검색하다가 쌤 글 좀 봤는데 많이 공감되고 재밌는 글 많아서 좋았습니다. 앞으로도 글 많이 써주세요~^^
감사합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