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5월 모고 영어 38번 해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81917
수능 영어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무명의 강사입니다.
부족하지만 38번 오답률이 높아서 해설 올려봅니다.
38번
주어진 문장
Yet this, the increasingly collective nature of science, is often missed in stories of individual genius, whether Newton sitting under an apple tree or Einstein writing at night after his job.
→ 그러나 이러한, 점점 더 집단적인 과학의 본질은,
→ 뉴턴이 사과나무 아래에 앉아 있었다든지, 아인슈타인이 밤에 글을 썼다는 식의 개인 천재 이야기에서 자주 간과된다.
:앞 문단에서 말한 과학의 ‘집단성’을 대중이 잘 인식하지 못한다는 문화적 비판
Yet는 사실은 그렇지만 현실 인식은 다르다’는 내용 전환 신호
For most of history science was secretive, obscure and often considered indistinguishable from magic.
→ 역사의 대부분 동안, 과학은 비밀스럽고 불분명하며, 종종 마법과 구분되지 않았다.
과학의 과거 이미지: 개별적, 신비적, 불투명한 영역
Modern science by contrast combines observation, interpretation and action in forms that collectivize the knowledge gained and institutionalizes them in labs, centres, disciplines, funds and stored memories.
→ 이에 반해 현대 과학은 관찰, 해석, 행동을 통합하여,
→ 얻어진 지식을 집단화하고, 실험실, 센터, 학문 분야, 기금, 기억 저장소 같은 형태로 제도화한다.
본격적인 현대 과학의 집단적 성격 설명 시작
이 문장 다음부터가 주어진 문장의 ‘this (collective nature)’를 가리킬 수 있음
하지만 여기서 바로 주어진 문장을 넣으면,
→ 뒤에 더 풍부한 설명(③~⑤)이 남아 있어 흐름이 어색하게 단절됨
As a collective, science polices itself, as happened in 2018 when a Chinese scientist, He Jiankui, announced the birth of twin girls with edited genomes, and was met with a storm of disapproval.
→ 과학은 하나의 집단으로서 스스로를 통제한다.
→ 예: 2018년, 중국의 허젠쿠이가 유전자 편집 아기를 발표하자, 거센 비판이 이어졌다.
과학의 집단적 윤리적 자기규율 사례
This open and collective nature was understood early in the history of modern science.
→ 이러한 개방적이고 집단적인 특성은, 현대 과학의 초기부터 이해되고 있었다.
집단성 = 새롭지 않음, 초기부터 존재했음
Joseph Glanvill was one of its first theorists, arguing in the 1660s that ‘free and ingenious exchange of the reasons of our particular sentiments’ is the best method of discovering truth and improving knowledge.
→ 조지프 글랜빌은 그 이론의 선구자 중 한 명이었으며,
→ 1660년대에 ‘개인의 생각에 대한 자유롭고 창의적인 의견 교환’이
→ 진리를 발견하고 지식을 발전시키는 최고의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초기부터 집단적 소통과 토론 = 과학 발전의 핵심이라는 철학적 기반 소개
⑤ 에 주어진 문장이 삽입된다면?
Yet this, the increasingly collective nature of science, is often missed in stories of individual genius…
지금까지의 설명 요약 + 현실 비판 전환
이렇게 오랜 역사와 제도 속에 집단성이 자리잡았음에도 불구하고
대중은 여전히 뉴턴, 아인슈타인 같은 ‘개인 영웅 서사’만 소비한다는 문제의식 제시
그런데 ⑤번 뒤 문장도 “그러나”로 시작하는데, 이상하지 않나요?
But the more we know, the more collective science looks, dependent on networks of collaborators, supporters and colleagues.
→ 하지만 우리가 더 많이 알수록, 과학은 점점 더 집단적으로 보인다.
