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25수능이 좋긴햇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920129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모든 과목이 기출 여기저기 짜집기한 느낌이여서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여자면 국어/ 영어가 제일 하기 수월하나 사실 난 국어가 더 수월할듯
-
답은 오직 근성장 뿐이다
-
재밓어요
-
ㅈㄱㄴ
-
4덮 생명 4
현역때 최저러였어서 탐구 유기했었는데 3덮 17점..에 정신차리고 생명만 파서...
-
노트북쓰는데 조금 크긴해서 패드 저렴이 사볼까 싶은데 쓸만하려나요 화면크기나 이런게 체감이 안되네
-
나의 입시이야기 4
는 할게 없음 작년엔 수학만 좀 공부했고 나머진 걍 안하고 놀았음
-
푸하하하하하
-
글케 빡센건아니더라구요 3월례도 그랬고 3덮도 강대 빌보드 드는 순위로 알고있음
-
진짜 4시전에 잘거임
-
밥먹는다고 병나으면 병원 왜감?
-
공익뜨고 싶다 3
4등급받고 싶다
-
하는 사람들 있던데 ㄹㅇ인가........
-
그거에 놀라서 나도 발작함
-
국어 백분위 99 100 띄울 자신 있음 문디컬 ㄱㅊ음? 10
확통사탐으로 한의대..
-
~240628
-
27수능에 4
N수생이 물밀듯이 들어올 것을 생각하니 땅울림을 겪는것같다
-
힘들면 아 섹스하고싶다 무의식적으로 외침 드립이 어니러 진짜로 보통 아섹에서...
-
생각해왔음 요즘엔 임팩트 있는건 모르면 틀리게 설정해놔서 그거 하나 틀리면 최소...
수학에서 서바 냄새 나던데
ㄹㅇ
안풀어봐서 몰라
사전적으로는 '짜깁기'가 표준어이며, '짜집기'는 구개음화가 된 형태다.
다만 최근에는 ‘짜짓기’가 더 올바른 표기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다. 어떻게 표기하든 결국 그 용어를 통해 전달하고자 하는 본질적 의미는 ‘여기저기서 부분을 떼어와 무언가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고, 그 대상에는 부정적 가치 판단이 담겨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짜깁기’의 ‘깁기’는 해지거나 찢어져 벌어진 것을 바느질 등으로 이어 붙이는 미시적 행위에 대한 서술인 반면 ‘짜짓기’의 ‘짓기’ 는 ‘옷을 짓다’, ‘건물을 짓다’ 등의 표현에서 드러나듯 최종적 완성물(예컨대 옷, 건물 등)을 염두에 둔 표현이다. 따라서, (독창성 부족, 지식재산권 침해 등의 사유로) 부정적으로 평가할 만한 무언가 최종적인 것을 만들어 낸다는 것을 지칭하기 위해서는 부분(혹은 과정)이 아닌 전체(혹은 최종적 산물)를 지칭하는 ‘짜짓기’가 더 합당하다.
이 용어가 한국 사회에 널리 회자된 것은 지식재산권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지고 논문 표절 등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 높아지던 1990년대 말 이후다. 서구에서는 흔히 ‘patchwork’란 용어로 지칭되던 것이 한국에 처음 들어와서는 명확히 합의된 표기없이 [짜지끼], [짜집끼] 등의 발음의 구어로 통용되었다. 이후 그 담론을 KBS 등 제도권 언론에서 다뤄야 할 시점에 이르러 성급히 ‘짜깁기’로 특정 표기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의미상으로도, 전체 과정 중 한 종류의 미시적 행위를 지칭하는 ‘짜깁기’는 최종적으로 만들어지는 모방품, 표절작품 등을 지칭하기에 부족할 뿐아니라, 구어상으로도 [깁] 보다는 [집] 혹은 [짓]의 발음이 압도적으로 많았음을 고려하면 억지스런 표기 선택이었다고 볼 수 있다.
찾다보니 비슷한내용이 6모언매장지문으로 출제되는 상상함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