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 고민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59049
요즘 지구과학 공부할때 그냥 문제를 풀때도 그렇고 모의고사를 풀때도 그렇고 킬러는 거의 다 맞추는데 개념문제를 종종틀리면서 빵꾸가 있다는걸 너무 느낍니다..ㅜㅠ 이럴때는 개념책만 다시 읽어보는게 좋나요? 아니면 인강을 첨부터 다시들어보는게 좋나요? 그냥 문제를 주구장창 풀면서 매꾸는게 좋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아.
-
헬조선멸망기원 15
-
선착순 5
놀이 재밌다
-
작년과 다른 나를 보는것 같아 좋구나....
-
선 9
착순 1명 5000덕
-
선착순 1명 5
왕기요미
-
돌연변이?
-
선착순 1명 5
기요미
-
맞팔9 4
.
-
보통 국/영 기출 다 하면 고3들은 뭘 하지???????????? 2
고3이 너무 예전이라 기억이 안나네... 뭘 시켜야 되나.. EBS 풀게 할까요??????????
-
고민해결 6
ㄱㅅ 선착순 5명 1000덕
-
삼반수를 하고싶습니다 물론 대학을 높이고 싶은 욕심도 있지만 좋아하는 오빠가 서울에...
-
들어주실 분 계신가여 제발
-
아니 뭐야 5
이중인격 ㄷㄷ
-
시대 재종 질문 0
합격 문자가 왔는데, 어디 반 배정되는지는 지금 알 수 없는 건가요?
-
과1사1 보는사람이 나밖에 없네ㅋㅋㅋㅋㅋㅋㅋ
-
하.. 뭐임? 새로고침 계속 해도 안되던데
-
국어 질문을 어디다가 해야할까요? 인강 조교님들은 답변이 좀 성의없고, 시원하게...
-
5모 조퇴 1
국어 수학맘 보고 조퇴하는거어떰요 사탐런했는데 한지 아직 다못끝냄+ 영어는웬만하면1이라
-
고2 모고 낮은 333에서 1년 반만에 수능 평균 1~2 8
위 같은 사례가 얼마나 있나요? 극히 드문가요...?
-
법학과에 친한 선배있었는데 말 걸어볼까 이쁘시더라
-
레벨 2: 어삼쉬사 레벨 3: 중간~어려운 4점 맞나요?
-
아
-
죽겠다 5
공부량 복구 완료 아니 오늘은 더 늘었다고 봐야
-
끝 1
맛저하쇼
-
지나가다 보는데... 로카티만 입고 전투복 바지 입고, 베레모/전투모도 안쓰고...
-
저사람 뭐냐? 16
이정도면 ㄹㅇ 이중인격인데
-
한의.. 1
작수 화작 한지세지 98 100 100에 영어1 이엿는데 국어를 개같이 말아먹어서...
-
난 그 시간에 수학만 따로 풀고 내 공뷰하고 싶른데..
-
내일 5모 7
풀고 나서 바로 오르비에 난이도 어떤지 쓰면 사람들이 궁금해하려나
-
아기 출근 6
응애
-
뜰 때까지 다 꽝 나옴 이거에 15번쯤 더 뜸
-
과외 하나 더 잡음 14
학원 일 청산하려고 미리 잡아둠 크아악
-
선 13
착순 1명 10 00덕
-
스 1
카 갈게
-
신캐보고 원신 복귀함 12
으흐흐흐흐흐 몇개월만의 맛있는신캐 다들원신하세요.
-
청춘돼지 보니까 0
2004 수능 양자역학 지문 내용이 양자얽힘인 걸 알게됨
-
어떻게 받아.?
-
누구에게나 1
돌아가고 싶은 과거 하나쯤은 있잖아. 다들 현생에 집중하느라 그리운 마음에 무뎌져서 사는 거지..
-
ㄷㄷ
-
부엉이 모의고사를 개인적으로 미리 받아서 풀어봤었는데 부엉이 모의고사가 오르비에...
-
야 9
구
-
일단나부터 뻘글도 주기적으로 밀어야겠음
-
๑❛ᴗ❛๑ 2
◕‿◕
-
오르비언들 너너무너무누ㅜㅜㅜ 귀여운 사람 많음 이거 병인가
-
부엉이 모의고사 후기 12
인생 최고의 실모였습니다 한번씩 풀어보시길 참고로 저는 공통 3.1틀함
-
[21 LEET] (23~25) 봄바르부르딜로크로코딜로 효과 2
----- 1문단 ----- 암세포 : 산화적 인산화 억제, 해당작용으로 에너지...
-
죄송합니다 9
저도 앞으로 오르비에 글 안 쓸게요 ㅈㅅ
저는 과탐은 그냥 양치기 하면서 개념을 매꾸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면 양치기는 기출로 계속 하면될까요? 지금 2회독 끝났습니다
암기가 다 되었다는 전제하에
1. 개념서 있으면 한 챕터씩 "제대로" 이해하기
2. 해당챕터 기출 풀면서 변별(지엽) 포인트 확인
지질시대 등장과 번성, 폐색전선이나 온대저기압 최대저기압이 중앙이 아니라는 점, 세차 운동 방향이나 별의 일생 동안 내부 구성, 급팽창 우주론의 이해 등등 생각보다 모르는 게 많을 겁니다.
기출 풀다보면 공통된 변별 포인트가 보일 거예요.
그리고 개념서에 나오지 않은 부분(예: 별의 일생 동안 CM도(다른 이름이 있었던거 같은데..HR도였었나))에서의 위치, 구조, 구성 물질, 대류 복사, 크기변화, 밀도변화, 힘의 평형 변화, CMO PP 변화.. 등등을 다 찾아서 알고 가시는 게 편할 겁니다. 주계열성 말고 적색거성 이후부터도요
그러면 따로 저만의 핵심개념 + 지엽적인 개념등을 다포함한 저만의 노트를 만드는게 좋을까요?
네 저는 그렇게 해서 하루에 한 번씩 읽고 있어요
개념서 순서가 아니라, 이 단원 파트의 핵심이 뭔지
ex) 별의 거리 측정법, 지질 시대 연구
등으로 재편성하시면 더 좋습니다
오 좋은조언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