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읽기 자료) 부분과 전체의 함정: 구성의 오류와 경제학의 교훈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44910
? 부분과 전체의 함정: 구성의 오류와 경제학의 교훈
1. 서론: 논리와 경제가 만나는 지점
우리는 일상에서 흔히 이런 말을 접하곤 한다.
“모든 부품이 가볍다면, 기계 전체도 가벼울 것이다.”
“각 금융기관이 튼튼하면, 금융 시스템 전체도 안전할 것이다.”
겉보기에 그럴듯하지만, 이런 사고에는 치명적인 함정이 숨어 있다.
이 함정을 논리학에서는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라고 부른다.
이 글에서는 구성의 오류가 무엇인지 논리학적으로 살펴보고,
그 개념이 어떻게 현대 경제학, 특히 금융위기와 정책 설계에 응용되는지를 함께 알아본다.
2. 구성의 오류란 무엇인가?
2-1. 정의
구성의 오류란,
“어떤 전체의 일부가 특정한 성질을 갖는다고 해서,
전체도 반드시 그 성질을 가질 것이라고 착각하는 오류”를 말한다.
이는 논리적 추론 과정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실수 중 하나이다.
2-2. 예시
- “이 기계의 각 부품은 매우 가볍다. → 그러므로 이 기계 전체도 가볍다.”
- “이 축구팀의 모든 선수는 뛰어나다. → 그러므로 이 팀은 무조건 강팀이다.”
→ 이 둘 다 성급한 일반화다.
왜냐하면 부분의 특성이 결합되었을 때 그대로 유지되리라는 보장은 없기 때문이다.
부품의 숫자가 많다면? 각각이 가벼워도 전체는 무거울 수 있다.
선수 개개인은 뛰어나지만 팀워크가 엉망이라면? 팀은 경기력이 낮을 수 있다.
2-3. 구성 오류 vs 분할 오류
논리학에서는 구성의 오류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분할의 오류(fallacy of division)’도 함께 다룬다.
오류 이름 | 설명 | 예시 |
구성의 오류 | 부분의 성질이 전체에도 적용된다고 착각 | “각 부품이 가벼우니 전체 기계도 가볍다.” |
분할의 오류 | 전체의 성질이 각 부분에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착각 | “이 팀은 우승했으니 모든 선수가 뛰어난 것이다.” |
3. 경제학에서 구성의 오류가 왜 중요할까?
논리학에서 다뤄지는 구성의 오류는 단순한 말장난이나 퀴즈가 아니다.
실제로 경제학의 정책 설계와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미시 건전성(microprudential)과 거시 건전성(macroprudential) 규제의 차이다.
4. 금융 규제에서의 두 관점
4-1. 미시 건전성 규제란?
개별 금융기관(예: 한 은행, 한 보험사)의 건전성 유지에 초점을 둔 규제
이 규제는 다음과 같은 전제를 바탕으로 한다:
“모든 금융기관이 자기 위험을 잘 관리하면,
전체 금융 시스템도 안정적일 것이다.”
이 말은 얼핏 맞는 것처럼 들리지만, 바로 여기에 구성의 오류의 위험이 도사린다.
왜냐하면 개별 기관들이 아무리 건전하더라도, 그들의 상호 연결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예기치 못한 위험이 전체 시스템에 파급될 수 있기 때문이다.
4-2. 시스템 전체를 보는 시각: 거시 건전성 규제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등장한 개념이 바로 거시 건전성 규제다.
금융 시스템 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하려는 접근
여기서 중요한 점은 ‘전체’를 단순히 개별 기관들의 집합으로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시스템(system)’은 단순한 합(合)을 넘어서,
부분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 연결 구조, 피드백 관계를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 단순한 ‘전체’는 A은행 + B은행 + C은행을 합한 결과일 뿐이지만,
- ‘시스템’은 A ↔ B ↔ C 사이의 자금 흐름, 위험 공유, 심리적 영향 전이까지 고려한다.
즉, 금융 시스템은 부분들의 목록이 아니라 관계망 자체이기도 하다.
따라서 시스템을 전체로 환원해서는 안 되며,
각 부분의 특성 외에도 그들 사이의 상호작용이 전체 위험에 결정적이라는 관점에서
거시 건전성 규제는 시스템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려 한다.
5. 2008년 금융위기: 구성의 오류가 불러온 재앙
2008년 세계 금융위기를 돌이켜보면,
많은 은행과 투자기관은 스스로는 위험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그들은 서로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었고,
한 곳의 붕괴가 연쇄적으로 전체 시장을 붕괴시켰다.
이 위기는 다음과 같은 교훈을 남겼다:
“각자의 건전성을 지킨다고 해서
전체의 건전성이 보장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는 전형적인 구성의 오류의 실례이며,
경제학이 이를 인식하고 거시 건전성 규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게 된 계기였다.
6. 마무리: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
이처럼 논리학에서 배우는 구성의 오류는 단순한 이론이 아니다.
