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 합격은 결국 '독해력' 싸움입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48024
"선생님… 독해력을 진짜 올릴 수 있나요?"
4년 동안 논술을 가르치면서 가장 자주 들은 질문입니다.
분명 같은 제시문을 읽었는데,
저는 A라고 읽고,
학생은 B라고 읽으니… 답답한 건 당연하겠죠.
이 답답함은 결국 논술에 대한 두려움으로 변하고,
“학원에서는 독해력을 키우라는데… 도대체 어떻게?”라는 고민으로 이어집니다.
1. 독해력이란?
: 전체 제시문을 꿰뚫는 핵심 키워드로 글을 읽는 힘.
논술 제시문은 다양해 보이지만,
그 모든 글들을 하나로 엮는 ‘대주제’, 즉 핵심 키워드가 반드시 존재합니다.
(많은 학원에서는 이것을 ‘주제어’라고 부르죠!)
논술에서 글을 잘 읽는다는 건,
학생이 어떤 제시문을 읽든 핵심 키워드에 맞추어 읽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직 잘 모르겠어요…” 하는 친구들을 위해 예를 들어볼게요.
(가)~(마)를 ‘규제 찬성’과 ‘규제 반대’ 두 유형으로 분류하고 요약하시오.(한국외대 2025학년도 모의논술 1번)
2. 저는 항상 ‘발문(문제)’부터 읽습니다.
발문만 잘 읽어도 논술은 이미 50% 성공이에요!
우리는 전체 제시문을 꿰뚫는 핵심 키워드를 찾으러 (가)를 읽으러 갈 필요 없습니다.
이미 발문에서 핵심 키워드를 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도 쉽게 발견할 수 있죠?
한국외대 2025학년도 모의논술 1번에서 알 수 있는 핵심 키워드는 ‘규제 찬성 vs 규제 반대’였습니다.
이제 핵심 키워드에 따라 (가)부터 읽으면서 완벽한 독해력을 보여드리겠습니다.
(가) 미국 학교에서 어린이·청소년 비만 및 각종 성인병의 주범인 탄산음료를 퇴출하기 시작했다. □□주 ○○시는 최근 교내 탄산음료 반입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교내에서 탄산음료 자판기를 없앤 것은 수년 됐지만, 아예 반입 자체를 막은 것은 미국에서 이번이 처음이라고 뉴욕타임스는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시 소재 학교에서는 앞으로 물, 우유, 주스, 스포츠드링크만 마실 수 있고, 학교에는 탄산음료를 가지고 들어올 수도 없다. 비만이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개인의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학부모와 교사, 보건의료 관계자 등 대다수의 사람들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어린이·청소년 비만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교내 탄산 음료 판매 및 반입을 금지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주장하였다. |
해당 글을 읽고 제 학생이 요약한 문장입니다.
여러분의 요약과 비교해 보시기 바랍니다.
학생 A : (가)는 교내 탄산음료 반입 자체를 금지시키는 학교가 나온다. 이는 탄산음료가 비만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성인병으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얼핏 보면 잘 요약했죠?
하지만 이건 ‘내용 요약’일 뿐, 논술에서 말하는 ‘독해력’은 아닙니다.
(가)의 내용만 잘 정리했을 뿐. (가)가 핵심 키워드인 '규제 찬성과 규제 반대'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고민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3. 논술에 합격하는 학생은 이렇게 생각해요!
1️⃣ (가)는 교내 탄산음료 반입을 금지한다고 말하네? 근데 핵심 키워드는 '규제 찬성과 규제 반대'이니깐, (가)의 '금지'라는 단어는 '규제'라는 단어로 이해해야겠다!
2️⃣ (가)는 교내 탄산음료 반입을 규제하는 것이 비만과 성인병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하네? 그럼 핵심 키워드인 '규제 찬성과 규제 반대' 중 '규제 반대'에 해당하는 제시문이겠다!
그래서, 논술에 합격하는 학생은 이렇게 요약합니다:
링크논술 : (가)는 교내 탄산음료 반입 자체를 규제하는 것을 찬성한다. 탄산음료 규제를 통해 비만과 성인병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
4. 왜 이게 중요한가요?
교수님은 학생이 제시문을 얼마나 ‘논리적 틀’로 해석했는지를 봅니다.
다시 말해, “그럴듯하게 요약”한 것이 아니라, “핵심 키워드를 기준으로 치환”했는지를 보는 거죠.
5. 마무리
“(가)가 겉보기에 말하는 것”은 전혀 중요하지 않습니다.
“(가)의 단어를 ‘핵심 키워드’로 바꿔서 읽을 수 있는가?”
이게 바로 독해력 있는 학생의 조건입니다.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는 글을 읽을 때 ‘내용을 정리’하려 하지 말고, ‘핵심 키워드와 연결’하려고 노력해 주세요!
+) 여기까지 읽은 분들을 위한 추가 과제입니다!
제시문 독해력은 머리로만 이해해서는 절대 길러지지 않습니다.
직접 요약해 보고, 핵심 키워드에 맞춰 답안을 써보는 훈련을 하셔야 해요.
아래 예시 제시문을 읽고,
여러분만의 요약문을 댓글에 작성해 주세요!
✔ 핵심 키워드는 ‘규제 찬성과 규제 반대’입니다.
✔ 여러분의 요약을 제가 직접 하나하나 첨삭해 드릴게요.
