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래프를찢어 · 1366010 · 04/17 20:20 · MS 2024

    (가)가 t년 전에 주계열성이고 (나)가 거성이면 말이 되긴 해요

  • 경성약 27학번 · 1319936 · 04/17 20:25 · MS 2024

    아 그렇네요
    감사합니다

  • 그래프를찢어 · 1366010 · 04/17 20:27 · MS 2024

    근데 생각을 해봤는데
    (가)가 백색왜성이고 (나)가 주계열이면 ㄷ이 틀리게 되는거 아닌지..

  • 경성약 27학번 · 1319936 · 04/17 20:29 · MS 2024

    그런것 같네요
    둘다 백색 왜성이면 ㄱ이 변화량이 더 큰것 같은데...
    (지구 허수라서 잘은 모름)
  • EErun · 1354404 · 04/21 21:40 · MS 2024 (수정됨)

    제가 볼 때는 ㄷ선지는 명백히 오류인 것 같습니다. 변화량은 중간 과정은 전혀 신경 쓰지 않고 해당 구간의 처음과 끝의 물리량의 차를 말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현재로부터 t년 전 광도가 (가)의 원시별일 때보다 크면 ㄷ선지는 참이고, (가)의 원시별일 때와 (나)의 원시별일 때의 사잇값이면 ㄷ선지는 판단할 수 없으며, (나)의 원시별일 때보다 작으면 ㄷ선지는 거짓입니다.

    만약 변화량의 뜻을 무시하고 출제 의도(로 추정)대로 해석하더라도 t년 전 (가)가 행성상 성운을 거쳐 백색왜성으로 진화하는 단계였다면 ㄷ은 거짓이 될 수 있습니다.

    출제 의도대로 해석되길 원했으면 251113처럼 '변화폭'이라는 용어를 써야하지 않았을까 싶네요. 하지만 그렇게 표현했더라도 ㄷ선지를 판단할 수 없는 것은 마찬가지입니다.

  • 경성약 27학번 · 1319936 · 04/21 21:45 · MS 2024

  • 경성약 27학번 · 1319936 · 04/21 21:52 · MS 2024

    제가 처음 풀때와 똑같이 생각해서 답지랑 답이 다르네요

    전 (1) 로 생각하고 대충 위 그림에서 사잇값이 되지 않으니까 ㄷ이 틀렸다고 오답했는데
    그렇게 보기도 애매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