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25수능이 좋긴햇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20129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모든 과목이 기출 여기저기 짜집기한 느낌이여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인?증 11
캠퍼스에서 찍은사진 인증 꽃밭이 생겼어요
-
그럼 내가 최초의 화확화화인거잔아 어차피 재미로 보는거긴한데 막 국어 5 받으면 슬플거 같읒데
-
좆반고때의 영광을 13
다시 찾아보자
-
나도 ㅇㅈ함 6
하....
-
선넘질받 8
마감까지 받음
-
웃픈 썰 9
저번에 컴퓨터로 오르비하다가 여캐 짤 모음 게시글 이름이 뭔 이상한 이거보고 으흐흐...
-
오르비 무시하기 6
-
입시최애짤 8
7월쯤되면 많은 분들이 느끼는
-
ㅇㅈ 9
노래방 퍼펙트스코어
-
움찔움찔 X랄X스 X위 12
-
낼부터 휴릅이거든 피부 뒤집어진 날이라 필터 씌움
-
콱
-
내일중간고사봄
-
이거잼슴 시험은모르겠음
-
엔제 추천받아요 8
15 22 28 30급 문제들을 일관된 관점으로 매끄럽게 뚫어내는 능력이 부족해요...
-
MMB 10
자기전에 무물보 ㅎㅎ
-
뉴런 싫어서 호형훈제 양승진 듣고 수분감 싫어서 원솔멀텍듣고 강민철 싫어서 정석민...
-
뻘글을 쓰고싶어요 10
정말 의미없고 내용업슨ㄴ 그런 뻘글을
-
잘자요 6
수학에서 서바 냄새 나던데
ㄹㅇ
안풀어봐서 몰라
사전적으로는 '짜깁기'가 표준어이며, '짜집기'는 구개음화가 된 형태다.
다만 최근에는 ‘짜짓기’가 더 올바른 표기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어떻게 표기하든 결국 그 용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본질적 의미는 ‘여기저기서 부분을 떼어와 무언가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고, 그 대상에는 부정적 가치 판단이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짜깁기’의 ‘깁기’는 해지거나 찢어져 벌어진 것을 바느질 등으로 이어 붙이는 미시적 행위에 대한 서술인 반면 ‘짜짓기’의 ‘짓기’ 는 ‘옷을 짓다’, ‘건물을 짓다’ 등의 표현에서 드러나듯 최종적 완성물(예컨대 옷, 건물 등)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따라서, (독창성 부족,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사유로) 부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무언가 최종적인 것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지칭하기 위해서는 부분(혹은 과정)이 아닌 전체(혹은 최종적 산물)를 지칭하는 ‘짜짓기’가 더 합당하다.
이 용어가 한국 사회에 널리 회자된 것은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논문 표절 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높아지던 1990년대 말 이후다. 서구에서는 흔히 ‘patchwork’란 용어로 지칭되던 것이 한국에 처음 들어와서는 명확히 합의된 표기없이 [짜지끼], [짜집끼] 등의 발음의 구어로 통용되었다. 이후 그 담론을 KBS 등 제도권 언론에서 다뤄야 할 시점에 이르러 성급히 ‘짜깁기’로 특정 표기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미상으로도, 전체 과정 중 한 종류의 미시적 행위를 지칭하는 ‘짜깁기’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방품, 표절작품 등을 지칭하기에 부족할 뿐아니라, 구어상으로도 [깁] 보다는 [집] 혹은 [짓]의 발음이 압도적으로 많았음을 고려하면 억지스런 표기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찾다보니 비슷한내용이 6모언매장지문으로 출제되는 상상함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