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국어에는 목적격조사로 肹도 쓰였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42839
乙[을]이 흔히 거론되긴 하지만 肹도 쓰였으며, '을'로 보는 학자도 있고 '흘'로 보는 학자도 있습니다.
참고로 주격으로 只(익?)이라는 조사도 쓰였다고 추정되기도 합니다. 물론 '이'는 존재했고요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모의고사가 8절 사이즈 아님? 6 2
내일 스승의날이라 롤링페이퍼 쓰려고 8절지 샀는데 킬캠 봉투에 안 들어가네;;
-
오르비 스승의 날 선물 ㅇㅈ 12 35
스승의 날을 맞아 출강 학원인 오르비에서 센스있는 선물을 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더...
-
스승의날 이벤트 괜춘함 2 0
https://www.edupang.com/community/list/116에듀팡에서...
-
https://www.edupang.com/community/list/116선생님께...
-
과외한지 2주됐는데 스승의 날에 뭐 드려야 적당할까요 1 0
텀블러로 하려고했는데 너무 부담스러워하실것같아요..





저거 어떻게 읽우요??
을 또는 흘입니다. 고대국어에서 목적격조사는 현대, 중세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