(나) 지구 온난화와 환경오염의 주범인 플라스틱의 사용과 배출량이 코로나를 거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에 따라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피해 문제 역시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20년간 플라스틱 생산량과 폐기물 배출량은 두 배 이상 늘어난 반면 재활용률은 9%에 머물고 있다. 또한 플라스틱 생산과정에서의 화석연료 사용과 비체계적 폐기물 처리 역시 환경문제를 심화시키고 있다. 플라스틱 유입으로 인한 환경오염은 생태계 및 인류의 건강을 위협할 뿐 아니라 폐기물 처리와 오염 복구를 위한 추가적인 비용을 유발하고 있기 때문에 각국은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기 위해 여러 가지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환경부 고시 개정에 따라 지난 2022년 4월부터 카페, 제과점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이 금지되었다. 2022년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32개국 시민 2만 4천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5%가 플라스 틱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규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논술은 결국, 내가 읽은 제시문을 키워드에 맞춰 바꾸는 싸움입니다.”
여러분의 독해력, 지금 이 순간부터 바뀔 수 있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건국대 가능할까요..?
-
전형적인 국스퍼거인데 수학 너무못하면 추리논증 걍 안되는건가 국어라도 살려서...
-
공통은 14번이 어렵던데요.. 15번은 0 에서 미가일경우 우극한이 항상 양수라...
-
공부 ㅈ같네요 1
수험생활땜에 향수로 다시 여기 올줄은 몰랐네 아
-
7모 미적 총평 2
26번 부분적분 vs 치환적분&그냥적분 저는 주로 로그함수가 나오면 치환해주는...
-
무한대기중.... 그렇다 공부하기 제일 좋을 때는 역시 학창시절이다 찐으로 겪어본...
-
이게 어떻게 3점이 아닌거임...
-
기붕들 선택자 비율만 소수점으로 정확하게 판서함 이 정도면 은연중에 기하 사랑하는...
-
실전 1회 어떤지 궁금한디
-
느헝헝 미안합니노 내 열등감 어쩌구 나도모르게 거짓말이 연속되어 저쩌구 도저히...
-
23-30중 ㅇㅇ
-
고전소설 피지컬 키우고 싶은데 고전소설만 있는 문제집이 있나요?
-
1. 킬캠 시즌1이 어려우나 과하게 어렵진 않다(?) 2. 킬캠 N제화 하지 말고...
-
ㅈㄱㄴ
-
응디 딱 좋노
-
신발끈만 써보면 점S의 x y 좌표차이만 알면 되는데, 구의 중심에서 직선AB 까지...
-
국어 수특 인강 0
운문은 다 들을 예정인데 산문도 다 들어야할까요.? 강E분 구매햇습니다
-
시놉시스 6회 2
50
-
siuuuuuuuuuuuuuuuuuuu
-
수학의 모든 실전개념이랑 행동강령을 적어놓은 책 쓰려고 하는데 이름 추천좀용...
-
하 ㅅㅂ.. 0
교육청 수학 12번 13번에서 30분 절고 80점 폭사.. 문제 안읽고 그냥 풀다가...
-
확통러 6모 92 7모 88인데 2주안으로 하나씩 끝내면 괜찮은 정도일까요? 너무느리나?
-
내 통통이 친구들이 울부짖는꼴을 보고십군아..
-
확통러 6모 92 7모 88인데 2주안으로 하나씩 끝내면 괜찮은 정도일까요? 너무느리나?
-
리플리 증후군이란 병은 없는데 리플리 증후군 본인이 스스로를 속이고 병이 아닌데...
-
드릴이 어렵고 킬캠은 ㅈㄴ 어렵던데
-
캬 지리넹
-
국어만 보고 탈주 안했고 끝까지 다 봄 그때 글은 고양이가 쓴거임
-
3모부터 이상하게 12 13 14번에서 한개는 무조건 틀려서..최근 공통 난이도가...
-
사실저는 세종켐입니드 14
고려대 세종캠 수학과에 다니고 있었습니다 죄송합니다
-
수학 96이상필수임? 92받으면 못갈확률이 높음?
-
현장에서 비킬러 몇분 정도 걸리심?
-
난 사실 미국인임 10
마음만큼은 미국인임... 빌헬미나 닮은 누나 찾는중임...
-
걍 의대가 존나 가고싶음
-
오르비에서 제대로 확인안하고 서울대뱃지를 주더라고요
-
호 : 경제 원래 경제 좋아함 개인적으로 브레턴우즈도 그렇게 어렵진 않았음 불호 :...
-
개좋음 근데 표지 약간 쪽팔려서 학교에서 못들고다니겟음
-
2023.01.19 출생임 태어나자마자 열차 모는 일을 하고 있음
-
저를 믿으세요
-
14번 덧셈정리(배각) 써서 풀어냄.... 내가 도형고자인 점도 있겠지만, 실전에서...
-
알았던 적도 없고 제발 개똥벌레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햇는데 바퀴벌ㄹ.
-
1. 처음에 시간재고 풀었다가 분석해야하나요? 아니면 2. 처음볼때부터 천천히...
-
나도 사실 6
미소녀까진 아님.. 중간소녀정도임요
-
연대 가고 싶다 0
(나)가고 싶다
-
헥헥
-
제가 기하를 3개월이상 안했는데요 이번 7모 기하풀때 앞쪽두문제맞고 3점짜리...
-
ㅇㅇ
-
국어는 언매고 3, 수학은 미적인데 1 끄트머리~2 국어는 항상 시간 부족해서 문학...
-
인스타 연고대 존예 인플루언서 보면서 눈물 훔치는중 2
저런 여자애들은 나 사람 취급도 안하겠지 죽고싶다
선생님, 실례를 무릅쓰고 댓글을 남깁니다.
위에 소개해주신 방법은 독해력 향상법이라기보다는 글쓰기 방식에 더 가까운 내용으로 보입니다. 실제로 해당 방식은 현재 많은 논술 수업에서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접근이기도 합니다. 독해력 자체에 큰 효용이 없다는 걸 많은 학생을 가르치며 느낍니다...
꾸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