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formedical [1379993] · MS 2025 · 쪽지

2025-05-09 21:28:01
조회수 3,600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88344

회원에 의해 삭제된 글입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29 · MS 2025

    설의 연의는 다른 급간입니다. 연의는 연잡대에요

  • mathformedical · 1379993 · 05/09 21:30 · MS 2025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33 · MS 2025

    왜 울어요
    설연/카 가 아니라 설//연카 라고 말해준 건데

  • 저능충 · 1389989 · 05/09 21:30 · MS 2025

    기만 그만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32 · MS 2025

    글 취지에 매우 동의합니다
    그런데 지식은 수업 들으면 경험은 공부시간 쌓이면 늘어납니다
    수능에서 사고력의 핵심은 메포메님이 말한 1년에 1-2문제를 맞히는 것도 있지만, 사고력을 갖춘 학생이 하는 수동적인 공부를 따라가기 위해 사고력이 부족한 학생이 능동적으로 공부해야 하는 비중이 높다는 점입니다

  • mathformedical · 1379993 · 05/09 21:39 · MS 2025

    저 글의 제1 목적은
    수학실력이 낮다는 문제상황의 원인을
    해결방법이 모호한
    ‘사고력의 부재‘
    해결책이 전무한
    ‘재능차이‘로 돌리는 현 세태 수험생에 대해 그러지 말라는 거긴 합니다

  • 프리미엄 · 1337974 · 05/09 21:29 · MS 2024

    근데 나도 수학 ㅈㄴ 개못할때 저걸 어케 생각해 ㅅㅂ << 이랬는데 하다보니 늠

  • pride and prejudice · 1369318 · 05/09 21:29 · MS 2025

    근데 저도 과외하는 입장에서 1의 역수를 -1 이라고 하는 학생도 봐서 잘 모르겠음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40 · MS 2025

    어떻게 해결하셨나요?

  • pride and prejudice · 1369318 · 05/09 21:45 · MS 2025

    작년에 가르쳤덕 학생이였는데 솔직히 해결 못함 공부 안한게 너무 누적되어 있었고 수직선에서 x축 y축 이런것도 잘 몰라서 역함수가 y=x 대칭이란것도 이해못함 중1부터 수학 안해서 그냥 최대한 2ㆍ3문제 안 틀리게끔하고 수12는 못했는데 확통은 재밌어해서 확통 23~27이랑 28이랑 29중에 하나 맞고+수12 단순계산 문제만 맞혀서 4등급 겨우 맞았는데 찐 9등급 수준 학생이라 수능 엄청 잘봤다고 좋아함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47 · MS 2025

    압도적인(-) 재능 앞에 노력은 무의미하다

  • pride and prejudice · 1369318 · 05/09 21:54 · MS 2025

    수능보기 직전에도 딱 10번까지만 풀게하고+시각ㆍ속도 문제+주관식 2ㆍ3점+확통 그리고 12345 몇번 나왔는지 최대한 잘 찍게 함 ...수능보기 진짜 며칠전까지 공식 암기 못해서 공식 암기집 만들어서 깜지쓰라고함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56 · MS 2025

    진짜 열정적이셨네요

  • 물개물개 · 1242984 · 05/09 21:30 · MS 2023

    동의합니다
    착하게 말하면 학생들은 안 읽으려나요

  • mathformedical · 1379993 · 05/09 21:31 · MS 2025 (수정됨)

    도파민에 절여진 학생들이 좋개 말해서 들을리가..
    라는 생각이

  • 쑥과마늘​ · 1352787 · 05/09 21:32 · MS 2024

    같은 맥락에서 수능 국어도 수능 수학과 비슷하다고 봅니다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33 · MS 2025

    돌아오셨다

  • 쑥과마늘​ · 1352787 · 05/09 21:36 · MS 2024

    저승하고 하이파이브했다가 돌아왔습니다

  • 늙은노베 · 1385724 · 05/09 21:37 · MS 2025 (수정됨)

    수능이 천문학적 시험이라는 생각은 안듦
    평범한 사람도 빡공으로 3년쯤이면 늦어도 23~24세엔 끝낼수있는 시험
    제일 중요한건 많이 푸는 것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38 · MS 2025

    20대초 3년이면 천문학적 시험 아닐까요?
    20대 중후반 세무사(같은 3년이라도) 변리사 시험보다 훨씬 기회비용이 큰건데

  • 늙은노베 · 1385724 · 05/09 21:42 · MS 2025 (수정됨)

