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딩이 내신용 언매 문제 만들어봣는데 풀어보실분? (2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70446
문제 오류가 없읆가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26학년도(25년 시행) 4덮 화학2 주요문항 손필기 1
헤설 맘에 안 드는 것만 풀어봤어요 플이가 잘못되거나 질문은 댓글 남겨주세요
-
반수 4
나 반수하면 어디까지 ㄱㄴ일까?..
-
12번 일차식 적분 닮음쓰는거 뭔가 퀄 존나 좋아보인다.. 12 15 22틀
-
닉변 뭐로 하지 13
고민돼 고민 으으으으으으으
-
내가 퇴화한 거임? 24수능 볼때보다 공통 많이 틀렸는데 ㅋㅋㅋㅋㅋㅋ 하..
-
ㅠㅠ
-
센츄 드가자~
-
사탐 개념 3
6평 치기 전까지는 끝내는게 맞겟져?
-
탈릅 13
나는 평생 안할테니 안심하셈 ㅇㅇ
-
이번주공부끝이야 0
이제 난 집에 갈거야
-
확통런 성능 확실하네 10
오늘 학원에서 푼 수학실모에서 96점 첫경험함
-
차기 정부 대통령실 선호도, 청와대 47.3% ‘1위’ 12
서울 종로구 청와대로 1번지 청와대 본관 앞에 시민들이 길게 줄을 서 사진촬영 등을...
첫 번째 문제는 예문이나 보기가 미지칭,부정칭보다는 설명/판정 의문문에 어울릴 듯 하네요 보기 설명도 딱 이거고
질문형태로바꿔서 yes no대답할수있으면 부정칭, 없으면 미지칭(정해졌지만 모르기 때문에 구체적 답을 원함.) 이렇게 구분한다는 팁?에서 아이디어 얻은 문제인데 놓고보니 그 개념이 더 어울리긴 하네용
아 근데 개념 한개씩밖에 없는거 좀 짜치네
두번째 문제 답
보기의 '헌'은 주체가 '그'인 서술어이다. 따라서 품사는 동사이다. 또한 표준국어대사전에 의하면, 관형사 '헌(=낡은)'과 동사 '헐다(=허물다)'는 다른 단어이다. 예를들어 '그것은 헌 책이다.' 라는 문장에서 '헌'은 '헐다'를 변형한 관형어가 아니라 관형사이다. 반면, 보기의 '헌'은 동사 '헐다'의 어간에 -ㄴ을 합성한 관형어이다. 관형어인 이유는 집을 수식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의 헌의 품사는 동사이고, 문장 성분은 관형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