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1334430] · MS 2024 · 쪽지

2025-04-03 00:01:52
조회수 134

쿠르츠케작트 영상 기념 당신을 위한 기출문제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89739

2018 LEET <베나타의 논증>


결혼을 하면 자연스럽게 아이를 낳지만아이들은 이 세상에 태어남으로써 해를 입을 수도 있다원하지 않는 병에 걸릴 수도 있고 험한 세상에서 살아가는 고통을 겪을 수도 있다이렇게 출산은 한 인간 존재에게 본인의 동의를 얻지 않은 부담을 지운다다른 인간을 존재하게 하여 위험에 처하게 만들 때는 충분한 이유를 가져야 할 도덕적 책임이 있다출산이 윤리적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아이를 낳으면 아이를 기르는 즐거움과 아이가 행복하게 살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 아이를 낳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고반면에 아이를 기르는 것은 괴로운 일이며 아이가 이 세상을 행복하게 살 것 같지 않다는 생각으로 아이를 낳지 말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그러나 이것은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 것이니 이런 근거를 가지고 아이를 낳는 것과 낳지 않는 것 중 어느 한쪽이 더 낫다고 주장할 수는 없다철학자 베나타는 이렇게 경험에 의거하는 방법 대신에 쾌락과 고통이 대칭적이지 않다는 논리적 분석을 이용하여태어나지 않는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하는 논증을 제시한다.

베나타의 주장은 다음과 같은 생각에 근거한다어떤 사람의 인생에 좋은 일이 있을 경우는 그렇지 않은 인생보다 풍요로워지긴 하겠지만만일 존재하지 않는 경우라도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서 잃을 것은 하나도 없을 것이다무엇인가를 잃을 누군가가 애초에 없기 때문이다그러나 그 사람은 존재하게 됨으로써 존재하지 않았더라면 일어나지 않았을 심각한 피해로 고통을 받는다이 주장에 반대하고 싶은 사람이라면부유하고 특권을 누리는 사람들의 혜택은 그들이 겪게 될 해악을 능가할 것이라는 점을 들 것이다그러나 베나타의 반론은 선의 부재와 악의 부재 사이에 비대칭이 있다는 주장에 의존하고 있다고통 같은 나쁜 것의 부재는 곧 선이다그런 선을 실제로 즐길 수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없더라도 어쨌든 그렇다반면에 쾌락 같은 좋은 것의 부재는 그 좋은 것을 잃을 누군가가 있을 때에만 나쁘다이것은 존재하지 않음으로써 나쁜 것을 피하는 것은 존재함에 비해 진짜 혜택인 반면존재하지 않음으로써 좋은 것들이 없어지는 것은 손실이 결코 아니라는 뜻이다존재의 쾌락은 아무리 커도 고통을 능가하지 못한다베나타의 이런 논증은 아래 <>가 보여 주듯 시나리오 A보다 시나리오 B가 낫다고 말한다결국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 훨씬 더 낫다.

<>


시나리오 A:
 X가 존재한다

시나리오 B:
 X가 존재하지 않는다

(1) 고통이 있음

(나쁘다)

(2) 고통이 없음

(좋다)

(3) 쾌락이 있음

(좋다)

(4) 쾌락이 없음

(나쁘지 않다)



베나타의 주장을 반박하려면 선의 부재와 악의 부재 사이에 비대칭이 있다는 주장을 비판해야 한다첫 번째 비판을 위해 천만 명이 사는 어떤 나라를 상상해 보자그중 오백만 명이 끊임없는 고통에 시달리고 있고다른 오백만 명은 행복을 누리고 있다이를 본 천사가 신에게 오백만 명의 고통이 지나치게 가혹하다고 조치를 취해 달라고 간청한다신도 이에 동의하여 시간을 거꾸로 돌려 불행했던 오백만 명이 고통에 시달리지 않도록 다시 창조했다하지만 베나타의 논리에 따르면 신은 시간을 거꾸로 돌려 천만 명이 사는 나라를 아예 존재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그러나 신이 천만 명을 아예 존재하지 않게 하는 식으로 천사의 간청을 받아들이면 천사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공포에 질릴 것이다이 사고 실험은 베나타의 주장과 달리 선의 부재가 나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나쁠 수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생명들을 빼앗는 것은 고통을 제거하기 위한 대가로는 지나치게 크다.

