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떻게 20년이 지나도 저런 목소리가 나오지
-
집가서자야하나 근데할건 ㅈㄴ많음 내신으아아아아악
-
은근닮긴했는데
-
13, 14 둘 다 끙끙거리면서 풀었다 라는 멘트를 한걸 보고 생각해본 건데 13이...
-
슈뢰딩거 어게인 5
-
인생이망햇군. 1
할복을,,
-
어디가 더 쉬울까요? 궁금하네요
-
흥분시켜줘 18
.아무나
-
이제 실천해야겠다 흐헤헤
-
개념도 들으면 다시 생각날 것 같고..
-
나 06인데.. 14
나 안늙었는데..
-
사탐 경제 자료 4
사회탐구 경제 선택하려고하는데... 자료는 어디서 구할 수 있을까요? 다들 경제는...
-
감기몸살이 심해서 낼 아침에 보고 갈지 결정할거 같은데 못가면 그 시험지는 못 받나요?
-
비염 + 트라우마 와서 그런가 ㅅㅂ
-
아빠와나 후레쉬맨 전쟁시대 레바의모험 쇼핑카트? 프란체스카 이런거 했었는데
-
포물선 타원 쌍곡선 정의 알려주고 쌍곡선에 점근선 있다 이게 1단원 내용 끝이네
-
풀이 얼탱이 없네 씹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거의 2만명에서 3만명됐던데 현역분들이 세지로 많이 간 이유가 있을까요? 정법은 거의 안갔던데..
-
근육이 아프다고 소리지르네
-
의치한약 걸리면 그대로 인생피는거고 수간 걸리면 그딴거없이 하루에 한번 짐승한테..
-
이래서못끊어요 공부30분후 오르비5분 사이클 무한가동하기
-
작년 서머급이다
-
지금 시발점 다하고 기출 고2 11월부터 고3( 프린트해서 품)4개년치 돌렸는데...
-
여기에 씹선비들 많아서 자기가 안 당해본거면 선비모드 발동해서 세상 듣기 좋은...
-
왜 현주간지 홍보 안함?
-
벤담이 공리주의 시초인걸 과외로 알아야 하는걸까 흠..
-
제발 좀
-
??
-
강기분 새기분 현강 끝나고 걍 우기분까지는 쭈욱 현강이 없는거임?
-
퍼징한번에만들어
-
넷 다 지뢰잖아…
-
ㅈㅇㅇㅇ 23
-
아. 떨어져 2
으악!
-
제가 독재를 9시에 와서 공부를 하는데요, 아침 9시부터 저녁 6시까진 쌩쌩히...
-
매번 강의에서 동생 늘렸다 들었다 올렸다 옮겼다 밀었다 이리저리 하네ㅋㅋㅋㅋㅋ
-
저녁 ㅇㅈ 5
-
문디컬 갈아타는거 오바인가요?
-
역사 노베이스 수험생인데 수능범위에 지엽적이지않으면서 밥먹으면서 필기안하고 꾸준히...
-
1시간짼데 쉽지않다
-
나 이나이 먹고도 궁금한게 그냥 은행전산에 들어가서 돈복사하면 되는거아님?
-
밥먹는 시간이 자꾸 뒤로 밀려서 그런거였음 시간안된다고 매번 다 먹지도 못하는 것도 있고
-
내가 모의고사 시식해서 분석(?)하면 저기에 의뢰할지 말지...
-
상당히 아름다운 나라인데 무비자 1년에 다른나라 하루라도 갔다오면 초기화라 사실상...
-
극한 식이 들어간 네모박스 조건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수학황...
-
생1 다인자 나올 확률도 낮은데 공부할건 더럽게 많네 2
사설에선 개어렵게 나오고 하... 버리고십다
-
벳킷좀이라고 워터마크 떡하니 박혀 있는거 중고나라에 내 계정으로 쳐 올려놓고...
-
흐흐흐...
-
다들 오늘 하루 잘 보내셨나요!!
-
개잘함
-
로그인도 안되지롱
밭이랑 (이때 이랑은 실질형태소)
[받이랑] -> [바디랑]
음절의 끝소리 규칙!!
이거 반니랑 아님?
예아
ㄴ첨가 음끝 비음화
오 감사합니다 !!!
이랑이 실질형태소라서 연음하면안됨
밭+이랑에서
합성어에서 앞단어의 끝이 자음이고 뒤단어의 첫음절이 이,야,여,요,유이면 ㄴ첨가해야함
밭이랑>밭니랑>받니랑>반니랑(비음화)
이랑이 형식형태소일때는 구개음화조건이라
바치랑이 됨
우와 감사합니다!!!!!
효과
갈등
널판지
효과
갈뜽
널빤지...는 원래 이게 맞는 맞춤법인걸로 아는디
맞아요. 널판지는 비표준어임
물개물개가 솜이불을 덮고 닭다리랑 신라면을 맛있게 먹는 모습이 행복해 보여요.
물깨물깨가 솜니부를 덥꼬 닥따리랑 신나며늘 마싣께 멍는 모스비 행보캐 보여요
몫몫이
몽목시

그리고 이거 몇번 음운변동 되는지 중요함몫몫이-몫목시-목목씨-몽목씨
인가요?
음운변동 참고로 2번임
목목씨 자단, 몽목씨 비음화 목씨는 그냥 카운트 안됨
경음화까지 쳐서 3번 아닙니까
몫몫이>목목시>몽목씨
학자마다 견해가 다르다고 하네요
학교문법에선 보통 경음화로 칩니다. 학교문법과 관련해선 온라인가나다 별로 믿을 게 못 됨. 딱 맞춤법 질문 원툴
꽃말을 낱낱이 잘 살펴 보았지만 정확히 알 수가 없네. 이 흙하고 저 흙과는 뭐가 달라서 저곳에선 이 꽃이 피지 않는 걸까
[꽃말을>꼳마를>꼰마를] [낱낱이>낟나티>난나치] 잘 살펴 [보았지만>보앋찌만] [정확히>정화키] [알 쑤가] [없네>업네>엄네].
이 [흙하고>흑하고>흐카고] 저 [흙과는>흑과는>흑꽈는] 뭐가 달라서 저고세선 이 꼬치 피지 [않는>안는] 걸까
학교 선생님에 따라선 '살펴' 같은 것도 '살피어'에서 바뀐 거라고 반모음 교체(또는 모음축약)으로 보게 할지도 모르겠네요

그렇게까지 엄밀하진 않을 거 같아요자세한 해설까지 너무 감사합니다
새벽에 울음을 토하는 닭과 같이
낡아버린 바람을 읊고 싶다
윤석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