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기출은 많이 볼수록 좋을까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36194
수험생들이 가장 많이,
그리고 여러 번 푸는 게 기출이죠.
기출은 과연 많이 볼수록 좋을까요?
이론상 기출을 보지 않고
사설 문제들만 보면서 공부해도
과목 만점을 받는 게 가능합니다.
기출 무용론이라는 말도 있습니다.
기출을 계속 반복해서 풀었는데도
실력이 크게 늘지 않은 사람들도 있다는 거죠.
제가 어떤 선생님께 들은 바에 의하면
예전 국어학원 선생님들께서는
학생들에게 줄 비기출 문제들이 별로 없어서
문제를 더 풀고 싶다는 학생이 있으면
기출을 계속 반복해서 풀라고 하셨답니다.
여기서 기출 회독이라는 말이 유래했다고 해요.
하지만 고정 100이 아닌 수험생이라면,
기출은 많이 보는 게 좋습니다.
이유를 설명해 볼게요.
매번 다른 문제를 풀기만 하면
깊이 있는 학습이 어려워지기에
문제를 여러 번 푸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왕 여러 번 풀 거라면
퀄리티 좋은 문제를 푸는 게 좋겠죠.
그래서 기출을 회독하는 거예요.
기출보다 더 평가원스럽고
퀄리티도 더 좋은 문제들이 있다면
그걸 회독해도 돼요.
하지만 가장 평가원스러운 문제는
아무래도 기출이라고 봐야 되겠죠?
아무리 요즘 기출이 사설스러워졌다고 해도요.
그러면 기출은 얼마나 회독해야 할까요?
횟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얻어갈 만한 것이 다 없어질 때까지는 봐야죠.
기출을 여러 번 분석하면
이전에는 보이지 않았던 것들도 보이잖아요.
한 번에 다 얻어갈 수 없다면 더 봐야죠.
다만 기출을 계속 보는 것만으로 실력이 늘지는 않죠.
기출을 회독해서 무얼 얻어가야 하는지 모르겠다면
강의나 질의응답 또는 과외를 활용하면 돼요.
기출만 많이 보라는 건 아니에요.
다른 문제들도 많이 풀어야겠죠.
하지만 기출을 많이 푸는 건 여전히 중요합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난 그런거말고 학문성교를 원하는데;;
-
누가 닉네임 2
정시일베로 바꿔주면 좋겠다..
-
넘 졸리네 2
학교에서 잘 잔 줄 알앗는데 왜 이러지 자야겟다
-
s오비탈이 임신하면 어느 방향으로 커짐?
-
뉴욕 시대인재 전액장학금으로 들어갔습니다 일생일대의 꿈인 존홉의에 들어가고자 합니다 응원부탁합니다
-
그치만 오르비에는 비추 버튼이 업서
-
못 풀겟다
-
딸기아까워
-
나는 내가 0
빛나는 별인 줄 알앗어요
-
언미물지55445 맞고 확통만점 사탐11한테 선택과목 부심부리면서 갈구는건...
-
맞음
-
원래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맞다면 어떡하죠 저 무서움;;
-
논쟁하는거 개싫어하는데 밀리의서재 결제하면 봐야징
-
트러스 풀었다 4
수1 1회 수2 1회 미적 1-2회 일단 어삼쉬사느낌은 아닌거같은데.. 잘 모르겠음...
-
수학은 아예 포기했던 수포자라 신발끈 1강부터 이해안가서 ㅎ 50일 수학 반정도...
-
もうすぐ春が来る 3
너를 만난 봄이 온다
-
qna를 통한 지속적인 재촉과 수강후기 테러로 인해 스타팅 블록 미적분을 폐강하기로 결정했습니다.

감사합니다!!기출 10회독으로 수능 만점을 쟁취하자

오오 10회독이라니기출 마스터!!
사설 폼이 올라온이상 사설을 섞어가도 무방...

요즘 사설도 좋은 문제 많죠~영어도 기출 계속 봐야 할까요?

기출 공부가 부족하다고 느끼시는 것만 아니라면영어는 기출보다는 다양한 문제들을 풀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기출 공부는 몇 년도부터가 베스트일까요? 현 평가원 느낌이랑 과거기출은 많이 다를 것 같아서요

최근 5개년 정도는 반복해서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요과거 기출은 선생님께서 풀라고 추천해 주시는 문제나 기출문제집에 있는 것만 풀어도 괜찮다고 생각해요
기출분석을 정확히 어떻게 하는 지 헷갈리는 데 많이 풀어보면 저절로 체득이 되나요..? 아님 몇 개년 시험지 다 꺼내놓고 문제별 문항 싹 다 비교해서 정리노트 만들어볼까요? 평가원에서 자주 사용하는 논리구조 분석이라든지..?!
아 그리고 독재학원 멘토가 24, 25년도 기출은 아껴두라는데... 나중 가면 기출 풀 게 없어진대요 다 외워버려서.. 이 말이 맞는건가요?
아뇨 사실 기출을 보는거는 말 그대로 분석에 의의가 있는 거라서요.. 24 25에 큰 변화가 있었으니 기출을 실력확인용으로 쓰는 것보다는 분석을 목적으로 쓰는 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아쉽지만 기출을 푼다고 저절로 체득이 되지는 않아요 ㅠㅠ
평가원이 자주 사용하는 논리구조를 분석해 보신다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해요
기출 분석을 혼자서 하기 어려우면 강의를 참고하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기출은 아끼지 말고 계속 푸시는 걸 추천드려요
나중 가면 옛날 기출이나 사설 문제를 풀면 되고 다 외워서 풀 기출이 없는 게 차라리 나아요
강의같은건 기출을 어떻게 읽어야 하는 지에 관한 강의 말씀이신가요?? ex)김승리 올오카
그렇죠~ 같은 지문이라도 실력이 좋을수록 더 잘 읽으니까요
강의를 통해 독해하는 법을 배우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