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화학드랍러 [1348982] · MS 2024 · 쪽지

2025-05-09 12:14:35
조회수 143

국어 독서 고민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83645



원래 전형태 강의 들으면서 그읽그풀식으로 풀다가 강민철 강의 다들 추천하길래 올해는 강민철 들었는데 글이 안 읽히고 작년 5모 하나였나 두 개 틀렸는데 이번에 지문 두 개가 다 털려서 심각하게 고민이에요.


구조화해서 읽는 게 어려운 문제 만났을 때는 좋을 것 같은데 지금 오히려 쉬운 지문도 읽으면서 너무 이거저거 생각하니까 글이 읽긴 읽는데 머릿속에 안 들어오고 있는 느낌...


계속 이대로 하면서 강의 듣고 체화하려고 노력해야할지 아니면 예전에 하던 것처럼 혼자서 n제 풀면서 그읽그풀식으로 읽을지 고민이에요.


흑흑

최대 1개 선택 / ~2025-05-16 12:14:36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성현(成賢) · 1387814 · 7시간 전 · MS 2025

    '구조화'와 '그읽그풀'을 대립적인 개념으로 보실 필요는 없습니다.

    평소처럼 그읽그풀 방식으로 읽으면서, 각 문장과 문단이 무엇을 말하려는지에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구조가 드러납니다.
    오히려 처음부터 구조만을 찾으려는 태도보다는, 그읽그풀 하듯 읽으면서 구조를 함께 발견하는 접근이 더 효과적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읽어야 글의 핵심 내용이 논리적 구조로 구체화되어 보이게 됩니다.

    그읽그풀과 구조 독해를 함께 사용하며 맥락적으로 글을 읽는 방법은 아래 칼럼에서 자세히 다뤘으니 참고해보시면 좋겠습니다!

    https://orbi.kr/00073042712

  • 낭만화학드랍러 · 1348982 · 7시간 전 · MS 2024

    예전에 혼자 공부할 때는 그냥 읽고 푼 다음에 오답이랑 문단별 주제 한문장 정리?정도만 했었는데 이정도만 해도 괜찮을까요?

  • 성현(成賢) · 1387814 · 6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문단별로 주제를 요약하시면서 각 문단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흐름을 파악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그 과정을 반복하다 보면 문장과 문장 사이의 관계도 자연스럽게 보이게 됩니다.

    이런 연습이 쌓이면, 나중에는 실전에서도 글의 관계성이 눈에 들어올 정도로 체화될 겁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건 글을 다 읽고 난 뒤에 사후적으로 요약하는 게 아니라, 읽는 동안 맥락을 찾아내는 연습을 하는 겁니다!

    그래야만 그읽그풀의 사고력 이슈를 해결할 수 있어요.

  • 낭만화학드랍러 · 1348982 · 6시간 전 · MS 2024

    감사합니다!

  • 성현(成賢) · 1387814 · 6시간 전 · MS 2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