첫 번째 비판은 나쁜 일의 부재나 좋은 일의 부재는 그 부재를 경험할 주체가 없는 상황에서조차도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가치를 지닐 수 있다는 베나타의 전제를 받아들였지만두 번째 비판 그 전제를 비판한다평가의 용어들은 간접적으로라도 사람을 언급함으로써만 의미를 지닌다그렇다면 좋은 것과 나쁜 것의 부재가 그 부재를 경험할 주체와는 관계없이 의미를 지닌다고 말하는 것은 무의미하고 바람직하지도 않다베나타의 이론에서는 악의 부재라는 표현이 주체를 절대로 가질 수 없다비존재의 맥락에서는 나쁜 것을 피할 개인이 있을 수 없기 때문이다.

만일 베나타의 주장이 옳다면 출산은 절대로 선이 될 수 없으며 출산에 관한 도덕적 성찰은 반드시 출산의 포기로 이어져야 한다. 그리고 우리는 이 세상에 태어나게 해 준 부모에게 감사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그 주장의 정당성은 비판적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22.  베나타의 생각과 일치하지 않는 것은?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는 행위에는 윤리적 책임을 물을 수 있다.

아이를 기르는 즐거움은 출산을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지 못한다.

태어나지 않는 것보다 태어나는 것이 더 나은 이유가 있어야 한다.

고통보다 행복이 더 많을 것 같은 사람도 태어나게 해서는 안 된다.

좋은 것들의 부재는 그 부재를 경험할 사람이 없는 상황에서 조차도 악이 될 수 있다.


23.  베나타가 에 대해 할 수 있는 재반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전적으로 고통에 시달리는 사람도전적으로 행복을 누리는 사람도 없다.

쾌락으로 가득 찬 삶인지 고통에 시달리는 삶인지 구분할 객관적인 방법이 없다.

삶을 지속할 가치가 있는지 묻는 것은 삶을 새로 시작할 가치가 있는지 묻는 것과 다르다.

경험할 개인이 존재하지 않는 까닭에 부재하게 된 쾌락은 이미 존재하는 인간의 삶에 부재하는 쾌락을 능가한다.

어떤 사람이 다른 잠재적 인간에게 존재에 따를 위험을 안겨 주는 문제와 어떤 사람이 그런 위험을 스스로 안는가 하는 문제는 동일한 문제가 아니다.





24.  이 <>에 대해 생각하는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와 (4) 모두 좋다고 생각한다.

(2)와 (4) 모두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다고 생각한다.

(2)는 좋지만 (4)는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다고 생각한다.

(2)는 좋지만 (4)는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다고 생각한다.

(2)는 좋기도 하고 나쁘기도 하다고 생각하지만 (4)는 나쁘다고 생각한다.





25.  <보기>와 같은 주장의 근거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 기>




다음 두 세계를 상상해 보자세계 1에는 갑과 을 단 두 사람만 존재하는데갑은 일생 동안 엄청난 고통을 겪고 쾌락은 조금만 경험한다반대로 을은 고통을 약간만 겪고 쾌락은 엄청나게 많이 경험한다그러나 세계 2에는 갑과 을 모두 존재하지 않는데그들의 고통이 없다는 것은 좋은 반면그들의 쾌락이 없다는 것은 나쁘지 않다베나타에 따르면 세계 2가 갑에게만 아니라 을에게도 언제나 분명히 더 좋다그러나 나는 적어도 을에게는 세계 1이 훨씬 더 좋다고 생각한다


나쁜 것이라면 그것이 아무리 작아도 언제나 좋은 것을 능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쾌락은 단순히 고통을 상쇄하는 것이 아니라 고통을 훨씬 능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고통의 없음은 좋기는 해도 매우 좋지는 않지만 쾌락의 없음은 매우 좋기 때문이다.

인간은 고통이 쾌락에 의해 상쇄되지 않아 고통이 쾌락을 능가하는 시점이 있기 때문이다.

고통의 없음은 매우 좋지만 쾌락의 없음은 나쁘기는 해도 매우 나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rare-Ass'creed

0 XDK (+0)

  1.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