→ 협업자, 후원자, 동료들의 네트워크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But은 단순 대조가 아니라, 역설적 강조
→ 여전히 개인 천재 서사만 보고 있지만, 알면 알수록 실상은 집단적이다
따라서 이 두 문장은 기능상 서로 보완 관계임
첫 번째 "Yet": 현실의 오해 지적 (비판)
두 번째 "But": 그 오해를 뒤집는 강조 (강조)
→ 둘 다 ‘그러나’로 시작해도 문맥상 문제 없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좋아요 0 답글 달기 신고
-
안녕하세요 '지구과학 최단기간 고정 1등급만들기' 저자 발로탱이입니다. 지난 1년간...
-
학벌이 의미가 없는 세상에서 살고 있는거죠 사람은 자기 주변을 보고 판단을 하게...
-
기출분석이 되어있으면 이정도는 가능해야됨
-
미적 어려웠는데
-
맞다고 했음 그래서
-
대학이 보인다..
-
오르비언 14
가능
-
12번 ㅇㄱㄹㅇ
-
작수 생지는 44 38점 이었고 (생명은 첫페이지에서 병신같이 3점짜리 틀려버린게...
-
공군 질문받아요! 10
아직 입대 6개월된 짬찌지만 아는선에서 답변드리겠습니다
-
지워드렸음
-
국어 잘하고싶다 0
국어잘하고싶다 국어 개잘해져서 아무ㅗㄷ 날 무시못하게 국어 고정 1등급을 달성하고싶다 .
-
빅헤드메타뭐야 4
누가이렇게 대단한거야
-
학벌은 무의미함 0
그러니가 올해까지만 하고 내년에는 오지 마라고 아 ㅋㅋㅋㅋㅋ
-
연대 라인업 기대되네 17
140주년이라 크게 할텐데 기대가 됩니다~
-
빈칸고자 좀 도와주세여... 90점 턱걸이했는데 빈칸 -8점임
-
한의학의 전문가는 한의사인데 왜 다른 직역이 이거다 저거다 하고있냐? 한의학은...
-
학평 과탐 1
난이도 왜이럼..
-
성공하면 님들 펫 생김
-
그랬나봐 2
나 널 좋아하나봐
-
오르비 의뱃형님 따라하기
-
나 강화해보셈 11
10덕에 강화 가능함
-
단어 부족해서 워드마스터 베이직이랑 2000 샀는데 이거다 외우고 커리 타는거임?...
-
두꺼우면 보기싫어
-
5모성적으로 3
설수의 갈수있나요?
-
언매 드랍 3
-
근데 3학년 노인이라 수원까지 가기는 너무 힘들어
-
여리여리 0
너무 좋아
-
정석민 0
현강이랑 차이가 뭔가요?
-
축구 관해서는 완전 문외한인데 이번에 손흥민 우승하면 무관 드립 사라지고 손까들도...
-
화작 언매 1
화작 2~30분 걸려서 2~3문제 틀리고 독서 2~3지문 나리는 상황인데 언매가 나을까요?
-
개깔끔하네 가형고정100은 달라도 다르다 저건 뭐야
-
5모 점수 3
수학이 좀 아쉽네..
-
미지근한 오르비 뜨겁게 열 올리는데는 짱이네
-
생각해 보니까 예전에 중세국어 보기를 잘못 인용한 게 있어서 오류 떴었다고 하는...
-
기만입니다 5
제 키 160대입니다 단위는 킬로미터
-
돈잘 (돈많고 잘생김) + 몸잘 (몸좋고 잘생김) 이게 최고임 학벌? 안봄 ㅇㅋ?...
-
기만하고싶다 3
그래서햇음
-
시발점 워크북 유기하고 수분감 step 1 푸는거 어떤가여 0
워크북은 계산연습용으로 나중에 따로하고 기출먼저 하는거어때요?
-
높은데는 바라지도 않습니다. .
-
서울애서 대구 쏴야겠다 ㅖㅏ
-
국어 87 수학 100 영어 2 지1 50 화2 50 국어 진짜 어떻게 해야 오르나요 선배님들ㅠ
-
잇올에서 종쳐줄때 시간재고 풀었어요 목표는 한의대입니다
-
책 이쁘다..
-
우웅
-
헤헤헤ㅔㅎㅎ 4
헤ㅔ헤헤헤헤헿
-
진짜 공부 뒤지게 안하네
-
님들 어떻게 푸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