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이 국어를 파훼하지 못하는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42966
시대갤 전 국어출제팀원의 이야기를 옮겨옴
1. 인원 구성
문학 파트 : 다른 파트의 인적 구성이 20,30대로 이뤄진 것과 달리, 모두 나이 지긋하신 문학 전공자 분들입니다. 문학 선지를 쓸 어휘력 갖춘 젊은 사람이 없나봅니다.
독서 파트 : 철학 지문은 철학과 석박사분이 냅니다.
과학, 경제/법은 전공자를 채용하면 좋지만, 안 계신 때도 있습니다. 이공계, 경제, 법학 전공자가 국어 실모 출제에 풀타임으로 취업하는 경우가 드물어서요.
화작 언매 파트 : 국어 교사 임용고시 준비하시던 분들이 대다수입니다.
팀원 급 중에서 오래 근속하는 사람은 소수입니다.
2. 어떻게 일하는가
매우 노동집약적(?)인 방식으로 일합니다.
입사하면서 만연히 생각한 것과 다르게
‘오류 없고 그럴듯하면서 어려운 선지 만들기’ 는 관건이 아니었습니다.
되돌아 생각해보면, 풀이에 수십분 걸리는 어려운 퀴즈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글을 올바로 읽고 이해한 사람은 30초 이내에 정오판단할 수 있는 문장을 만드는 것이 목표인 만큼 당연한 것이었습니다.
‘문장 2개마다 1개 선지를 낼 수 있을 정도로 정보를 욱여넣으면서, 평가원 기출지문과 비교할 때 위화감이 없는 문장 완성도 및 글의 짜임새를 갖춘 지문 쓰기‘ 가 어렵고 오래 걸립니다.
몇 년 동안 인정받으면서 일하신 분들도 피드백 주고받으면서 수십 번 고쳐씁니다.
문제를 다 출제할 즈음에야 지문에 정보량이 부족하다는 걸 깨달을 때도 많습니다. 그럼 지문을 고치고 다시 출제합니다.
그렇게 시간을 들여도 수능처럼 빈틈없으면서 대담한 논리를 갖춘 글이 나오지는 않습니다.
각 파트별로 출제한 결과물을 합친, 완성된 세트에 대해 내외부 피드백을 거칩니다. 국어 실력이 상이한 학생 다수를 테스트베드로 삼아 통계를 내고 난도 조정을 하는게 ‘실전모의고사’로서 바람직하겠지만, (적어도 제가 일할 당시에는) 그렇게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왜 그전에 평가원이 독서를 압도적으로 어렵게 냈는지 이해되는 부분
절대 사교육으로 대비를 못시켜주니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진짜 100번양보해서 사촌이 올렸다는거 다 믿을게요 근데 그다음에 욕설 섞인...
-
https://orbi.kr/0001348314 풋풋하다
-
아까 올린 글이 안 보여서 다시 올립니다. 현재 고대 사범대를 목표로 하는...
-
오르비랜덤짤 3
문제시삭제
-
저는 유리화 해야 역과정이 잘 보이는데 다들 어떻게 계산하지는지 궁금하네요
-
계산이 그냥 고작 1년사이에 개느려짐 ㅋㅋㅋ 그리고 그냥 이젠 삶의 지혜로 푸는거지...
-
실모: https://orbi.kr/00073034294 요약: 지하보다 더 깊은...
-
ㅇㅋ 학습했음
-
2026 김0한 2회차 수학 실전 모의고사 출제 의도와 총평 브리핑 4
안녕하세요 김0한입니다. 저의 두번째 실전 모의고사의 출제 의도를 설명드리기 위해서...
-
그때 충격이 너무 크긴 했는데 내가 공황이라는게 더 안믿기네
-
반갑수다 학생때부터 인강 수강을 정통으로 파서 인강만큼은 누구보다 잘 활용하는...
-
평온하게 클래식 듣고 있는데 깜짝아
-
오르비에서 허황된 자아를 만들고 그게 너무 커져서 현실의 나를 잡아 먹은 느낌
-
정병녀 꼬시기 2
흐흐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