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1334430] · MS 2024 · 쪽지

2025-04-13 21:31:33
조회수 661

다인자 자손개수 구하는 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19794

이 방법은 대성학원 정석준T의 방법임을 밝힙니다.


다인자 이형을 생각하자.

예를들어 ABD/abd는 (3)짜리고 AbD/aBd는 (1)짜리, Fg/fG는 (0)=동형

이정도는 쉽게 이해할 것이다.


이제 다음과 같은 사람의 경우

ABD/abd ef/EF G/h H/h

(3), (2), (1), (1)이라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다.


이 때 다인자 표현형 가짓수는 min(파스칼 길이, 약수의 수)를 따른다. 예외 없이


말이 어려워서 그렇지 사실 쉽다

파스칼 길이: (Σ이형)+1

약수의 수: [(1)의 개수 + 1]*[(2)의 개수 + 1]*[(3)의 개수 + 1]… -> 계산 방법이 약수의 수 계산법과 비슷


이를테면

P: ABD/abd = (3), Ef/ef = (1)

Q: AbD/aBd = (2), eF/ef = (1)

위의 예시는 파스칼 길이는 (3+2+1+1)+1=8, 약수의 수는 (2+1)*(1+1)*(1+1)=12

따라서 다인자 가짓수는 8종


대표적인 예외 케이스

ABD/abd x ABD/abd를 분석해보면

(3), (3)이므로 파스칼 길이는 7, 위의 약수의 개수 계산 결과는 3((3)짜리만 2개 있으므로)

따라서 3종


이 방법을 쓰면 예외나 확률 암기를 1도 안하고 다인자 표현형 가짓수를 구할수있다

rare-Ass'creed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