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빛 나 리 · 1320068 · 04/02 00:44 · MS 2024
  • bfatmatkdhldkls · 1353272 · 04/02 00:44 · MS 2024

  • 오르비안들어올거야 · 1136548 · 04/02 00:45 · MS 2022

    팩트추
    공감능력 테스트라는데 그냥 시험지에 사이코패스 테스트나 넣죠?

  • 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 1334430 · 04/02 00:45 · MS 2024

    ㄹㅇㅋㅋ

  • 경성약 27학번 · 1319936 · 04/02 00:45 · MS 2024

    25수능 문학 4틀 울면서 개추
  • 탁극탁 · 1322566 · 04/02 00:45 · MS 2024

    리트 피셋은 "국어 시험"이 아니니까요

  • 탁극탁 · 1322566 · 04/02 00:46 · MS 2024

    특히 리트는 문법 문학이 있었다가 빠졌는데 빠진 핵심 근거는 '이게 법학 적성이랑 뭔 상관이냐'였습니다

    같은 이유로 법학 관련 지문이나 상황도 대폭 늘어났고요

  • 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 1334430 · 04/02 00:47 · MS 2024

    문학이 대학수학능력이랑 무슨 관련이 있는지 모르겠네요

  • 탁극탁 · 1322566 · 04/02 00:51 · MS 2024

    왜 관련이 없죠?


    대학 가서 문학 안 본다고 답하신다면 대학 가면 수학 아예 볼 일 없는 어문계열 학생들 웁니다..

  • 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 1334430 · 04/02 00:58 · MS 2024

    그 논지대로면 어문계열도 과학적 방법론이나 전산에의 응용을 도입한다면 수학 필요합니다
    언어학의 최신 패러다임은 전산언어학이고요

  • 탁극탁 · 1322566 · 04/02 01:01 · MS 2024

    아뇨. 학부 수준에서 전산언어학에 필요해서 수학을 봐야 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언어학과라면 조금 다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일반적인 어문계열(국문, 독문, 영문 등)에 대해서는 단언할 수 있습니다.

  • 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 1334430 · 04/02 01:01 · MS 2024

    예 언어학과쪽 말한것입니다

  • 탁극탁 · 1322566 · 04/02 01:03 · MS 2024 (수정됨)

    우리나라 언어학과 전국에 5곳 있습니다. 애초에 전 어문계열 얘기했고 글쓴 분도 "그 논지대로면 어문계열도"라고 하셨네요.

    언어학과는 좀 다를지도 모르겠다는 단서를 단 것도 제가 다녔던 연대에 언어학과가 없어 객관적으로 아는 바가 적어서 첨언한 것이지, 언어학과는 학부 수준에서 수학이 필요하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아마 많이 높은 확률로 5개 학교 언어학과 재학생들도 학부 재학 중에 수학을 전공을 위해 접하지 않을 겁니다.

    전산언어학 때문에 언어학과에 수학이 필요하다는 말은,
    기호논리학 때문에 철학과에 수학이 필요하다는 말과 거의 같다고 생각됩니다.
    허나 철학과 학부 전필 수준에서는 수학 안 배워도 따라가는 데 아무런 무리가 없고 철학도들도 수학 공부를 따로 병행하지 않습니다. 수리논리와 집합론 제대로 파는 사람은.. 수학과까지 가도 국내 학계에 매우 적고요.

  • 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 1334430 · 04/02 00:46 · MS 2024

    수능국어도 국어시험 아니었어요
    교사들이 자꾸 태클걸어서 언어영역에서 국어영역으로 바뀐거지
    본질이자 가르칠 가치가 있는건 문해력의 향상입니다

  • 탁극탁 · 1322566 · 04/02 00:48 · MS 2024

    명분으로만 따지면 그렇겠지만 오히려 언어영역 시절 문학이 훨씬... 답답한 게 많았죠. 내신식 문학 문제유형 대부분이 90~00년대 수능식입니다. 반면 지금은 매우 정교하게 출제되고 있고요.

    그리고 문학적 독해와 사고력은 문해력에 포함 안 된다고 생각하세요?

  • 의대마운틴 오이카와상 점핑 · 1334430 · 04/02 00:49 · MS 2024

    네 포함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 탁극탁 · 1322566 · 04/02 00:52 · MS 2024 (수정됨)

    ...이건 어디서부터 짚어서 반박을 해드려야 할지 잘 모르겠네요

    언어 습득과 구사에 있어 가장 높은 수준의 형태가 문학임은 외국어 하나 빡세게 공부해보신 분이라면 많이들 동의할 거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