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문개념 이거 종지부찍어야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96119

연구자와 연구대상자간 정서적 교감을 중시하는가?
나는 지금것 이게 면접법만 해당되는 내용인줄 알았음
참여관찰법은 최대한 방해금지니까
근데 이번수특개념보면 질적연구로 통합시킴 이 정서적교감개념을
결국 참관 +면접법이란얘기임
인정하십니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거너래좋아요 2
흐흐흐
-
이병 3호봉 등장 다행히 자대가 집이랑 가깝다
-
자기전에 맞팔구 3
더 친해져요
-
응 컴퓨터 켯어 7
응 공부 안해
-
ebs 수특 꼭 해야됨? 그냥 사설 혼자풀면서 실력쌓고싶은데
-
공부해야하는데 5
https://orbi.kr/00072991174 이거 채울려면 한 1시간 남았는데...
-
수2 문풀 ㄱㄱ 2
복습을 더 해야겠구나 하고 반성한 문항 아직 김범준이 되지 못했다..
-
생각보다 쉬웠네요
-
What you say 남자니까 마약할 수도 있지 뭐 2
What u say
-
수능국어문학 기준 두분 모두 goat이지만 누가 더 좋다고 생각하세요?
-
나는 행복해 0
못생기고 성적도 ㅈ댔고 친구도 없고 연인도 없고 과외도 안잡히고 알바도 안하고있고...
-
하아 0
붐명 문제는 풀리는데 근원을 알 수 없는 불안함은 대체 어케 극복하지..
-
멀쩡한 사람 만나고 싶어요...
-
친구들이랑 같이 하고 있는데 얘네가 중간고사 끝났더고 안 켜서 뭔가 할맛?…이...
-
정성 평가에서 어떻게 나얼지 모르겠으니까 하..
-
맥쥬는 뭔가 맛이 약하고 소주는 쎈데 그걸 중화하면서 잘 취하고 심지어 맛있음 소맥은신이다
-
맥주든 소주든 6
안먹어봣는데 난 걍 물이나 마실래 ㅎㅎ
-
궁금 4
글 내용중에 iq얘기보고 궁금해졌는데 평균이 몇이에요..? 갑자기 궁금하넹
-
수1 수분감 끝냈는데 자이스토리같은거 한번 더 푸는게 나을까요??
-
공동체 역량에서 규칙준수 부분 무조건 까인다 봐야겠지?
-
먹고 집와서 배 꾹 누르면 그냥 부오아오어아아아아악 부스터 나옴
-
입결 낮은대학가고 취업 더잘하는게 낫냐
-
작년엔 소주가 달아서 다른 사람들한테 소주 너무 달지 않냐고 인위적인 단맛이 너무...
-
자유 정의 진리
-
투데이가 7
벌써 4만이네.....
-
옛날엔 계속 먹어도 안했는데 한번 토 해본 이후로 술 맛이 역겹게 느껴지니까 점점...
-
신곡도 좋군아
-
윤성훈 듣는데 너무 잡소리 많고 그냥 그런 느낌이라..최적으로 갈아타고 싶은데 최적...
-
일단 저는 잠 좀 푹자고 수학 n제나 하루종일 푸면서 휴식하려는데
-
와 진짜 자존심 개상하네 나 성별 어지간하면 다 아는데
-
본인 iq 82인데 수1보다 수2가 훨씬 쉬움 수1은 먼 말하는지도 모르겟음
-
난 생각할수있는거 던져주는거 조아해
-
질문을받아볼래용 14
없으면 똥사진 오르비에 올림
-
바꿀게 생각이 안남
-
다들 미적 or 수2 미적분 파트 이런 게 겁나 어렵다 말하는데, 솔직히 이런...
-
메가패스 가지구있는데 김승리T랑 이미지T 들을까 해서용
-
왜 환산점수 등급으로 안보여주지..
-
수정 왜 안됨? 실수로 허슬에다가 tim 입력해버려서 17점 뜸ㅋㅋㅋㅋㅋㅋㅋㅋ아 어이없네 바본가
-
화1에서 수능날 떨림이슈 생각해서 그냥 지구로 옮겼는데.. 생각보다 많이 어렵네.....
-
https://orbi.kr/00068851681/ 쓸 당시에 좋아요수 2라서...
-
안녕하세요~~Zola임당 기쁜 마음으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제 모든 강의는...
-
조진거지 뭐.
-
현 고3 현역입니다. 지금 시발점2 교재랑 워크북 하고있고 거의 다 끝나가는데...
-
현실은 시궁창인데말이야 ㅋㅋ
-
강의 30분 남았는데 1.6배로 들어서 얼마 안걸리는데 피곤하군...
-
동기가 없어서 그런가 의지가 없어서 그런가 잘하고는 싶은데... 무기력하기로는 백분위 100임
? 원래 질적연구는 교감 중시맞아영
질적연구 = 참여관찰법 이게 아님
애초에 질적연구는 교감 중시가 맞는디
질적 연구의 정의 자체가 연구자가 연구 대상자에 대한 깊은 몰입이 필요해요
연구 방법과 자료 수집 방법은 다른 겁니다. 님의 접근법은 연구 방법과 자료 수집 방법을 구분하지 않는 것 같네요. 열공+즐공=대박!!
연구방법은 질적,양적으로 나뉘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당문제가 수집방법이아닌 연구방법으로 접근해야된다는것도 알아요.
Ebs7회독했습니다.
다만 17년도당시에 이링크를보고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https://orbi.kr/00013731470
그리고 틀렸다면
수집방법에서의 문제에서는 참여관찰법을 정서적교감으로 접근하면 안된다라던지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 분류되기때문에 정서적교감이
정답이 될수밖에 없다.
이렇게 알려주고가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데 제가내린결론은 수집방법에서나 연구방법에서나
질적연구 및 참여관찰법은 정서적교감이 필요한것같습니다.
참여관찰법이 질적연구가 아닌건 아니니까요.
단지 정서적교감이라는개념은 면접법>참여관찰법 이되겠지요 크기상으로는
자연현상의 보편성이 사회문화현상의 보편성보다 강한것처럼요.
최근 3개년정도를 분석해봤지만 헷갈리는선지로 이부분을 낸적은 없어서 마무리했습니다.
묻는게 양ㅡ질이니까 그중에서 선택하면 되죠. 더 고민할 건 없다고 봅니다. 열공즐공대박
개념 강사로 안들으면 이분꼴납니다
https://orbi.kr/00013731470
님 제말뜻 이해못했죠
네.
사실은 이해 안하려고 노력하는 중입니다.
괜히 오개념이 섞여 들어올까봐 민감하네요
괜히 오르비를 들어온 듯 합니다
인정합니다..생윤은 더하죠..
그리고 "일반적"으로 질적연구에서 활용된다는점도 알고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