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수특 이상한 거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32188
ㄹ선지가 이상해요
질적연구는 방법론적 이원론이라 자연 과학적 탐구 방법과 다르다고 써있는데 뭐지
윤성훈t는 수특 질문 안 받아줘서 여기에 올려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지식밥차에 있는데 밥먹으면서 볼만함
-
왜인지 아시는분
-
80번 문제에서는 고지자기 복각 ㄱ,ㄴ이 같은곳에서 생성되었기때문에 같다고...
-
ㅇㅇ 굳이 또 군청 시청 구청까지 차끌고 가기 피곤함... 어짜피 카메라만 막히는데 뭐
-
세젤쉬+빨더텅 스블+어삼쉬사
-
하아
-
시골과 밤바다가 그립다..
-
백지에 개념을 쓸줄 알아야 익힌게 되는건가
-
귀납적정의라 생각함 수2 미적은 괜찮게 한다 생각하는데 수열은 양으로 해도 안되는 느낌...
-
수험생이라 2
N수라 음식 로테이션으로 먄날 같은것만 먹어서 가끔 뷔페가 땡겨요 저만 그런가요?
-
약이 바뀌고 저용량인걸 보면 아직 치료 초기단계 같다 경과를 지켜볼려고 4개월 재검...
-
만백 때문에 안 할려고 햇는데 작년 화1 보니깐 한지 개꿀인 듯
-
탐구가 고민이네 1
세사,동사,지리 고민중인데 1컷이 50이라네.....아오
-
고2인데 화생지 해서 이번 중간고사 끝나고 5월부터 정시파이터 하려고 하는데 현역...
-
쉣트
-
ㅈㄱㄴ
-
밥먹으면서 보고 자기전에 보는데 볼수록 산만해지는거같음
-
어릴 때인가 ebs에서 봤었는데
경험적 자료 사용 부분 확인해야해유
감사합니당
형님 자연과학적 탐구 방법과 과학적 탐구는 많이 다른 말입니다.
막말로 과학에는 사회과학도 들어갑니다. 자연과학적 탐구 방법이라 함은 자연현상이 으레 그렇듯이 사회문제현상도 명확한 인과관계로 쪼갤 수 있겠구나 하는 접근방법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과학적 탐구는 말그대로 탐구를 과학적으로 하겠다는 건데, 이것은 사실 당연한 말입니다. 뭐 사회문제같이 거창한 걸 분석하려면 당연히 과학적이어야 하지요. 여기서 과학적이란 건 사이언스같은 이미지보다는 합리적인 방법론에 근거한~ 같은 넓은 의미로 접근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당
질적연구, 양적연구 둘 다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이라 과학적 탐구는 맞는 것 같고 +양 질 반대로 쓰신거 아닌가요..??
잘못 쓴 거 맞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