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 근수축 질문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36890

이 문제에서 수축했을 때 ㄱ과 ㄷ의 변화는 이해가 되는데요. ㄴ이 ㄴ으로만 변화되는 이유가 이해가 안되네요. ㄴ이 ㄷ으로도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뭔잠이여 ㅋㅋ 10
내가 와따 잠 안옴 낼그냥 커피마시고 저녁까지 버틴다
-
주말에는 방에서 오만거 다할 수 있어서 좋네 유후
-
어떤 글을 써볼까
한쪽 근육 원섬유 마디 끝 Z1으로부터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지점을 관측한다면, 이완 수축 여부에 상관 없이 H대만 존재합니다.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는 일정하니) 따라서 H대 -> H대의 양상은 엑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지점에서 관찰이 가능한 양상입니다.
L4인 지점처럼 이완 수축 여부에 관계없이, 액틴 필라멘트의 길이보다 먼 곳을 관찰하면 H대가 유지될 수 있습니다.
2달도 전 글이라 지금은 충분히 아실지 모르겠지만 조건에 t2시기 M선 길이 왼쪽이기 때문에 모든 고정된 선 L은 수축 전이던 후던 M 왼쪽에 있어야하죠
왼쪽 액틴 고정해두고 오른쪽 애들 싹 왼쪽으로 밀어버린다 생각해보세요 ㄴ이 ㄷ으로 가려면 M선왼쪽 ㄴ에서 M선 오른쪽 ㄴ을 넘어 M선 오른쪽 ㄷ에 가야 가능하겠죠 조건에 충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