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삥현역 [1382951] · MS 2025 · 쪽지

2025-05-09 10:15:29
조회수 313

국어 5모 질문 있어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83027

이거 5번 이야기인데 보기에서 섀플리 값으로 건설 비용을 분배하기로 정했다면 지자체 순서가 BAC로 


연합이 형성되었다고 해서 비용을 분담하지 않는 지자체가 있을거라고 생각하지는 못했거든요.


해설에서는 한계 기여도로 얘기를 하던데 5번 선지는 그럼 섀플리 값에 대한 얘기가 빠진 것 아닌가요?


제가 생각을 잘못했거나 섀플리 값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 같아서 질문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포기를 포기 · 1164623 · 21시간 전 · MS 2022

    보기에서의 전제가 섀플리 값으로 한다구 나와있어요

  • 새삥현역 · 1382951 · 2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그러니까 말이에요 전제가 섀플리 값이면 비용을 부담하지 않는 지자체가 있을 수 있냐는거죠

  • 원나올 · 1365296 · 21시간 전 · MS 2024

    섀플리 값은 모든 순서의 경우에서 구한거고
    5번 선지는 순서가 정해져 있는거예요

  • 새삥현역 · 1382951 · 2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섀플리 값의 의의가 순서가 어떻게 형성되었든 간에 총비용을 공정하게 분배하는 것으로 이해해서요, 순서가 어떻든 연합에 ABC가 참가했다면 부담되는 금액은 같을거라고 생각했어요.

  • 원나올 · 1365296 · 20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순서가 어떻게 형성되었든지< 이거를 고려하는 과정이 모든 순서의 경우의 수를 계산하는거예요
    이미 정해져있으면 하나 하나 다 고려할 필요가 없죠

  • 새삥현역 · 1382951 · 20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최대한 납득해볼려고 하는데 납득이 잘 안되네여;; 보기에서는 지자체 abc가
    모두 참여하는 연합을 구성하고 건설 비용을 부담하는 과정을 섀플리 값으로 결정하겠다고 하는데,
    이를 전제로 봤을때 보기에서 순서가 정해져있다고 섀플리 값이 아닌
    보기 순서의 한계기여도 값으로 비용을 부담한다 판단하는 것은 틀린거 아닌가요..?

  • 원나올 · 1365296 · 19시간 전 · MS 2024

    문제 의도 자체가 건설 비용을 셰플리 값으로 정한다< 지문대로 한계기여도와 가중치로 계산해라
    선지는 셰플리 값을 구하는 과정을 물어보는거예요

  • 새삥현역 · 1382951 · 19시간 전 · MS 2025 (수정됨)

    확실히 문제 의도가 그렇다면 납득 가능할 것 같네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