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규진 손잡고 치과 개원 [1336156] · MS 2024 · 쪽지

2025-04-19 19:33:22
조회수 203

지구과학 별 공부하다가 궁금한것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78582

별의 중심핵 질량이 태양질량의 1.4배 이상일 때 중성자별로 진화 하는것과 1a형 초신성이 진화할 때 질량이 태양 질량 1.44배인 것이 같은 원리, 이유인가요?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Kcho0o · 1343398 · 04/19 20:32 · MS 2024

    작년에 학교에 계신 지구과학 선생님과 이야기 했었던 얄팍한 제 지식으로 이야기하면..
    중성자별은 태양의 중심핵의 질량보다 질량이 1.4배보다 큰 혹은 태양 질량의 8배 이상인 별이 초신성 폭발 이후 중력으로 인하여 중심핵 부분은 계속 수축하게 되는데 이때 양성자와 전자가 합쳐져 중성자를 형성하게 되는 까닭으로 중성자별이 형성되는거로 압니다.
    1a형 초신성 폭발을 말씀해주신 것인 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으나 1a형 초신성 폭발은 백색왜성이 태양 중심핵의 질량의 1.44배(백색왜성이 버틸 수 있는 한계)가 되었을 경우 중력적으로 불안해져 폭발하게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한 초신성 폭발이 일어나려면 무지무지하게 큰 밀도의 성운 구름을 지나거나
    백색왜성끼리 충돌하는 경우 특수한 경우에만 이루어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구과학1에서 이야기하는 단순하게 태양의 중심핵보다 1.4배보다 크고
    3배보다 작을 경우 중성자별이 생성된다라고 이야기할 때 이 경우와 1a형 초신성이 폭발할 때 동일한 이유로 발생하는 것이라고 하기에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뇌피셜도 섞여있고 아직 대학에서 배운 것도 아니고 그냥 수능 공부 중이여서.. 정확한
    정보는 아닐 것 같아요.. 그냥 그렇구나하고 넘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장규진 손잡고 치과 개원 · 1336156 · 04/19 21:26 · MS 2024

    1a형 초신성 폭발인데 진화로 잘못 적었군요.. 저도 궁금해서 더 찾아봤는데 찬드라세카르 한계인 태양의1.44배이상으로 질량을 흡수한 백색왜성에서 1a형 초신성이 발생한 경우에는 질량이 다 흩어져서 중성자별이 생성되지는 않으나 두 초신성 발생의 원리는 거의 다르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오랜만에 오르비에서 제 생각과 지식을 더 확장시키는데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성의 넘치는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 주말 보내세요!
  • Kcho0o · 1343398 · 04/19 21:28 · MS 2024

    저도 하나 새로 알아가네요..!
    작성자님도 좋은 주말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