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능장아찌 · 1298237 · 4시간 전 · MS 2024

    그러면 합성함수 f(f(x))의 치역이 3개가 아니게 됩니다

  • 수능장아찌 · 1298237 · 4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x에서 f(x)으로 갈 때
    치역이 1, 2, 3뿐이므로,

    f(x)에서 f(f(x))으로 갈 때
    정의역은 1, 2, 3뿐입니다.

    정의역이 1, 2, 3뿐인데
    정의역 1, 2, 3은 치역 1, 2로만 대응됩니다

  • 수능장아찌 · 1298237 · 4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말로 설명하니까 어렵네요.

    f(x)에서 f(f(x))으로 쏘는 놈이 1, 2, 3뿐인데,

    얘네는 1, 2로만 쏠 수 있고

    3으로는 쏘지 못해서

    f(f(x))의 치역이 1, 2
    2개뿐입니다

  • 수능장아찌 · 1298237 · 4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파란색은 이어지는데
    빨간색은 f(f(x))까지 이어지지 않습니다

  • 수능장아찌 · 1298237 · 4시간 전 · MS 2024 (수정됨)

    f(x)에서 f(f(x))으로 쏠 때
    쏘는 놈도 3개, 받는 놈도 3개여야 하므로
    여기서 일대일 대응이 돼야 합니다.

    3개가 3개로 일대일 대응 되면서
    f(x)=/=x인 경우가
    본문에 쓰신 저 2개뿐입니다.




    그래서 일단 f(x)에서 f(f(x))으로 갈 때 일대일대응할 원소 3개를 고르고
    (5C3)

    이 원소들이 일대일 대응하는 경우의 수를 곱하고
    (2)

    x에서 f(x)으로 갈 때
    남는 쩌리 2개를 아무데나 대응해 주는 것입니다
    (3^2)

  • 빛나는별빛 · 1060669 · 4시간 전 · MS 2021

    아 다시 보니 5c3 골라놓고 딴거보내겠단 생각을 하고있던거였네요 ㅜ 왜헷갈렸지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