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지리 사설은 하나같이 별로임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39432
퀄리티는 몰라도 형식, 문항 배치와 구성, 킬러가 수능 반이라도 따라가는게 없음
형식은 일단 폰트(종류, 크기)부터 안 맞음. 신명 중고딕 폰트의 존재 자체를 모르거나 페이지 안에 압축해 넣으려고 크기가 9pt 미만으로 떨어져서 눈 아픔. 박스 내 여백, 물결표 등도 모두 제대로 맞는 것을 본 적이 없음. 발문이 쓸데없이 길면 잘라야지 그걸 넣으려고 폰트크기가 7pt까지 떨어지는 경우도 있음. 아니면 평가원 양식 고려 안 하고 신명 중명조 11.5pt 정법 이상으로 길어지니 기괴함.
문항 배치는 첫 페이지부터 절대 수능에 나올 리가 없는 구성이라거나, 합답형 배치의 빈도가 안 맞는다거나
구성 자체도 변수를 과하게 찍는 경우가 많음. 막 (가)부터 (마)까지 나오는건 예사고 단순 매칭 문항도 쓸데없이 A~E까지 찍어놓음. 어차피 수능은 5지선다라 변수 많이 찍는다고 어려워지는게 아니라 한두개만 알아도 맞출 확률이 높아지는 역효과가 있음.
막상 저렇게 찍어 놓고 선지는 ‘A는 B보다 판의 경계에서 발전 효율이 높다.’ 이런 식이라 알아서 힌트를 줌. 둘 중 하나는 지열이겠지.. 이런 식으로 풀리면 좀 얼탱이가 없음.
별로 피셋이나 리트 풀어본 적 없으신 것 같은 분들이 상황판단 비슷한 유형 하나씩 끼워넣음. 근데 막상 세지에는 나온 적도 없고 그 퍼즐 자체가 생명과학 비유전보다 덜 참신하고 어렵지도 않음. 매번 0점 1점, 2점 4점인데 어떤 교육적 가치가 있는지 모르겠음. 차라리 어디서 베껴와서 어렵게 내면 시간 압박이라도 느낄 수 있겠지만..
킬러는 2년 연속 평화와 공존의 세계 탈을 쓴 유럽 지역지리인데 사설은 별 참신한 내용으로 꾸준하게 뇌절하는 경향이 있음. 볼리비아가 내륙 국가인건 왜 그렇게 좋아하는지 모르겠고 이상한 아프리카 국가 이름까지 갈게 있나 싶음.
그 외에도 아무리 단원 간 경계가 유연한 교과라지만 자료/선지의 교과 내 평가요소가 확실한 수능에 비해 너무 루즈하고, 평가원에 비해 심히 덜 정제된 경향이 많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빨리 벗어봐 할 게 있다니까?
-
작년 강k 12회 74점 작년 강k 10회 92점 익스텐션 3회 93점 시대재종...
-
오르비 잘자요
-
전 번장에서 산 짭블랑이요
-
13, 14 둘 다 끙끙거리면서 풀었다 라는 멘트를 한걸 보고 생각해본 건데 13이...
-
할 게 산더미네
-
그림 예쁘게 그린다=어느정도 위치 신경써서 그린다 전 문제풀면서 삼차나 지로 삼각...
-
어디가 더 쉬울까요? 궁금하네요
-
람쥐님 믿습니다 14
크크크
-
작수 국어 백분위 91 2뜨고 그 후로 한번도 책 펼쳐본 적 없는데 다시 시작하려면...
-
수고 많았고 내일도 수고해봅시다 다들 수이팅!!
-
ㅇㅎ
-
문과 올 11111 나온애가 대략 높은 1이라고 치고 1년만에 의대갈 수 있다...
-
공부나해야지
-
모고 0.1은 뭔가 쉬워보이는데 재산 0.1% 외모 0.1% 키 0.1% 이러면 뭔가 아득해보임
-
97이상으로 올릴수 있을까..수학이 젤무서움 안되는사람은 안된다던데
-
내일 학교에서 보는데 왜 4덮 놔두고 굳이 이투스를 보는지 모르겠네요..
-
말그대로 노베입니다 국어 인강 강민철, 심찬우 김승리 등등 많은 선생님들이 계시는데...
-
내가 좋아하는 두 과목임 물론 실제로 하지는 않을거임
그렇게 세계를 잘 알고 있는 새끼가 고등학생들이나 치는 시험문제를 출제하고있을리 없잖아...
사설의 한계라고 생각합니다. 사탐 사설은 수요층들이 실모를 벅벅할만큼의 실수들이라...
사설은 수능처럼 등급을 명백히 나누기 위한 목적보다는 이러한 내용도 알아두면 좋다는 식으로 언급을 하는 차원에서 출제를 하기 때문에 지적하신 부분이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출발점이 다른 문항이니 너그럽게 이해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