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매 질문!!!제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729201
나는 산다(live)
이 문장 안 어색해서 한자리 서술어로 읽혔는데
산다(살다)는 무조건 두자리 서술어라고 언매쌤이 그러네요?
근데 재미나이는 또 아니라고 하네요?
뭐가맞나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미친개념 완강, 수분감 수1 끝, 수2랑 확통은 하는중../6모 전까지 확통은...
-
학사졸업인데 대기업에 쌩신입으로 입사하기 가능할까요? 요즘 공대도 취업이 힘들다고...
-
대통령의 권한(국방,외교에 한함)을 줄이고, 국회에서 내각(내치)을 구성하도록 하되...
-
그만큼 다른 자격증들이 대따 어려움. 심지어 공인중개사 1차 민법도 수능 정법보다 훨씬 어렵다.
-
오른쪽이
-
내안을 파고드는 가시이이이이이가되어어어어어
-
한낱 뻘글러의 컨셉을 지녔지만 오르비 꼬라지를 누구보다 냉철하게 분석 파악하고 있으시군
-
대통령 무한루프 2
일각에서 현직 변호사들이 법리적으로 윤석열 후보자 등록가능하고 대선 출마 가능하다고...
-
나도 과외 끝 1
시범과외 하나 추가로 준비해야지
-
갑자기 서바 시즌 악몽이 막 떠오름 정신병 max 찍던 시절이라 아 아직 ptsd 남아있구나..
-
3모 65점… 2
이 정도 수준이면 공통 시발점 워크북, 쎈 b는 풀고 가야하나요? 지금 기출 쉬운...
-
ㅇㅁ 없음
-
ㄱㄱ혓
-
이름만 봤음 신기한 경험
-
아가 기상 2
네
-
김동욱 커리 타고 있긴 한데 강민철이 평가가 좋다더라구요 내신+수능 겸용으로 하려고...
-
국영수는 글렀으니 사탐 백점 맞을 전략을 짜라 사탐은 책을 통으로만 외워도 백점이 나온다
-
캬
-
학생정신주입봉
-
또혼캎 2
조신하게 허브차마시기
거주하다의 살다면 두자리고 생명을 유지한다의 살다면 한자리가 맞을거같은데요
나는 산다가 어색한데
그런가요...
Q.나는 산다
A.어디에 사는데?
형님 혹시 그러면 대표적인 한자릿수 서술어 몇개좀 알려주실 수 있으실까여
예쁘다, 시끄럽다, 죽다.. 요정도 생각나네요
나는 앉다
어디에 앉았는데?
근데 앉다는 한자리라 이 판별법도 은근 애매해서..
걍
비교하다, 먹다 이런 건 뭔가 필수적으로 앞에 뭔가 붙어야할 것 같지만
앉다 이런 건 직관적으로 아니니까..
뭐 이렇게 보면 될까요
앉다는 두자리 서술어예요
서술어 자릿수가 좀 애매하다고 느낄 수도 있죠... 강민철 쌤도 서술어 자릿수는 소거법으로 풀라고 강조하셨어요
(친구에게) 너는 일어섰어? 나는 앉았어. > 안어색함
뭐 이정도로 이해하면 될것같은데 문제 많이 풀면서 익숙해지는것도 중요할 듯 이정도로밖에 설명을 못하겠네요 ㅠㅡㅠ
와 이거 진짜 존나 미치겠네요 내신때문에 언매공부하고있는데 이게 젤어려워요 딱 나눠떨어지지가 않네요
그냥 언매쌤한테 사례집 리스트 만들어달라 부탁드려서 달달외워야겠습니다ㅠㅠ
사실 뜻에 따라 자릿수가 달라집니다
"어느 곳에 거주하거나 거처하다."의 뜻이라면 부사어를 요하는 두자리 서술어
"어떤 직분이나 신분의 생활을 하다."의 뜻이라면 목적어를 요하는 두자리 서술어
"어떤 사람과 결혼하여 함께 생활하다."의 뜻이라면 부사어를 요하는 두자리 서술어
"생명을 지니고 있다"의 뜻이라면 "그는 백살까지 살았다"처럼 한자리 서술어입니다
여러 기준을 통해 필수적 성분 그중에서도 필수적 부사어를 정하는데 그 기준을 나누자면
1. 비교형 서술어가 쓰일 때(닮다/같다/등)
2. 이동성이나 방향성과 관련된 서술어가 쓰일 때(움직이다/옮기다/보내다/내리다/등)
3. 수여동사(주다/부여하다/물려주다/등)
4. 서술어가 의미적으로 부가적인 묘사가 필요할 때(생기다/변하다/등)
5. 목적어와 동일한 격을 나타내는 성분이 필요할 때(삼다/간주하다/등)
가 있겠습니다.
그렇지만 '비가 내리다'의 '내리다'는 한자리, '난 차에서 내렸다'의 '내리다'는 두자리 서술어인 것처럼 의미를 잘 고려하여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동물원에 구경을 갔다는 왜 세자리인가요?
표준국어대사전에 [ ] 안에 두 성분이 있다면 이는 세 자리 서술어라는 뜻입니다. 다른 형식으로 나타날 수 있다면 [ ] 옆에 [ ]를 써 이렇게도 표현할 수 있다고 알려줍니다.
아무튼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라는 의미를 나타내야 하니 행위를 나타내는 목적어 즉 '구경을'이 필요하고, '가다'는 이동성을 필요로 하니 장소를 나타내는 부사어 즉 '동물원에'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