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은 많이 풀어보는게 답인가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80208
내용을 이해하기도 전에 어휘를 잘 모르는게 문제면
많이 풀면서 어휘도 정리하고 그래야겟죠?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1. 트위터를 켠다 10
2.방문을잠군다
-
같이 보는 것으로 약속하자
-
기차 지나간당 2
부지런행
-
2시간 더 줄이는 걸로 2000덕 2명 선착
-
날 밝으면 병원 가서 진료라도 받아볼까요 원래 한 달에 한 번 꼴로...
-
동가
-
07년생 10
저보다 아이민 낮은사람 있음,?
-
한시간 반걸리는데 또 가서 먹고싶은 건 정신병인가
-
님들아 2
잘 잤나용
-
해줘 앨범단위면 더 좋아
-
솔직한 의견 부탁해요
-
빡갤 념글로 학습시켰는대 왜 이럼
-
여잔데 콧수염이 남;; 11
막 엄청 진하진 않은데 거울 볼 때 자세히 보면 좀 거뭇거뭇함 사실나는남자였던것인가
-
오르비 안녕히주무세요 10
내일 얼버기할게요
-
진짜 거울보고 와 난 왜이렇게 생겼지 매일매일 후회합니노…ㅠㅇㅠ
고전소설은 그냥 틀이 너무 정형화되어 있어서
여러개 읽어보면서 고전소설 종류별로 흐름 파악하면 개쉬워요 훑어도 내용파악 잘됨
대강 흐름파악하는건 어렵지 않은데
20년도나 21년도 기출같은거 풀어볼때
가끔 어휘에서 좀 막히는 부분이 있는 것 같네요
이런건 어캐해야할지 ..
보통 어휘 해석은 잘 안 물어보지 않나요? 내용 파악하는데 걸려서 그러신건가요
어휘 하나를 모르니 그 문장 전체가 힘들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네요.. 특히 난 같은 전쟁관련 지문에서 힘든 것 같아요 예를들면 명나라 군인을 다른 호칭으로써 부르거나 할때 이게 뭘 뜻하는거지..? 하면서 탁탁 걸리는 경우가 많네요
저는 걸리는 어휘 있으면 배경 파악 먼저 하고 인물 관계 읽으면서 정리하면서 대강 맥락상에서 얘네가 할 만한 대화, 누굴 지칭하여야 문맥상 적합할지 따지면서 흐름 따라가는 편이에요
관직 명 같은 건 외우면 좋다고 들었는데 전쟁 지문은 어휘 정리 따로 들어본 게 없어서 잘 모르겠네요ㅠㅠ

답변 고맙습니다 맥락으로 파악해볼려고 노력해봐야겟네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