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모 화학] 해설+ 손풀이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86406
산과 강과 들과 마을이 한 초록으로 짙어가는, 청청한 오월입니다! 5모 화1 해설을 시작해볼게요.
(상세한 해설은 ‘킬러’ 문항만 첨부했습니다! 전체 문항에 대한 해설은 뒤쪽 손풀이를 참고해주세요)
- 2가 염기에 1가 산을 혼합한 상황에서, 양이온 수/음이온 수 자료는 염기성과 중성일 때 1/2, 산성일 때1/2에서 1 사이의 값을 갖습니다.
(cf. 총 전하량은 양이온과 음이온이 같으므로, 양이온 수/음이온 수 자료는 음이온 평균전하량/양이온 평균전하량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혼합 상황에서 1가 음이온밖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음이온 평균 전하량은 항상 1입니다. 반면, 양이온에서는 2가 이온이 존재하므로, 양이온 평균 전하량은 산성이여서 수소 이온이 존재한다면 1과 2사이의 값을, 중성이나 염기성이여서 2가 이온만 존재한다면 2의 값을 갖습니다)
따라서 I는 산성입니다. 양이온 수/음이온 수 자료의 5/8을 그대로 상댓값으로 사용하여 문제 풀이를 이어나가봅시다. 산성일 때 음이온 개수는 산의 구경꾼 이온 수와 같으므로 HY는 8개이며, 분모 분자의 차이는 2가 이온의 양과 같으므로 Z(OH)2는 3개입니다.
(cf. 산성일 때 양이온 개수는 산의 H+ 수 - 2가 염기 수 와 같으므로, 5=8 - 2가 염기 수 로 3개임을 구할수도 있습니다. 한편, 분모 분자 차이가 2가 이온의 양인 것은 1가와 2가를 혼합하였을 때만 성립합니다. 2가와 2가를 혼합하면 분자 분모 차이는 2가 산과 염기의 수 차이가 됩니다)
- Z(OH)2와 H2X 몰 농도의 비가 3대 2이고, I의 Z(OH)2와 II의 H2X 부피가 같으므로 양도 3대 2입니다. 따라서 II의 H2X 양은 2개입니다.
한편, II는 중성이므로 HY 개수는 2개입니다. HY 개수에 의해 2V=40, V=20입니다.
x를 구합시다. I와 II는 산성 또는 중성이므로 모든 음이온의 양은 구경꾼 이온의 양과 같습니다.
따라서 음이온의 양은 2:1, 부피는 6:5이므로 몰 농도는 5대 3, x=0.6입니다.
- X와 Y만으로 이루어진 분자들이므로, 전체 기체의 질량에서 Y의 질량을 뺀 값은 X의 질량입니다. 따라서 X의 질량은 (가)에서 35w, (나)에서 28w입니다.
- Y의 양이 동일하므로 전체 원자 수 차이는 X에서만 기인합니다. (가)와 (나)에서 X의 비가 5대 4인데, 전체 원자 수 비가 상댓값으로 11과 10이므로, 차이가 1로 같기에 X 원자 수는 같은 상댓값으로 5와 4입니다. 따라서 (가)와 (나)에서 Y 원자 수는 상댓값 6으로 동일합니다.
- (가)에서 X 5개가 35w이므로 X 1개는 7w, Y 6개가 3w이므로 Y 1개는 0.5w입니다. 따라서 X의 원자량과 Y 원자량의 비는 14:1입니다.
- 한편, 문제에서 a와 c의 비를 물었기에, XaYc만 존재하는 상황을 만들고 싶습니다. (가)의 2배에서(나)를 빼면, X 원자 수는 10에서 4를 뺀 6, Y 원자 수는 12에서 6을 뺀 6입니다. X와 Y의 원자 수가같으므로 a=c입니다.