    근데 저는 수능 국어가 사실 세무사 변리사 수험서 읽기의 기본이라고 봐서 사실 수능을 기초잡는 훈련이라 치면 둘은 연계되어 있다고 봅니다
    특히 수능 때 만든 공부하는 습관은 전문직 얻을 때까지의 기본이 되기 때문입니다
    갑자기 20대 중후반에 사람이 앉아서 공부를 시작하는 게 쉬운 일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것이 설령 천문학적이어도 의미가 있다)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45 · MS 2025

    관점 감사합니다
    수능이 싫으면 전문직 안해도 불편하지 않은 공대로…

  • 늙은노베 · 1385724 · 05/09 21:47 · MS 2025

    어휴 이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공대야말로 공부 안하면 단명합니다
    마흔에 치킨튀긴다는 썰이 괜히 있는게 아니지요
    전문직 수험생에 상응하는만큼 안하면 그냥 끝입니다
    공대는 30대 중후반까지 잠깐 좋긴 합니다만 딱 거기까지죠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09 21:48 · MS 2025

    ^2045 특이점^
    오면 좋겠네요

  • Dear. · 1349733 · 05/09 21:41 · MS 2024

    최선을 다하지 않아놓고 재능과 사고력이라는 단어 뒤에 숨지 말라는거네요
    딱 저 두 단어가 수험생 본인이 최선을 다해도 별 수 없었다는 취지를 암묵적으로 깔고 가니까

  • Dear. · 1349733 · 05/09 21:43 · MS 2024

    이건 단순 뇌피셜이긴 한데, 메포딕님 말씀하시는거 보면
    의외로 "진짜 열심히 한 애"가 실패하는 걸 정말 안타까워하실 거 같음
    물론 저 기준이 빡빡하시긴 하겠지만

  • [네모의 꿈] · 680876 · 05/09 21:42 · MS 2016

    최선을 다한 무한 N수는 결코 배신하지 않는다

  • mathformedical · 1379993 · 05/09 21:43 · MS 2025

    원숭이가 햄릿을 타자기로 친다는 통계학적 썰에 따르면
    무한이라는 관형어가 붙은 시점에 최선은 필요없죠ㅋㅋ

  • [네모의 꿈] · 680876 · 05/09 21:44 · MS 2016

    최선을 다한 N수는 결코 배신 하지 않는다 (N<500)
    정도로 정정합니다.

  • 123살 · 972123 · 05/10 03:58 · MS 2020

    최선을 다한 N수는 결코 배신하지 않습니다 외우세요

  • 한달뒤는 · 697133 · 05/09 22:29 · MS 2016

    단순 교과 내용말고도 아래에서 쌓고 와야하는 능력들이 많은 것 같아요.
    그게 보통 빵꾸난채로 이상한거만 하다가 수학극복을 못하는 경우가 많은 듯

  • 응가싸 · 1390174 · 05/09 22:35 · MS 2025

    사실 그렇게 학생들이 핑계대는 근본적인 원인에 어렸을 때부로터의 사고력으로 인한 스노우볼이 있긴 함
    그 사고력이 수학에 대한 흥미나 경험에 영향을 끼쳤을 꺼고 수학 공부량에도 영향을 미쳤겠지

  • 응가싸 · 1390174 · 05/09 22:37 · MS 2025

    그래서 학생들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학생들도 나름 열심히 하려고 했을꺼고, 그런 점에서 이렇게 글 쓰는거는 좀 그런듯

  • 응가싸 · 1390174 · 05/09 22:41 · MS 2025

    일종의 사실적시 명예회손 느낌?

  • 사람답게살자 · 725059 · 05/10 01:19 · MS 2017

    훼..

  • 가우다 · 1304957 · 05/09 23:41 · MS 2024 (수정됨)

    모의수능부터 재수까지 만년 미적 2입니다.
    저는 사고력을 키우면 다 해결될거라 생각했어요.사고력이 아니라 특정 유형을 공부하는것에 대해서,지식이나 스킬을 배우는 것에 대해서 거부했습니다.어떤문제가 나와도 다 뚫어낼 근본적 능력에 대해 과도하게 집착했습니다 공부한 스킬이 나오지 않으면 어떡하지 점수변동에 대한 불안감이 컸습니다.
    사고력으로 피지컬로 뚫어내야 한다는 이상한 고집이 있었어요
    발상적으로 푸는 건 내 실력이 아닌것같았어요. 또 스킬 같은건 유도해보면 뻔한내용인데 그걸 암기해야해?라고 생각했던것같아요
    그래서 이제 스킬이나 유형에 대해서 좀 정리해보면서 공부하려고 하는데 제 방향이 맞을까요?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08:09 · MS 2025

