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근수축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36890

이 문제에서 수축했을 때 ㄱ과 ㄷ의 변화는 이해가 되는데요. ㄴ이 ㄴ으로만 변화되는 이유가 이해가 안되네요. ㄴ이 ㄷ으로도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오늘은 커피 없이는 못 버티겠다
-
아침잠 많을 때 0
아침에 (8시~ 10시) 국어 월간지랑 인강 커리대로 듣고 있긴 한데 아침잠이 너무...
-
빵댕이
-
얼탱이가없네
-
3덮 빌보드 안나오나요? 다니는 곳 바로 옆에 다른 센터있어서 빌보드 보고 거기로...
-
어느정도 인가요?
-
몰라 게시글이 떠다니더라 모 대형 고닉씨 보셈 댓글만 잘못써도 캡쳐가.. 이하생략
-
정신뼝걸림 2
학교다니기싫어서 막상가면나름재밋는데월요일수업이ㄴㅁㄴㅁ싫음
-
다들 어케 극복하시나욥
-
마라탕 먹고싶다 0
-
설마 이거 불러본 분 있나요?
-
내 자식은 2
생기긴할까
-
1년 6개월이 벌써
-
수행평가 하나 스트레스받던거 끝맞추니까 조증 존나 쌔게 오네 아 오늘 약 먹지 말걸
-
갑자기 몇연타로 올리다가...
-
오르비 12월생이야 노베라 질문글 답도 못해줘..ㅜ
-
어제오늘 모고푸는데 자꾸 2점 3점 틀려서 석나가네...
-
총체적인 논의가 다 들어감 https://orbi.kr/00072740989
-
도와주세요 2
안녕하세요 공부 별로 안해본 고2 남학생입니다. 최근 주변 친구들 보니 저도 공부를...
-
하 시발 ㅋㅋ 그냥 수능 접을까
한쪽 근육 원섬유 마디 끝 Z1으로부터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지점을 관측한다면, 이완 수축 여부에 상관 없이 H대만 존재합니다.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는 일정하니) 따라서 H대 -> H대의 양상은 엑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지점에서 관찰이 가능한 양상입니다.
L4인 지점처럼 이완 수축 여부에 관계없이,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곳을 관찰하면 H대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