경제학, 정책, 사회 문제 전반에 걸쳐 적용되는 깊은 통찰을 제공한다.
학생들이 이 글에서 얻어야 할 가장 중요한 교훈은 다음과 같다:
✔️ “부분이 옳다고 해서 전체가 옳은 건 아니다.”
✔️ “논리적 오류 하나가 현실에서 막대한 재앙을 불러올 수 있다.”
✔️ “개별적인 사고를 넘어, 시스템적 사고를 길러야 한다.”
기출 문제 학습이 되어 있다면 아주 쉽게 읽을 수 있을 것이고
아니라면 좋은 배경지식이 될 겁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생명공학과가 보통 화생공으로 묶이나요? 대략 공대에서 입결이 어느정도 하나요? 중간?
-
건물 입구에 있었음
-
근데 이건 사실 교육제도의 문제임... 나도 이러고싶지 않았다
-
넵 작수 그 극한문제도 근분리 쓰는거 있는걸로 압니다만
-
문제시 삭제하겠습니다 Day01~15 1. 난이도 25 샤인미>>26지인선 >=...
-
ㄱㄱ
-
앱스키마 강e분 나오는거 보면 100퍼 독서 연계는 무의미할듯 20
평가원이 다 보고 있으니까 ㅇㅇ 작수 모욕죄 지도학습 다 연계 ㅈ도 의미없었음...
-
나이가 많습니다. 현재 공부에만 집중은하고있지만, 몇년동안 오래할수도없고 신경쓸게...
-
요즘 너무 심해져서 스트레스임..
-
1 1 9 1 1로 9개월해서 연대 문과 가능한가요 8
참고로 1등급이 아니라 백분위 1임니다 영어는 9등급임 언매 기하 화2 경제에요
-
김승리 선생님 곧 1달동안 휴강기간이던데 그동안 밀린과제가 없는데 그 1달동안...
-
제가 이번에 더프를 첨 봤는데 성적표에 보정으로 나오는 등급이랑 평가원 등급이랑...
-
180629가 .. 나도 빨리 통합기출 풀고시프다
-
설역사 가능?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대학은 됐고 5
섹스나 질펀하게 하고 싶다
-
취업에서는 자연과학 많이 힘든가요.. 화공은 높아서 못가고 화학과 가지ㅜ않을까 싶은디
-
밈같은거 잘 모를 것 같다 무신론자일 것 같다 연락하는거 귀찮아 할 것 같다 셋 중...
-
일단 인문계(문과)는 엄청나게 큰 걸로 알고 있는데 자연계(이과)는 어떤지 모르겠네
-
하기싫다 4
아오
-
다들 해설지 저렇게 만들어줬으면 좋겠음
-
동의동의ㅠㅠ
-
건국대 공대 충남대 공대 어디가 더 쎌까요 정시하다 우선 수시로 충대 가는 게...
-
수1,2,미적 한바퀴 거의 다 돌렸는데 이정도면 기출 한바퀴 다 돌렸다고 할수...
-
이차곡선 기출 안푼거있길래 풀엇음 221128 패배함 230928 승리함...
-
글로는 수학 못아라머게썽
-
안녕하세요 team GRID입니다 오늘은 사탐공대의 현실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
덕코내놧 7
내놧
-
참가자가 너무 적다는 말을 들은 칼럼러 현월(1360865)… 괜히 심사위원 한다고...
-
[성적 인증] https://orbi.kr/00071836019 [칼럼글 모음]...
-
시험끝났으니까할수있는말임
-
정신나감
-
어떠냐
-
27 적분퍼즐28 역함수적분29 등비급수 수렴조건30 이계도함수 연속성추론
-
ㅇㅇ ㄱㄴ하면 수시
-
8년만에 복귀 함 해보까
-
물2에서 어려운 단원 중 하나가 바로 '돌림힘'입니다.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
기차지나간당 0
쪽잠행복행
-
의외로 댓글 0개달린 작품에서 나올 수 있을수도 있다고봄 아직 다 확인도 못해봤지만
-
이런 상황일때 A,B 모두 탄퍼 1/2kd^2을 각각 갖는게 아니라 전체가 탄퍼...
-
아
-
강e분 n제는 대체 뭐냐 작년 강e분 독서 만드는 거 보니까 그런 쪽으로도 관심 있어 보이긴 하던데
-
더프 정법인데 왜 하필이면 2023헌가4 사건을 가져왔고 그 사건은 수원지방법원...
-
천재성이란 숨길 수 없는거였구나
-
왜 계약보다 설공을 더 선호하는지 아시는분
-
더프 15번 걍 거르고 싶은데 걸러도 되나요
-
아자아자
-
만약 풀어보셨다면 난이도는 어떠한지 드릴이나 엔티켓과 같은 시중엔제와 비교하여...
-
드릴드2 0
드릴드2 쉬우면 대강 수능 몇 점 정도 나올까요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