    기출된 내용에서 나온 인사이트는 갖고가야합니다
    그리고 스킬이 꼭 사고력을 저해하는거도 아니에요
    님이 시중기출 일반화해서 정리나 툴을 만들면
    그 과정에서 사고력이 쌓입니다

  • 진진 · 1220173 · 05/10 00:11 · MS 2023

    그냥 내가 농땡이쳐서 망했네하고 넘어가는게 제일 맘편하던데

  • 이지은 국어 · 1379029 · 05/10 18:34 · MS 2025

  • 사람답게살자 · 725059 · 05/10 01:20 · MS 2017

    근데 진짜 곱셈공식도 모르는애 과외해봤는데 죽을맛이었음..ㅋㅋ 숙제도 안해오고 으어

  • 실수가될래요 · 1335922 · 05/10 07:14 · MS 2024 (수정됨)

    혹시 작성자님께서는 계산력이 딸리는 학생에게 어떤 공부를 시키실 건가요?
    문제 보면 웬만해서는 풀리는데 시간이 문제라서요
    문제 푸는 방법을 바로 잡아내지 못하고,
    또 안다 하더라도 계산능력이 밀려서 그런 것 같은데
    작성자님께 조언 부탁드려도 될까요..

  • 실수가될래요 · 1335922 · 05/10 07:16 · MS 2024

    예를 들어 이번 5모 지수 로그 함수 문제에도 다행히 문제 잘 해석해서 계산은 줄었지만 해석하는 것 자체만 3분 이상은 쓴 것 같아요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08:10 · MS 2025

    삼각형 넓이 말하는거에요?

  • 실수가될래요 · 1335922 · 05/10 08:12 · MS 2024

    네 선분 길이비 높이 같아서 1:1 나오는 문제요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08:13 · MS 2025 (수정됨)

    그거 계산력에 좌우되는 문제 아닙니다

  • 실수가될래요 · 1335922 · 05/10 08:16 · MS 2024

    22번이나 15번 같은 문제 계산 밀려서 시간만 다 쓰고 못푼거는 어떻게 보시나요?..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08:19 · MS 2025

    제가 생각했을때 공통에서 계산이슈가 강한 문제는
    10번 정도입니다
    나머지는 풀다가 계산이 말렸을수는 있지만 계산이전에 다른 요인이 있었을겁니다
    이 부분에 대한 원인진단이 정확해야 문제를 해결할수있습니다

  • 1234123 · 1352906 · 05/10 08:10 · MS 2024

  • 지지지ral마십쇼 · 1390461 · 05/10 08:31 · MS 2025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뭐 하나만 여쭙겠습니다. 공통 성적은 거의 3~4등급진동상태에서 1~0틀로 올렸는데
    지금 개념&실전개념듣구 기출을 여어얼심히 파고 있는데....
    미적분 성적이 >>전혀<< 오르지 않습니다.28번도 맞추기가 빡세요. 작수는 개념만 보고 쳤고요..

    그러다 보니 의구심이 드는데 위에서 언급되는 노력과 성실로 미적분 100이 올해수능 전에 가능한 부분인지요? 저는 하늘이 두쪽나도 올해 나온 성적으로 대학을 갈거라..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08:33 · MS 2025

    시험장에서 사고가 나는 경우정도 빼면 불가능한건 아닌데
    님이 어떤 밀도와 시간으로 공부하냐가 중요하죠
    미적은 그리고 4점 3개가
    단원통합형 종합예술이라 공략하는 수준에 달하는데 시간이 타과목대비 많이 걸립니다 이건 감안하세요

  • 지지지ral마십쇼 · 1390461 · 05/10 08:35 · MS 2025

    감사합니다:)

  • ultraleo · 849815 · 05/10 08:43 · MS 2018 (수정됨)

    하지만 수리논술은 벽이 있다 ㅅㅂ…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08:46 · MS 2025

  • 늙은노베 · 1385724 · 05/10 11:45 · MS 2025

    근데 솔직히 노력으로 극복을 하려면 최소 3년은 하고 말해야한다고 생각함 이건 24시간 수험생 모드를 말하는(재수 단위/현역말고) 정말 영혼까지 갈아넣어야함

  • 중이싫으면절이떠나라 · 1311078 · 05/10 13:20 · MS 2024

    혹시 25수능 21번은 1~2:88~89중에 어디에 해당한다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 mathformedical · 1379993 · 05/10 16:36 · MS 2025

    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