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정도냐면 저도 추신수가 진짜 야구 포지션인줄 앎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34217
1루수 2루수 이런거처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유성이 아닙니다 6
-
개얼탱이네 5
상상도못했다 다시온다지만
-
솔직히 말하면 싫은 사람을 기억을 못함. 오르비는 당장 디시처럼 유저 메모 기능을 만들도록
-
취클래스 ㄱㅊ한가요? 국정원하고 병행할까 고민되서요
-
오느래 실모성적 3
익스텐션 3회 93 아오
-
내 몸은 내가 지켜야지
-
열흘뒤에보자아 5
ㄹㄹㄹ 바람같이 갓다올꺼니까 제 얘기 하지 마셈뇨
-
수학 낮2인데 3
한완수 부터 할까 뉴런부터 할까 20~22 28 30 틀임
-
오따꾸 빙고 4
나 정상인이네...?
-
학교다닐땐 느껴지지 않던 이 충족감 상쾌하다
-
오타쿠빙고 4
-
글보소
-
여장하기도 힘들고 내려다보기도 어려운 170초반 아닐까.
-
탈릅안하는 이유 4
돈이 묶여있다니까.
-
맞팔구 4
-
키가 작아 에서 '가'에 들어가도 안 어색하면 보조사라고 보면 되는 건가 키야...
-
교통비 특 3
1400원 +1400원… +1400원… ….. =7만원 ????? 심지어 다 더하면 맞음
-
제본 어디서하지 4
흠
맞는데
‘추신수’ 포지션의 유래
추신수 포지션은 본래 정식 명칭이 없던 비정형 전술 포지션에서 유래됐다. 2006년 WBC 이후 국제 야구계에서 한국 선수들의 전술적 움직임이 화제가 되었는데, 그 중 가장 눈에 띈 사례가 바로 **추신수 선수의 ‘무포지션 압박 플레이’**였다.
당시 미국 대표팀과의 경기에서 추신수 선수는 공식 외야수였지만, 이닝 중 수시로 중견수와 유격수 사이, 혹은 2루 뒤쪽 공간에 의도적으로 머물며 타자와 주자에게 혼란을 주었다. 덕분에 미국 타자들은 수차례 주루 미스와 판단 착오를 일으켰고, 이를 지켜본 미국 해설진은 그 지역을 가리켜 처음으로 **“Choo Zone(추존)”**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이후 KBO 리그 일부 팀들이 해당 전술을 실전에서 실험하기 시작했고, “추존에서 플레이하는 선수” → “추신수 포지션”이라는 식으로 속칭이 굳어졌다. 공식적으로는 **정신적 교란 외야수(Psychological Disruptor Fielder, 줄여서 PDF)**라는 명칭이 있었지만, 너무 어려워서 다들 그냥 ‘추신수’로 통일하게 되었다.
또한 추신수 선수 본인이 실제로 야구 IQ가 높고, 경기 중 끊임없이 포지션을 유동적으로 바꾸며 심리전을 펼치는 것으로 유명해, 그의 이름을 따오는 데 대해 이견이 없었다는 후문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