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에는 목적격조사로 肹도 쓰였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42839
乙[을]이 흔히 거론되긴 하지만 肹도 쓰였으며, '을'로 보는 학자도 있고 '흘'로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참고로 주격으로 只(익?)이라는 조사도 쓰였다고 추정되기도 합니다. 물론 '이'는 존재했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내일 먹을 거 2 1
아침 - 삼각 김밥 1,200원 점심 - 우동 6,000원 저녁 - steak...
-
시계 자랑 한번만 할려고 왔습니다 10 0
시계 이뻐영
-
요즘 성욕이 급격하게 줄어듦 8 2
써보지도 못하고 떠나보냈구나
-
으흐흣 *혹시 문제가 되면 삭제하겠습니다!
-
빠트려서 재업
-
저격해요 5 2
저... 격해요
-
진짜 ㅇㅈ마렵네 1 1
진짜 ㅇㅈ마렵네
-
비갤에 저 언급된적 있음? 5 1
1월 이후 안들어가봐서 모름
-
이 시간엔 라면이랑 햄버거 말곤 12 2
선택지가 없는데 라면 먹을거면 스벅에서 음료랑 디저트도 픽업해올예정 머먹을까요
-
심찬우 수강생들은 진짜 보기 안보고 문학 읽음? 2 0
궁금쓰
-
저격 먹은거 억울함 5 1
암튼그럼
-
프사 9 1
바꿨는데 어때요






저거 어떻게 읽우요??
을 또는 흘입니다. 고대국어에서 목적격조사는 현대, 중세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