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거야할거야갈거야 [1387883] · MS 2025 · 쪽지

2025-05-04 14:00:25
조회수 71

판별식 쓰면 안될 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3031297

미지수에 범위가 정해져 있으면 이차식의 계수를 확정할 때 판별식을 쓰면 안된다고 하는데 정확한 이유가 무엇이죠? 그래프의 개형으로 보면 판별식은 이차함수 전체가 x축에 접하는지, 접하지 않는지를보는거고 범위가 있으면 그 안에서만 봐야해서 그런 것 같간한데 논리적으로 잘 정리가 안됩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에코라 · 1345683 · 3시간 전 · MS 2024

    범위에 따라서 함수가 짤리니까ㅇ ㅛ

  • fareweII · 1212576 · 3시간 전 · MS 2023

    판별식은 실수 전체에서 정의된 함수에서 실근의 존재성을 판단할 때 쓰는 식인데,
    정의역이 제한되어 있으면 실근인 x가 정의역 내에서 존재하는지 밖에 있는지 알 방법이 없어서 그래요.
    이차식이면 함숫값, 판별식, 대칭축 이 세가지로 종합적으로 판단하면 판별식 써도 되긴 합니다.

  • fareweII · 1212576 · 3시간 전 · MS 2023
  • 원데이 · 1376795 · 3시간 전 · MS 2025

    그래서 전 걍 근분리문제에선 함수가 짤렸던 안짤렸던 판별식 안쓰고 최대최소값만 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