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학군지와 농어촌 오프라인에서 얻을 수있는 정보에 차이가 있나요?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63706
비학군지(그 구에서 할렘가라고 불릴정도)에서 중학생때부터 메가패스 들으면서 선행한 입장에서 오프라인으로 한번도 정보를 얻어본적이 없어서요
대치 이런 곳과는 차이가 있겠지만 저것도 차이가 있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그럼 내가 100 100 1 100 100!!
-
공통 기준으로
-
와….무슨 저만 어려웠나요
-
저작권 때문에 문제는 못 올리는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7번 구성원 ㄴ은 d를...
-
나만 인문이랑 사회 보기에서 뇌정지왓나......
-
아 간만에 쉬네 0
오늘은 운동도가고 유튭도 보고 쉬어야겟다 공부는 낼부터 다싀
-
이제 현금 100밖에 없음 ㄹㅇ 파산핑
-
정답은 18이 아닌 12입니다
-
아 영어 걍 존나 쉬워서 코파며 풀고 똥 싸러 나갔는데 2
88이네 ㅆㅃ
-
1번 맨날틀림
-
어려웠는데
-
오르비 가오충 레전드 10
"가방끈 짧은 오만한티 내지마라" "너 내앞에서 실제로보면 눈도 못마주칠건데" 인터넷 여포 뭐지다노
-
4덮 0
85면 무보 2가능하나요? 저번에도 76인데 무보 3떠서...ㅠ
-
미적0틀 85점 0
기적의 수학 안 하는 법좀 9번은 왜 4점이냐 27번이랑 배점바까라 으아아
-
무지성으로 풀었다 문제4개중에서 저거만틀림 재밌는데 좀 내주면 안되나
-
혼술 야무지겠는데..
-
국어 비문학에서 전멸함
-
4덮 사문 3번 1
회사동료가 지위라는게 말이되나
-
22아직도 왜 틀렸는지 모름
-
4덮 언매 94 4
무보정 1 가능??
-
끔찍하게 힘들다 7
햄버거하나먹고 집에가야지 저녁엔 헬스나 갈까
-
더프수학 쉬움? 3
풀지말까
-
https://orbi.kr/00072854698 4차원에선 3차원의 모든것을 관측할수 있지
-
현장응시했는데
-
피타고라스만 써도 풀림 풀이 다양한 문제가 확실히 풀때 재밌다
-
41144 0
-
현대시 연계만 했는데 현대시 연계 안됐는디
-
찍맞 하나도없네 하
-
난 경제가 법보다 훨 나음 ㄹㅇ
-
쉬운거임?
-
더프 66점 5
이왜진
-
아무리해도 안늘더라...
-
3덮 29번? 30번? << 13으로 찍맞 3월 학평 29번? 30번? <<...
-
문학은 괜찮은데 독서는 인강 들으면 공부하는 느낌이 안 나서 이번달 초부터 인강 안...
-
91/88 언미에여
-
언어와 매체-86(7,11,17,19,21,40) 미적분-100 영어-97(39)...
-
훠훠 이게 맞습니꽈~!?
-
그나마 뭐가 더 의미있음? 비교 대상은 3모
-
사문 모의고사에서 문제 찍어본적 거의 처음인듯 15번 풀다가 7분남아서 멘탈 나가서...
-
학생증 받으러 가기 귀찮음 왕복 6시간임
-
더프 미적 80 0
찍맞없이 더프 미적 80이면 여기서 n제 더 풀면서 위로 올라가는게 맞는건가요??
-
국어 90이면 3
보정1은 뜨려나
-
안그러면 민족의 아리아가 마지막에 못나오니까 플리 안꼬이려면 그렇게해야됨
-
ㅋㅋ캬
-
국어 진짜 ㅅㅂ 0
뭐한거지
-
사탐런.. 6
의대 인원 원래대로 돌아왔는데 사1과1로 의대 노리는 거 괜찮으려나요 ...ㅜ?
-
다른거 하나는 생윤 사문은 보드게임,채점질,카드뽑고 자빠져서 너무 정이 안가서...
-
국어 20분남기고 배고파서 집가는데 문학에서만 15점나감ㅋㅋㅋㅋㅋ 원래는...
