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 듣고 우리나라 국어 교육은 허울뿐이라고 느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34951
216 들으면서 논리적으로 생각하는게 무엇인지 처음 배움
이걸 학교에서 가르쳐야되는데 정작 학교에선 낡아빠진 고전시가에 밑줄 형광펜 벅벅 그으면서 비유니 객관적 상관물이니거리고 있으니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까비
-
뻥입니다 제가요? 중간 당일까지 만년필 골라달라는 글 쓰겠습니다
-
어머님 저는 독서 문학만 가르칩니다(전 교육과정에서 화작해서요)속닥속닥 하면 바로 꺼지라 하겠지?
-
6모 보고 투표해도 되나?
-
물리 역학의 기술 걍 빨리 풀고 넘어가는게 나을까요? 3
기출정도는 그래도 나름 스무스하게 풀리는 실력인데 역학의 기술 사서 풀어보니까...
-
알았냐 보통 설의법이라 하지 설의적 표현은 생소하네
-
급함
-
그니까 3년 전 이맘때쯤만 해도 GPT가 없었다는 거잖아? 그시절에어떻게살았을까
-
내 무습다
-
2025학년도 송원대 입시결과(수시, 정시) : 네이버 블로그
-
0.5배 이상 나나
-
국어 독서 누구 들어야 할까요 지금 박준호(서준혁으로 이름 바꿈) 현강 듣는데 독서...
-
막상 내가 갈 때 되니까 군필분들이 존경스럽고 대단하게 느껴지네..
-
구라같냐 이눔들아..!!
킹치만 수능은 빨리 정확하게 푸는놈이 승자인걸요
암기도 좋은 공부방법 중 하나인건 맞아유
가르치기도 쉽고 배우기도 편하고
수능은 암기를측정하지않잖아요..
써놓고 보니 수능에서 암기만 본다는말처럼 됏네요ㅜ
요점은 가르치기 편해서 암기시킨다는거엿습니다
암기라는 것도 논리, 인과성 등을 첨가할 때 효과가 더해집니다. 학생들에게 필요한 교육은 이에 해당하는 논리적 사고를 길러주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서 내신 시험치는데 애들이 수특 지문 통암기해왔더랬죠..
논리학 과목 새로 생기는거 같던데 그거라도 활성화되었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