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공팔 [1317759] · MS 2024 · 쪽지

2025-04-10 20:42:26
조회수 76

영어 헬프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83806

구문이 길어지면 길어질수록 뭉개져서 해석이 잘 안되는데 어려운? 구문 공부 하기 좋은 책/인강 추천 부탁드립니다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Fatigues · 950794 · 04/10 20:44 · MS 2020

    강의 들을 시간에 쉬운 문장부터 차근차근 읽어가면 알아서 해결됩니다

    I don't like that ~~~ 이런 문장이 있으면

    처음에는 like까지 , 실력이 늘면 that이하까지 한번에 읽고 이해할 수 있으실 겁니다

  • 팀공팔 · 1317759 · 04/10 20:48 · MS 2024

    쉬운 문장은 잘 해석된는데 중간에 2~3줄 되는 문장 보면 턱턱 막혀요

  • Fatigues · 950794 · 04/10 20:48 · MS 2020

    그럼 적정한 타이밍에 한번씩 끊어줘야 돼요

    혹시 문장 있으신가요

  • 팀공팔 · 1317759 · 04/10 20:52 · MS 2024
  • Fatigues · 950794 · 04/10 20:59 · MS 2020

    여기서 어느 부분이 이해가 안되시는거죠??

  • 팀공팔 · 1317759 · 04/10 21:00 · MS 2024

    이해의 영역보다는 해석이 문제가 있어서..

  • Fatigues · 950794 · 04/10 21:01 · MS 2020

    쪽지 드릴게요

  • 팀공팔 · 1317759 · 04/10 21:01 · MS 2024

    넵 감사합니다.!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04/10 23:16 · MS 2019

    원하시는 게 이런 답변인진 모르겠으나 저 문장을 문법&구문독해에 대한 관점으로 설명하실 수 있는 분이 많지는 않을 듯 하니 해당 관점에서의 답변도 남겨는 드립니다. 필요하시면 참고해 보세요..

    Through recognizable scores,
    해석: 알아볼 수 있는 악보를 통해
    해설: 전치사 through가 부사적 용법으로 사용된 평범한 전치사구

    visions of the future or a galaxy far, far away
    해석: 멀고 멀리 있는 은하계나 미래에 대한 비젼은
    해설: far, far away 자체가 '멀고 멀리' 정도의 뜻을 가진 관용적인 부사 숙어 표현입니다. 일부 부사(특히 장소부사, 시간부사 등)는 명사를 후치수식할 수 있으므로, 이때는 far, far away라는 부사가 galaxy라는 명사를 후치수식하여 '은하계는 은하계인데 멀고 먼 은하계' 정도의 의미가 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can be placed within a recognizable context.
    해석: 알아볼 수 있는 맥락 속에 두어질 수 있다.
    해설: 평범한 수동태 문장이지요.

    Such familiarity allows the viewer to be placed in a comfortable space
    해석: 그러한 친숙함은 읽는 사람을 편안한 공간 속에 둘 수 있다
    해설: 5형식 구조입니다. 목적격보어로 그냥 to-v가 온 것이 아니라 그 수동형인 to be p.p가 와서 직역으로 읽으면 수동의 느낌을 살려 '그러한 친숙함은 읽는 사람이 편안한 공간에 두어지도록 허용한다' 정도가 나오겠지요.

    so that the film may then lead the viewer
    해석: 그러면 영화가 독자를 이끌 수 있다
    해설: 이 문장은 크게 세 가지 부분을 집어야 할 듯 싶네요.

    첫째, 부사절 접속사 so that의 용법이 크게 다음과 같이 셋 정도가 존재합니다.
    - 그래서, 그러므로
    - ~하기 위해서, ~하도록
    - 앞절해서 so that절하다

    이때는 마지막 의미로 쓰인 겁니다.

    둘째, 접속부사(however, then...)같은 것들은 문장 중간에 끼어있으면 맨 앞으로 꺼내 먼저 해석하는 것이 요령입니다. 이때는 then이 '그러면'이라는 뜻으로 사용됐지요.

    셋째, 이때의 may는 가능성의 의미인데,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그냥 추측의 may라고 생각하시고 '그러면 영화는 독자를 이끌지도 모른다~' 정도로 이해하셔도 무방합니다.

  • Good day Commander · 887105 · 04/10 23:17 · MS 2019 (수정됨)

    to what is an unfamiliar, but acceptable vision of a world different from their own.
    해석: 친숙하지 않은, 하지만 그들의 세상과 다른 세상의 받아들일 수 있는 비젼인 것으로
    해설: 아마 이 부분이 가장 어렵지 않았을까 싶은데요. 이 부분도 몇 부분으로 나눠 보겠습니다.

    첫째, 주격 관계대명사 what이 사용되었습니다. 왜 주격 관대 what으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댓글로 설명할 수 있는 간단한 부분이 아닌지라 죄송합니다. what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의문사와 관계사의 개념을 모두 정확히 알고 있어야 합니다.

    둘째, '친숙하지 않지만 / 받아들일 수 있는' 이라는 두 상반된 형용사를 연결하기 위해 접속사 but을 써서 unfamiliar와 acceptable을 이어준 겁니다. 그렇게 이어진 형용사 덩어리가 명사 vision꾸며주었지요. 이때, 대조되는 형용사가 나열될 때는 대비를 강조하기 위해 '콤마(,)'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게 unfamlilar 뒤에 콤마가 찍힌 이유입니다.

    셋째, world와 different 사이에는 '주격 관계대명사 + be동사'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원래의 문장은 'world (which is) different from their own'으로 보시면 됩니다. 형용사는 본디 명사의 바로 앞에 놓여 명사를 수식하거나 보어로 쓰입니다. 그런데 different는 명사의 뒤에 있으니 명사를 수식하는 것이 아니므로 보어로 사용된 것입니다. 따라서 '주격관대+be동사'가 숨어있음을 알 수 있는 겁니다.

    넷째, different 뒤에 from이 올 때는 from을 '~와 (다른)'로 해석합니다.

    다섯째, own은 '자신의'라는 뜻도 있지만, '자신의 것'이라는 대명사도 가능합니다. 이때는 own이 '자신의 것'이라는 뜻으로서 맥락상 'their own은 'their world'를 의미합니다.

    분석도 참고는 해 보시라고 같이 올려드립니다만 이해하실 수 있으실지는 잘 모르겠네요.

    --

    맥락을 정리하면

    익숙한 요소는 상대방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해 주고, 이것처럼 영화도 관객이 살고 있는 세상과는 다른, 낯설지만 받아들일 수 있는 세계로 독자(=이때는 관객)를 이끌 수 있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

    본 글의 질문으로 돌아와서,
    언어를 학습하는 방법에는 크게 둘 있습니다.

    모국어처럼 익히느냐, 문법&구문독해로 익히느냐.

    어느 쪽을 선택하고 싶으신지에 따라 무엇을, 어떻게 학습하느냐가 달라집니다.

    다만 이 정도 수준의 문장은 난도 자체가 높은 건 아니나 쓰인 개념이 다채롭고 복잡하여 어느 관점으로 영어를 공부하든 공과 시간을 꽤 들여 공부하지 않으시면 제대로 읽고 이해하기가 다소 어렵고 까다로운 수준입니다.

  • 팀공팔 · 1317759 · 04/10 23:36 · MS 2024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