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국어 문법 칼럼] 사잇소리 현상을 새롭게 해석해보자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33481
안녕하세요. 수능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추승모라고 합니다.
오르비에 가입하고 처음 쓰는 글이기에 조금은 난잡할 수 있으니 너른 이해 부탁드립니다... ^^
----------------------------------------------------------------------------------------------------------------
많은 학생들이 음운 변동을 공부하다보면, 사잇소리 현상에서 엄청난 분노를 느낍니다.
실현되는 조건도 어렵고, 결과도 3가지나 있기에 외우기가 쉽지 않거든요.
내신을 대비하다 보면, 학교에서 사잇소리 현상을 시험범위에 포함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면 학생들은 환호하죠.
그렇다면, 도대체 사잇소리 현상이 뭐길래 이렇게 어려운 것인지 한 번 살펴볼까요?
음운 변동을 공부하는 과정 중에서 '합성어'가 무엇인지 알기 어렵지만, 일단 합성어에 대한 공부는 끝났다고 가정을 해보겠습니다.
동일한 조건에서 3가지나 되는 결과가 도출되다니, 이건 좀 짜증이 나는군요.
게다가 1번의 경우는 된소리되기와 헷갈리고, 2번의 경우는 ㄴ첨가와 헷갈릴 여지가 다분합니다. 화가 납니다..
이런 상황에서 우리는 사잇소리 현상을 다르게 해석해 한 방에 끝내 버리는 방법이 있습니다. 필살기이죠.
바로 'ㄷ 첨가'입니다.
사잇소리 현상이 일어난다 생각하면 어려우니 그렇게 생각하지 말고, 앞말의 종성에 그저 'ㄷ'이 첨가된다고 생각을 해봅시다.
ex1)의 경우 'ㄷ'이 첨가되었기에 된소리되기의 조건이 만족됩니다.
ex2)의 경우도 'ㄷ'이 첨가되었기에 된소리되기의 조건이 만족됩니다.
ex1)과 ex2)의 차이는 다 사용하고 남은 'ㄷ'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것입니다.
ex1)은 'ㄷ'을 다 사용했고, 'ㄷ'이 남아있든 안남아있든 상관이 없습니다. (물론 'ㄷ'을 버리는 것이 원칙이긴 합니다.)
그렇기에 'ㄷ'을 갖고 있든지 버리든지 개인의 선택입니다. 두 가지의 발음이 모두 허용되는 것이지요.
그러나 ex2)는 상황이 조금 다릅니다.
한국어의 겹받침 중에는 'ㄴㄷ'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ex2)의 경우엔 'ㄷ'을 반드시 버려야만 합니다.
ex3)의 경우는 어떤가요? 'ㄷ'이 첨가되었기에 비음화의 조건이 만족됩니다.
'ㄷ'은 비음화를 거치면 반드시 'ㄴ'으로 변합니다. 사잇소리 현상에서 말한 2번째 결과인 'ㄴ 소리가 덧난다.'가 이 의미이죠.
ex3)의 경우에서 다 사용하고 남은 'ㄷ'을 버린다는 것은 'ㄴ'을 버린다는 소리와 같은데, 가능할까요? 불가능합니다.
이 경우에는 'ㄷ'을 반드시 갖고 있어야만 합니다.
----------------------------------------------------------------------------------------------------------------
그렇다면 사잇소리 현상에서의 3번째 결과인 'ㄴㄴ 소리가 덧난다.'는 'ㄷ 첨가'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요?
예를 들어봅시다. ex) 나무 + 잎
합성어이고, 앞말이 울림소리로 끝났기에, 앞말의 종성에 'ㄷ'을 첨가해줍니다.
그렇다면, ex) 나묻 + 잎 이 되겠네요.
이렇게 되니, ㄴ 첨가의 조건이 만족됩니다. 합성어에서 앞말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이, 야, 여, 요, 유'니까요.
ㄴ 첨가를 해봅시다. 그러면, ex) 나묻 + 닢 이 됩니다.
얼레. 이렇게 되니 비음화의 조건이 만족되네요. 'ㄷ'이 'ㄴ'으로 변합니다. 여기에 음절의 끝소리 규칙까지 얹어준다면,
ex) 나무 + 잎 [나문닙] 이 되겠네요.
이렇게 놓고 보니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이라고 말해도 무리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사잇소리 현상에서 그렇게 정의한거군요.
----------------------------------------------------------------------------------------------------------------
그러면 사이시옷은 어떻게 되는걸까요? 간단합니다. 합성어이고,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ㄷ첨가가 일어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적어줍니다.
----------------------------------------------------------------------------------------------------------------
많은 수험생들께서 'ㄷ 첨가'를 처음 보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도 대학에서 배우기 전까지는 몰랐으니까요...
신뢰할 수 없는 무기라서 사용하지 않으실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ㄷ 첨가'는 생각보다 날카로운 검입니다.
사잇소리 현상이 어려웠던 수험생들에게는 'ㄷ 첨가'가 강력한 무기가 될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ㄷ 첨가'로 기출 문제를 풀어보세요. 쉽게 풀릴 것입니다.
* 주의) 내신 서술형에서는 사용하지 마세요. 백퍼 감점 당합니다 ㄷㄷ
----------------------------------------------------------------------------------------------------------------
처음 쓰는 칼럼이다 보니 조금은 난잡한 것 같습니다. 그렇지만 수능국어에서 언어와매체를 선택한 학생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ㅎ ^^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학교 설명회용으로 대충 만들었는데 수정하거나 추가할 내용 있을까요? 가독성은 수정 끝내고 올릴 생각
-
중3때부터 해도될거같은데... 저때부터 굳이 빌드업할이유가있나.... 그냥...
-
난 이해된다 ㅠㅠ
-
하지만 귀찮다
-
10분 거리에 짜장곱빼기 4천원 레전드집이 있었는데 6
6개월동안 만원주고 배달시켜먹었네 병신인가
-
[수능 국어 문법 칼럼] 사잇소리 현상을 새롭게 해석해보자 2
안녕하세요. 수능 국어를 가르치고 있는 추승모라고 합니다. 오르비에 가입하고 처음...
-
여기사람들은 13
22 30을 푸네요 헐...ㄷㄷ 역시 난 저능아야...
-
조작할거면 말도 안되는 점수로 안하지 않나…? 예전에 모의수능 성적 보고 팔로우 해뒀었는데
-
작수 28번 푸는데 g'(1) 부호가 반대로 나와요.. 아디가 틀렸는지 못...
-
ㅠㅠ 1
-
휴대폰 때문도 있다고 봐요 어린애들 눈앞에 이렇게 재밌는 게 있는데 책을 어떻게...
-
하사십 6
나엔제 시작도안했는데 하사십부터 풀엇는데 이게 난이도가 높은거라고?ㅇㅅㅇ
-
어릴때 독서습관은 확실하게 들일거임 숫자감각이나 공간감각은 물려받으면 얼추 될거고
-
있지않았나
-
확정 ㅊㅊ
-
대한민국 정부요인을 몇개를 혼자서 차지하는거냐
-
둘중에 뭐가 더 이쁨? 일단 난 배럴은 위가 훨씬 이쁜거 같은데 위는 투톤 금장닙이...
-
머리 좋고 잘 따라가면 의대 충분히 감 (중고등 때도 이탈 안하고 열심히 해야되고)...
-
약간 분위기가 가오 챙기려고 미적하는 ㅂㅅ~~ 이런느낌인데 지금 엔제 이것저것 푸는...
학생들이 실전에서 쓸 수 있는 꿀팁 같습니다. 최고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