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생1 230617 야무지게 푸는법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73825
생명수 모의고사가 곧 출판돼요!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오늘 풀어 볼 기출은 23학년도 6월 모의평가 17번이에요.
다인자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대문자 수예요.
항상 대문자 수에 집중해서 풀이를 진행하고 유전자형은 필요한 경우에만 떠올리면 돼요.
그런데 이 문제를 풀 때 모든 구성원의 유전자형을 적으면서 푸는 사람도 많고, 유전자형을 쓰지 않았더라도 E0/e2 1/0과 같이 모든 구성원의 각 염색체에 있는 대문자 수를 적으면서 푸는 사람도 많더라고요.
가계도 문제에서 중간 유전이 잘 나오지는 않지만 이 논리 하나 정도는 기억하면 좋아요.
EE인 사람과 ee인 사람은 1촌 관계일 수 없기 때문에 1촌 관계인 두 사람의 표현형이 다르다면 두 사람 중 한 명은 Ee예요.
가계도에 1촌인 ㉠-㉡과 1촌인 ㉠-㉢이 존재하므로 ㉠은 Ee입니다.
1은 e를 가지므로 ㉡은 ee이고 ㉢은 EE입니다.
표에서 E와 H+R+T를 구분해 보면 그림과 같습니다.
1의 대문자 수는 6이므로 1촌 관계인 5의 대문자 수는 3~6 중 하나입니다.
3의 대문자 수는 0이므로 1촌 관계인 8의 대문자 수는 0~3 중 하나입니다.
2, 4, 5, 8의 대문자 수는 3으로 같습니다.
정답은 3번입니다.
유전자형을 쓸 필요는 전혀 없고 대문자 수의 최댓값과 최솟값만 구해도 문제를 풀 수 있어요.
선지를 해결할 때도 유전자형은 필요한 경우에만 떠올리고 대문자 수에 우선적으로 집중해야 해요.
ㄴ과 ㄷ 선지를 풀어 볼게요.
3의 대문자 수는 0인데 8의 대문자 수는 3이므로 4는 8에게 e와 대문자 3개를 주었습니다.
4의 대문자 수는 3이므로 4는 E0/e2 1/0입니다.
따라서 ㄴ은 옳은 선지입니다.
순수 다인자 유전에서 부모의 대문자 수의 차이와 표현형 가짓수의 홀짝은 반대입니다.
6의 대문자 수는 4이고 7의 대문자 수는 1이며 두 대문자 수의 차이는 3으로 홀수입니다.
표현형 가짓수는 짝수여야 하기에 ㄷ은 틀린 선지입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4덮 2
4덮인데 등급 어캐 뜰까요 수학 84면 몇등급이져..?
-
국잘수망..? 2
언매 90 기하 72 영어 67 수학 왜이래… 영어는 올랐다!
-
뉴비라 버겁네요
-
ㅈㄱㄴ
-
1. 정시인원 지역인재에 뺏기고 2. 남은 그 몇자리도 의반이 먹음 3. 의반들이...
-
5개년치 평가원만 해도 되려나? 아님 교육청도 해야되나? 시간이 많이는 없을거같아서
-
학점은 씹잡대애들 밟아서 얻은 물학점이고. 리트는 겨우 100~110 따리면서...
-
이미 이감 패키지 있어서 기출이랑 같이 병행하는데, 김동욱 수강생이면 일단 바탕...
-
더프 채점 결과 2
-
국어: 비문학: 2, 8, 10, 11, 12 문학: X, 화작: 43 수학: 9,...
-
언매 81 미적 100 영어 2 화학 47 생명 45 약대 되나요 ㅠㅠ
-
44?
-
이명은 "슈퍼맥스급 고시감옥"
-
아 영어 걍 존나 쉬워서 코파며 풀고 똥 싸러 나갔는데 2
88이네 ㅆㅃ
-
어제 30분박고 못풀었던게 5분컷이나네 뭔 생각하고 푼거냐ㅜ어제 ㅋㅋ
-
어려웠는데
-
4덮 사문 3번 2
회사동료가 지위라는게 말이되나
-
성대 가즈아 2
가즈아!!! 난할수잇다!!
-
찍맞 하나도없네 하
-
금풀강 0
으흐흐
첫번째 댓글의 주인공이 되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