-
'황제' 프사를 단 보닌이지만 아무래도 도긩쌤의 가스라이팅에 넘어갈거같다
-
사탐런 쌍지 0
화생지했었고 수능 기준 3등급이었습니다 올해에 수능 다시 볼 기회가 생겨서...
8학군사는데 오프라인으로 얻는 정보 집에서 딸깍으로 다 찾을 수 있는것들이라 ㅋㅋ
젤 쓸데없는게 설명회랍시고 아줌마들 몰려가는거..
웬만한 오르비언보다 정보 잘 모르는사람들이 만드는것들 보러 가는거임뇨
ㄹㅇ솔직히 저는 비학군지에서 얻는 정보는 그냥 안듣는게 낫다고 생각..
+21세기에 정보의 무지도 봐줘야하나 싶네요
농어촌 전형의 의의에 맞는 지역에서는 오프라인으로 얻을수 있는 정보가 분야를 막론하고 0에 수렴합니다.
그러니까요 비학군지도 0이에요
21세기에 정보에 무지한걸 봐줄필요가 있나요?
1. 농어촌 전형은 단순히 정보의 비대칭성을 보상하려는것이 아님. 언제까지나 제도적 기반은 등급제 도입 이후 인원수가 적은 농어촌의 학교에서 등급이 제대로 매겨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한것임.
2. 그럼에도 불구하고 농어촌 전형의 당위가 1.에서만 오는것은 아님. 널리 알려진바, '교육격차'도 그것으로 종종 언급됨. 하지만 '교육격차'가 오직 정보의 비대칭성만 의미하는지? 도서관, 스터디카페도 없는 경우가 존재하고 특히나 고등학교 (3학년)이전 경우에는 자신의 의지에 비하여 정보탐색능력이 부족하기에 이전 성장기에 보장받지 못한 교육의 기회를 '한번 더' 주는 개념이 가까움.
3. 입시 제도가 '뛰어난 학생을 선발'하는것에만 목적이 있지는 않음. (오르비에서는 상당히 공감받기 어려울 주장이지만) 제도에게서 직접적으로 구속력을 갖는 당사자의 입장 외에도 정치적 이해타산과 범국민적 요구에 따라 일정부분 희생자가 생기는건 국가 개념 하에서 필연적인 사실임. 입시 제도의 합목적성보다 (그 실효성과는 관계없이) 거시적인 관점에서 국가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단으로 사용할 '시도'로 사용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해왔고, 당사자의 입장 내에서만 이를 비판하는건 옳지 못함. '의의'와 '실효'를 구분해서 비판하는것이 중요한데, 오직 실효성을 근거로 그 둘과의 개념적 관계를 생략하며 의의를 비판하는건 논리적으로 그름.
4. 혹자는 대형/과밀화 읍,면 지역을 사례를 제시하며 이 제도을 비판하지만, 그것 또한 3.과 같은 맥락에서 '실효'에 대한 문제이지, 의의에 대한 문제가 아님. 오히려 제도의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이지, 존치여부에 대한 논의는 대부분에 상황에서 아닐것임.
하지만 제 개인적인 사견으로는, 현 농어촌 전형의 문제점은 매우 비대하다는데에 다소 동의하는 편임. 대학 입시를 넘어 교육기관에 대한 민족적 인식은 처음부터 입신양명의 수단이었음. 이러한 방향성이 노력이 입시에 끼치는 영향을 과대평가하며 그 의의, '수학능력평가'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관성을 70년동안 제공하였다고 생각함. 이러한 프레임을 부정하는 관점에거는 자연스레 교육격차를 운운하는 농어촌 전형은 대입의 공정성을 넘어 국가의 경쟁력에도 도움이 되는가 라는 의문은 사라지지 않음.
다만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가능성이 현실적으로 미약하고, 농어촌 전형을 제외한 나머지 입시제도 조차도 같은 비판에 대하여 자유롭지 않다는 문제에서 궁극적으로는 농어촌 전형이 행간의 인식과는 달리 극단적으로 부정적인 제도라고는 생각하지 않음.
학군지조차도 별건 없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