- 한계 반응물을 확정합시다. A는 II에서 더 많은데 전체 기체의 질량은 I에서 더 크므로 B는 I에서 더 많습니다. 한편 C의 양이 같으므로 반응한 양이 같습니다. 따라서 두 실험에서 모두 한계반응물이 같을수 없으며, I에서는 A가, II에서는 B가 한계 반응물입니다.
- I에서 A n mol이 반응하여 C n mol이 생성되었습니다. 따라서 a=2입니다. 계수가 확정되었으므로 편의상 n을 상댓값 2로 하여 문제 풀이를 이어나가봅시다. II에서 C가 2개 생성되었으므로 A는 2개 감소하였고, 반응 후 기체의 양은 3개입니다.
- 한편, 기체끼리의 반응에서 반응 전후에 전체 기체의 질량은 보존됩니다. 따라서 반응 후 전체 기체의질량비는 15대 14, 밀도비가 5대 7이므로 부피비는 3대 2입니다. 2에서 II의 반응 후 기체 양을 3으로구하였으므로 I에서는 4.5입니다.
- I에서 C의 양이 2이므로 남은 B의 양은 2.5이며, 1개 반응하기 이전의 양은 3.5입니다. 이제 반응 전의A, B 양과 전체 질량이
이러한 상황인데, 연립할 순 있지만 솔직히 좀 귀찮습니다.. II의 상황이 I가 되는 변화를, I에서 2번 해주면
B는 8.5개가 되고, 상댓값 질량은 17이 되어 B 1개는 2, A 1개는 4의 질량을 갖습니다.
2대 1대 2 반응이고, A, B의 분자량 비는 2대 1이므로 뻔하디 뻔한 4대 1대 5 질량 반응입니다. B와 C의 분자량 비는 2대 5입니다.
전체 문항 손해설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쉽든 어렵든 매번 틀리는데 어케고치죠 그냥 저런 도형만 보면 막막해서 풀이 방향...
-
인데놀 2
10mg만 먹었는데도 성능 확실하네 오히려 많이 먹으면 더 처질듯
-
2026학년도 5월 모의고사 [10-13] 해설
-
지금 성적에서 12211 만들기 어려울까요.? 수학을 어떻게 올려야될지 모르겠네요...
-
세지 개념 4
세지는 개념 어느 정도로 끝내고 문제 풀어야 하나요? 저 미국 수도도 모를 정도로...
-
5모 성적 3
언매 100 미적 92 영어 91(18번 틀림 ㅋㅋ) 한국사 50 물2 45(3번...
-
모르겠다 ㅋㅋ
-
대학 공연에서 우는연기 잘해서 칭찬받음뇨
-
평가원이나 교육청 공통은 웬만하면 다맞거나 실수나서 하나 삑나는 정도였고 풀어본...
-
5모 국어 후기 2
65분 100점 감쇠기지문은 진짜 학평 특유의 노맛지문 쇼펜하우어는 지문에 비해...
-
맨유 토트넘 3
누가 이기나
-
귀신은 있는건가 1
전에 살던 집에서 일주일에 한 번은 가위 눌리고 악몽도 엄청 꿨는데 지금은 가위는...
-
따흐흑... 1인team으로 승리한다 틀딱이라 ㅈㅅ
-
최근에 깨달은게 1
카톡 임티 플러스 쓰면 내게 남는 임티는 없다는 거임
-
어차피 0
머리뚫림. 나아는.
-
고1 과외 1
고1 과외하는데 연립부등식나 절댓값 파트 어려운거 그래프로 문제풀이하는거 과하나??...
-
이준석, ‘수학교육국가책임제’ 공약…“수학 공교육 시스템 확립” 4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수학 공교육을 확립하고, 이른바 수포자(수학 과목을...
-
내가 쓰는 조건이 필요조건인지 충분조건인지 따지는게 너무 어려움 3
정의도 가끔 헷갈림 저런걸 다 구분하면서 푸는게 말이 되냐 대단하네
-
이거저거 질문글 라떼썰 썼더니 프사 오리에 파란원이 생겼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