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근수축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36890

이 문제에서 수축했을 때 ㄱ과 ㄷ의 변화는 이해가 되는데요. ㄴ이 ㄴ으로만 변화되는 이유가 이해가 안되네요. ㄴ이 ㄷ으로도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이항대립,삼항대립,붙여읽기,끊어읽기,구조독해,그읽그풀 이게 다 뭐임 이거 다...
-
함수 말고 이차곡선으로도 될까요? *f(g(x))에서 f가 이차곡선인 경우 된다면...
-
올해 지역+기균 점수랑 작년 지역인재 점수랑 비교해서 기사쓰고있음ㅋㅋ
-
붓으로 얇게 여러번 칠하듯이 해야함 한번에 많이 칠해버리고 끝내려 하면 나중에 번지거나 얼룩지는듯
-
빠져든다.
-
현역 언 미 영 물 지 64 82 4 75 64 인천대 1학기 후 자퇴 8월부터...
-
볼에 여드름 남 3
방금 염증 주사 2만원짜리로 끔.살 하고 옴
-
에 대해서 잘 알고계신분 있나요..? 학원생이 상담요청하는데 정보가 너무 없네요 ㅠ
-
확통 미적 기하
-
흐음
-
늦게 찾아온 만큼.... 3월말에 잠깐 여름 찍먹하고 다시 겨울이었다가 이제야 계절이 정상화된 느낌
-
.
-
정답률 파악을 위해 문항마다 투표 올립니다. +국어 해설 작성에 능한 야인을 찾고자...
-
Falling in math 244번
-
레벨 올랐네 2
아
-
육진방언 글로 3만 덕 넘게 벎 캬캬
-
점심은 샐러드 2
네
-
911이후 제일 심각한 수준으로 내리는데 이게 끝이 아닐것같음
한쪽 근육 원섬유 마디 끝 Z1으로부터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지점을 관측한다면, 이완 수축 여부에 상관 없이 H대만 존재합니다.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는 일정하니) 따라서 H대 -> H대의 양상은 엑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지점에서 관찰이 가능한 양상입니다.
L4인 지점처럼 이완 수축 여부에 관계없이,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곳을 관찰하면 H대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