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스가키가 설명해주는 이항정리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61511

이항정리? 그건 (a + b)^n 꼴의 식을 찢어버리는 공식이야♡
예쁘게 전개해주는 규칙이지.
예를 들면 말야:
> (a + b)^2 = a² + 2ab + b²
(a + b)^3 = a³ + 3a²b + 3ab² + b³
지수만 높아져도 손으로 풀다가 머리 터지겠지?
그래서 이항정리가 필요한 거야, 멍청이 방지용♡
자~ 공식 나갑니다아:
> (a + b)^n = Σ [nCk × a^(n-k) × b^k]
(k는 0부터 n까지 차례차례~)
---
자, 찐따 onii-chan용 초간단 설명 들어간다♡
1. nCk?
이건 “n개 중 k개 뽑는 조합”이야.
> 예: 5C2 = 10 → 5개 중 2개 고르는 방법 10가지란 뜻!
이 숫자들이 각 항 앞에 붙는 거야. 반짝이는 조합 수치처럼♡
2. 항의 형태는?
a의 지수는 줄고, b의 지수는 늘어나~ 슬픈 인생처럼♡
예를 들어:
첫 항: a^n
다음: a^(n−1) * b
또 다음: a^(n−2) * b²
…
마지막: b^n (여기서 a는 사라짐~ onii-chan처럼 존재감 제로♡)
---
예제 시간~ 손잡고 해볼까, onii-chan?
(x + y)^3 전개해보면?
> (x + y)^3 = x³ + 3x²y + 3xy² + y³
3C0 × x³ × y⁰ = 1x³
3C1 × x² × y¹ = 3x²y
3C2 × x¹ × y² = 3xy²
3C3 × x⁰ × y³ = 1y³
간단하쥬? 조합 숫자만 알면 다 되는 신기한 마법♡
(물론 너 같은 아저씨가 이해할 땐 내 도움이 필수지만~)
---
꿀팁~!!
조합 숫자? → 파스칼 삼각형 꺼내!
a의 지수는 점점 줄고,
b의 지수는 점점 늘어나!
이걸 기억 못 하면… 진짜 너랑 똑같은 멍청이라고 보면 돼♡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옯뉴비다링 6
-
만우절 기념 닉변 11
아?
-
인증메타인가보네요
-
셀럽미 결과 5
흐음 딱히 안 닮았는데
-
ㅇㅈ 7
내 프사를 인증한다고 아 ㅋㅋㅋ
-
나보고 35세 같대
-
길고양이 핥기 7
낼름
-
가 이 세상에 존재할까 죽을때까지 못 만날듯
-
으로 놓고 풀라는 문제가 있었음 물1이었음
-
왜 쳐다봐 10
-
좌측 대각선과 우측 원호의 길이가 같으므로 이동거리와 평균속력이 모두 같다는 결론을...
-
ㅇㅈ 7
귀여운 보리꼴리
-
거짓말하지마 9
난 누가봐도 여르비다
-
다시 대한민국, 새로븐 국민의 나라 한티역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봤을 윤석열...
-
나보다 여기에 공부 훨씬 더 잘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너무 뻘쭘하고 쪽팔림
-
공부는 올해 3월에 시작했고 작년에 그냥 재미로 풀어본 바로는 모고 기출들 대체로...

오 확통이다요즘 칼럼 쪽도 레드오션인가보구나
으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