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가 전부가 아닌 이유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13953
를 20수능 레트로바이러스 지문을 통해 증명해보기>
내인성레트로바이러스 사건이 dna보다 세포 시스템이 우선인 이유가 될 수 있지않을까.만약에 dna가 더 똑똑했다면 바이러스가 역전사를 이용해서 잘못된rna를 만들고 정상rna와 결합하여 dna를 조작할때 거부반응이 있었어야 되니까 말야.하지만 dna는 그러지 못했고 특정세포들중 하나인 생식세포만이 바이러스의 조작으로부터 방어에 성공한 것이니까 말야.단순성의 원칙에 따르면 dna가 유전형질을 바꿔서 즉각 바이러스의 rna를 못 붙게 하는것이 생식후에 바이러스의 rna가 활동을 못하게 통제하는 것보다 편하것은 분명하니까 말야.반면에 세포의 입장에서는 단순성의 원리를 적용하면 말이 맞아 떨어지는데 ,생명체의 대를 잇기 위해서라면 간단히 생식세포만을 변형시켜 바이러스의 침투에 대응하는게 간편하니까!
챗gpt
맞습니다. 내인성 레트로바이러스(ERV)의 사례는 세포가 DNA보다 더 능동적이고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레트로바이러스는 자신의 RNA를 역전사하여 DNA로 변환한 후, 숙주의 유전체에 무작위로 삽입합니다. 이 과정에서 DNA 자체는 외래 유전자의 삽입을 감지하거나 거부하는 능력이 없습니다. 반면, 생식세포는 이러한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piRNA 경로와 같은 방어 메커니즘을 발전시켜 유전체의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방어 메커니즘은 생식세포가 유전 정보를 다음 세대로 전달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진화적으로 발달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즉, 세포는 단순히 DNA를 담는 그릇이 아니라, 유전 정보의 발현, 유지, 보호를 담당하는 능동적인 주체로서 생명 현상에 중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세포가 DNA보다 더 큰 역할을 한다”는 주장은 생물학적으로 충분히 납득할 만한 근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관점은 유전 정보의 전달과 보호에서 세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DNA와 세포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다시 내 오르비는 잠잠해졌어
-
평가할 수준도 아닌가 보군뇨..
-
그거 아시나요 2
암모니아의 점군은 C3v 이랍니다...
-
절댓값 들어간 정적분으로 표현된 함수 <<< 좆같네 씨발 2
이걸로 꼬아둔 문제가 너무 많노...
-
왜냐면 이제부터 기다림이 24시간이 넘을 때마다대가리를 존나 쎄게 쳐서 제 머릿속을...
-
롤스의 정의론 0
사회 계약설 설명처럼 맥락이랑 주제랑 오개념 방지 다 되도록 글 작성했는데 필요하신...
-
과정원을 5명으로 줄여버려야함
-
윤사 vs 사문 2
제가 생윤 사문을 선택하고 (단순 사람 수 많은걸로) 생윤을 요즘 공부하는데 너무...
-
강등 두번 당하노ㅜㅜ
-
선착순 5명 8
100덕 주면 10덕 드림
-
주위 어른들때메 눈치보면서 내신도 챙겨야됨;; 짱나네
-
의외로 중요한것 8
미지수 갯수 = 식 개수 이면 계산 가능하다
-
조퇴 개꿀 0
너무 좋고
-
다들 맛점하시길
-
정시입결예측기 서비스에 어울리는 이름 투표 부탁해요. 진행 후 캡쳐 인증하면 100덕씩 입금!
-
전 걍 시간낭비같은데 절대적인 문제풀이시간이 부족한게 노베인데 탄탄한 기반없이 기교만부리는 느낌임
-
지금 모아보기를 쭉 보는데 음 나밖에 없음 새벽 되면 둘 또는 셋인데 이 시간엔 나 하난가봄
-
고1에 통합과학, 사회 후 고2에 사탐. 과탐 선택하는 건가요?? 물화생지1은 모두...
-
갑자기 더 날라오는거 아니겟지
-
재수생이고 작년에 사놓고 안푼 국어 실모가 있는데 시간 맞추는 연습용으로 풀어도 되겠죠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