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m 해볼까 2
빨더텅 해볼까 생각했는데 이게 있었네 김승리 ebs만 듣고 있는데 ㄱㅊ...?
-
기분대로살아야지 0
계획너무싫어
-
사주세요
-
피자/순살 치킨 무조건 먹는다.
-
vol1~vol3 각각 본책/해설편/복습편 일케 총 9권 있음 2026
-
그냥 시체처럼 누워서 폰질하는게 진짜 휴식인거같음 사람 만나는거 너무 기빨림
-
웃다가울다가하니
-
수특에 관세지문 있음 한번 읽어보시길
-
인싸들 왜 여깃음
-
지구과학 내신 공부하는데 지방에 살아서 문제 많이 필요해서 아폴로 n제 풀까 하는데...
-
ㅇㅈ 19
사진도 없는데 왜 클릭했어요...?
-
샹기부 자체가 단순 사실 나열이라 걍 사람이 써도 ai같음
-
미친 배그 0
뭐 충돌해서 튕기지않나 배율이 하나도 안나오지않나 전판엔 mp5 6배달고 2킬했는데 ㅅㅂ
-
괜찮겠지 잘자요 다들~
-
손 닿을수도안을후도없는걸
-
대체 무슨 매력이 있는걸까
-
고3 3모 0
3모 보다 수능에서 국수 등급 올라간 사람 잇음..? 3모 치고 난뒤부터 멘탈 탈탈..
기초체력검사차원에서는 괜찮은거 같은데
공부로써의 의미가 없는것같다는 얘기임
계산기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복잡한 계산을 하는 능력이 대체 왜 필요함
수능미적 난문에 계산으로 때려박는 문항은 의외로 별로 없지 않나?
5년간 수능 30번 생각하면
23 정도 빼면 추론형 성격이 더 강한거 같은데
아 이건 과탐에 더 중점을 둔 얘기였음
근데 수학이 과탐만큼 차력쇼를 시키지는 않긴 해도 그정도까지의 추론이 대학에서 필요한지 잘 모르겠음
차라리 범위를 늘리는게 낫지
그냥 영재고 애들보고 현타와서 그럼
수능으로 3배수 뽑고
본고사로 2차 하는게 맞긴함
오로지 변별해야되니까 그 목적임
ㄹㅇ
교육적 의미가 없음

특히화12 생12 퍼즐 문제들이 많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교수님 왈: 이래서 학생들이 과학에 흥미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