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에서 문제 배낀다는 증거는 차고넘침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806703
2 - (1)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개념은 사전적으로 이해한다
2 - (2) 어려운 구절은 시의 맥락을 통해 파악한다
이거 다 배껴서 김현승의 시 2506 내는거고
2. 11수능 이호철의 나상 모두를 획일화하는 사회 형상화 보기 문제
(더 레전드는 김승옥 역사 천재교과서에 있는데 09수능 문제 거기서
그냥 다 그대로 배껴냄 장면도 똑같고 물어보는 지점도 똑같음)
2. 문학의 표현상의 특징을 변별적으로 파악한다 -> 2011 자전거도둑
고전소설 첫부분 무조건 앞부분 줄거리에 붙여서 읽는거 완쪽 날개의 학습활동에서 계속 연습시킴 -> 2511 정을선전 호첩의 편지
3-(2) 윤선도의 상황을 통해서 시구의 의미를 파악한다 2411 화암구곡 2509 정철의 시조와 조존성의 호야곡 배껴냄
다시 말하지만 정파는 수능 잘볼수 없다고 말했음 쌓인게 없으니까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시발
-
맛있겠다
-
"한덕수가 가장 근접"...대선 양자대결, 이재명 누구와 붙어도 50%↑ 11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열리는 조기대선에서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
뭐지 존나 아픔
-
로맨스 제외. 양산형도 괜찮음. 오프라인으로 살 수 있는걸로
-
음운변동 0
미쳐버리겠다 문제 푸는데 너무 오래걸려서 스트레스
-
얼버기 12
밤인가봐요 어둑어둑하네요
-
저능 2
아직도 외분점 내분점 공식 나오면 어디서 어디까지가 몇대몇인지 몰르겠음
-
[자작시] 자습 0
-
기출풀고 채점할때 저는 이론윤리학으로 알았지만 규범윤리학인 경우가 있는데 그냥...
-
키 185 몸무게 90에서 체지방량이 1자리수...골격근량이 그냥 ㄷㄷ하네요
-
바닷가재 수확 마늘로요? 바다 가자 서해 머네요로?
-
부산대 삼반수 5
부산대 낮공인데 삼반수 어느라인부터 성공임??
-
확통질문 0
확통 김기현쌤 아이디어로 시작하는데 순열 조합 부분이 완숙은 아니에요. 얼추...
-
그래도 좋은 시선으로 봐주세요
-
g(α)<0인거 왜 있는거임 내가 모르는 g(α)≥0인 극소가 있나 없었던 것...
-
진짜 모름
-
비추인가요??
-
공벡으로 풀기 15
역시 매번 느끼는건데 수직조건은 공벡으로 보는게 상당히 괜찮음 혹시해서 써봣는데 괜찮네
-
모닝똥을 브와악 4
으어 시원하노
-
진짜 모름
-
물리 출튀 슈웃 6
-
푸리 2
굿
-
현재까지도 이견 거의 없이 미국의 가장 위대한 대통령으로 칭송받는 에이브러햄 링컨...
-
현실에선 똘똘함니다 그래도
-
이지영 2
복습 교제 따라가는 게 나을까요 vs 기출 (ex.기시감) 하는 게 좋을까요.....
-
사탐 선택 고민 7
재수생 - 메디컬 목표냐하기엔 곰곰이 생각해보니 좀 아닌 것 같고 무ㅓ그래도 문은...
-
아점 ㅇㅈ 4
6000원
-
점심 먹을 친구 없어서 삼김먹는중 ㅜㅜ
-
다 수업시간엔 오르비 안하는 실수들이었어..
-
원래 시험 당일에 알 수 있는 거 아니었나요??? 신기
-
꾸준글 써봐야지 우리학교 많이 사랑해주세요
-
22 31 32 34 36 37 38 39 이렇게 틀렸는데 하...뭐가 문제지
-
나진짜힘들어ㅓㅡ 9
안아주먄안돼?
-
난해한 시만 올리는 이상병걸린 고3 ㅋㅋㅋㅋ
-
원광대랑 단국대만 지랄이였던거네 ㅋㅋ 미친 쟤내 둘말곤 거의 그대롱데
-
자작시-중압 0
좀만 다듬으면 더 좋을거 같은데 그냥 올려봐요
-
[단독]서울대 교수회 “수능 1년에 3, 4번” 교육개혁안 첫 제안 3
서울대 교수회가 학과의 경계가 없는 무전공 선발을 확대하고 지방거점국립대와...
-
심찬우 선생님 듣고 있어서 ebs는 다른 강사분 들을려고 하는데 ovs가 제일...
-
영어 지문 5회독씩 다 돌렸고, 이제 문제를 풀어야하는데,, 저랑 진짜 잘 맞던...
-
생각해보니 걍 묶으면 되네 뭐지.
-
지금 출제되지 않는 유형이거나 과거 문제들은 안들어가 있나요?? 예를 들어...
-
9시수업인데 4
숭입 2정거장전 숭입 깊이는 ㅈㄴ 깊어요 으하하하 시발
-
걸렸어도 일반감기취급하는 편인가 아침에 일어나보니 목이아프노 병원가려는중
-
마플 수기총이랑 수분감중에 뭘해야할지 모르겠음 6월초까지는 뉴런 2회독이랑 한완수...
-
자작시 - 수시 1
삐뚤빼뚤해서 죄송
-
아메 아메 아메 1
아메리카노~ 사러가야겠다 ^^ㅣ발
-
누가 더 쎔? 1
통통통통통통 확류르 vs 기하할래요 기하하하
-
지각확정 0
개시1발
팩트)수시라고 저걸 다 연습하지 않는다 필기 베끼기만 하는 사람도 많을 것
당연 그렇게 하면 절대 실력 안쌓이는 필기형 허수됨
결국 저것들을 '교과서 안 보고도' 기출로 습득하는게 중요하지 않을까요
그렇죠 그런데 진짜 결정타들은 교과서를 봐야만 해결가능함(2306 미스터방, 2406 맹세, 2409 문의당기, 2411 할매턴, 2506 사실과 관습)
딱히..
그문제들을 교과서한번안본사람도 충분히해결가능함
제가 말하는 기준은 정확히 출제의도대로 정오를 명확하게 제시하는 수준이요
ㅇㅇ그니까요
교과서안봐도할수있음
교과서 봐야만 해결가능은 아닌듯요
국어 교과서 읽어본 적도 없는 재능러들 중에서 저거 가볍게 처리한 사람들 꽤 있을텐데
대다수는 재능러가 아님... 애석하게도
그래서 전 첫 1-2개월은 문학 교과서로 수업함
교과서에서 베낀게아니라 그게 본질이니까요..
교과서에서 한글을 가르친다고 모든시험이 교과서를 베낀건아니잖아요
그렇죠 제 의견은 ebs나 기출을 보기전에 무엇이 정석 풀이고 무엇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지를 알고 푸는 것과 그냥 막푸는 것은 다르다는 거죠
어려운 구절은 맥락으로 파악하는걸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걸모르더라도 그렇게풀게되어있으니까요..
특히 기출로 체득했다면 더더욱이요.
자전거를 그냥타지 어? 넌 페달을밟고있는걸 의식하지않고있어! 잘못타는거야 하지는 않잖아요
당연히 기출에 교육과정이 반영되니 기출을 통해서 체화한 것으로도 가능하다는 의견에는 100번 동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