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상경계 관련 질문 받습니다
게시글 주소: https://orbi.kr/00072634726
상경계 학생이고
금융 연합동아리 회장, 금융권 컨설팅 하는 분 옆에서 같이 일해봐서
은행, 카드, 부동산, 증권 쪽 전부 어느 정도 압니다
저는 다른 길로 틀었지만..ㅎ 그럼에도 그 분야가 궁금함 분들께 조언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0 XDK (+0)
유익한 글을 읽었다면 작성자에게 XDK를 선물하세요.
-
표본분석 중인데 1
이거 진학사 경쟁자들 점수 백분위로 나오는 거 표준점수로 어떻게 바꿔서 볼 수...
-
원점수 기준으로 화작 만점과 비교했을때 언매 몇점까지가 표점이 더 높았는지 아시는...
-
언매틀<공통틀 최저는 앵간하면 맞추고 표점차는 안 클거 같긴 한데... 언매 0틀이...
-
이번 수능 표점 350점 정도인데 이정도면 어느 대학 예상하시나여ㅜㅜㅜ 진짜 이번...
-
이번 9평에서 화작 2개(-5점) 틀렸는데 화작 4점이 공통 3점정도 되나요?
-
수능 과탐(만점기준) 표준점수 차이 유의미한가요?? 8
작년 수능 50점 만점기준으로 물리1 64 화1 68 생1 71 지1 72 이렇게...
-
백분위가 유리한지 표점이 유리한지 어케 아나요?
-
백분위 90 표점 125 맞나요?
-
모의고사 성적표를 잃어버렸는데.. 이런저런 진단을 해보자니 표준점수로 입력하라네요....
-
대략 수능 전과목에서 몇 점정도 나가면 연고쓰겠다 싶으세요?? 과는 상경+영문,중문...
-
입잘못 수험생입니다.. 궁금한게 있는데요.. 보통 배치표의 표준점수는 최초합을...
-
제곧내입니다. 생2 44 표준점수랑 백분위 아시는 분ㅜㅜ?? (44점 받으신 분들중...
-
지방이라 수시로 가야만 하는 현역이과입니다. 종로학원같은곳에서 나온 두꺼운...
-
이번에 완전히 엎었는데...ㄷㄷ 지방국립은 생각중인데, 경기 쪽 아주나 인하는...
-
이과 농어촌 표준점수 450으로 갈수 있는 대학좀 알려주세요. 0
이과 탐구 다합쳐서 450 나왔는데 어디갈수있을 까요. ㅠㅠㅠ갈수 있을만한 인서울...
어디 학교이신가요?
곤란하시면 라인만 밝혀주세여
ㅈㄱㅇㅅ입니다
술 못 마시면 불이익이 크겠죠
증권사는 좀 그렇습니더. 면접 때 술 잘마시는 지 여부 물어보곤 합니다
그렇군뇨
금융권 취업시 워라밸을 따진다면 금공이 베스트인가요? 아님 증권사도 워라밸 괜찮나요?
증권사는 워라벨은.... 아닙니다
농협중앙회나 금공이 베스트이지만 금공은 순환 근무 고려를 하셔야 합니다
술 잘마셔야 한다는 기준이 뭔가요
남자 3병이상 마시면 괜찮은가요
혹시 술게임도 잘해야하나요?
ㅋㅋㅋㅋ 술을 잘마신다기 보다는 술자리에서 강해야 합니다
술게임은 ... 늙은 아저씨들은 일절 안합니다 대신 말은 잘해야겠죠
포괄적인 질문이지만 부동산 금융 쪽에서 요구되는 인재상이나 전공지식이 있을까요? 보통 부동산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전공이 있는 학교가 거의 없는데 부동산학회를 제외하면 보통 어떻게 그쪽 직무를 준비해 나가는지 궁금합니다
1. 공인중개사
2. 학회
3. 그리고 부동산 관련 갈연. 금융연수원 강의를 듣는 것도 추천됩니다
그리고 부동산 쪽은 말씀 하신대로 처음부터 관련 개념을 깊게 공부하기는 힘듭니다. 따라서 학회가 주로 선호되는 건데 그쪽에서 쌓은 포트폴리오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학회나 동아리 외에는... 저도 크게 떠오르는 거는 없네요. 그만큼 증권가가 인맥이 중요하다는 거겠죠..?
만약 단순 pf가 아니라 부동산 ib로 가고 싶다면 한 번에 가는 거는 힘들고
1. 부동산 관련 pf 직무 수행
2. 저축은행 등 낮은 등급의 금융권에서 ib로 근무 후 이직하기가 좋은 루트인 것 같습니다.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한가지만 더 질문 드리면 혹시 그런 부동산 학회 혹은 경영 학회를 들어가려면 필요한 스펙이나 역량이 뭐가 있을까요....? 비상경 전공이라는 가정 하에서 준비할 수 있는게 뭘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미래 한의사 분께서 직접 그 분야를 뛰어들 거는 아니신 거 같고, 아마 주변 지인의 경우거나 단순한 호기심 때문이신가 보네요!! ㅎㅎ 부동산 학회를 가려면 일단 가장 중요한 것은 학벌입니다. 학벌이 인서울 이상, 그것도 금융 인프라가 어느정도 갖춘 학교를 다녀야 하고, 교내 동아리 중 금융 관련 동아리를 가게 되면 그러한 학회에서 활동하는 사람이 있을 겁니다. 학회 같은 경우에는 솔직히 면접으로 결정이 되기 때문에 그런 인맥이 상당히 필요합니다. (사실 좀 불합리한 거 같은데 인생이 그렇죠 뭐.) 그리고 학회를 들어가는데 이점이 되는 부분은 1. 당연하겠지만 부동산 지식 ( 제가 인맥이 중요하다고 한 이유가 이러한 부동산 지식을 면접에서 물을 때 내부자 정보가 있으면 어떤 식으로 질문이 나오는지 알 수 있죠) 2. 관련 공모전 3. 관련 과목 수강 4. 모의 레포트 작성 경험 5. 만약 된다면 체험형 인턴이라도..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원래 수험생때부터 그쪽 분야에 진출을 희망했고 지금도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아서 계속 그쪽 분야에 미련이 남은 상태인데 지금 제 상황에서는 학회 쪽보다는 자격증 공부가 현실적인거 같네요....경험을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음... 정말 다이렉트로 부동산 쪽으로 성공하는 법은 아무래도 감정평가사 자격증을 얻는 겁니다.
아시겠지만 회계사 급 자격증이고 붙으면 증권가에서 확실한 페이를 받습니다 건물 하나 잘 잡고 수억씩 버는 경우가 많기는 합니다.
다만 하방은 낮고 상방은 어마어마하죠.. 그리고 감평사 따면 학회든 동아리든 인턴이든 다 할 필요 없이 바로 취직 되고 거기서 경력 쌓으면 부동산 ib 혹은 pf 분야로 진출합니다
만약 정말로 관심 있으시다면 제가 주변 분들에게 여쭙고 방향 설정을 도와드리겠지만.. 한의사라는 길이 더 좋아 보이는 것은 부정하지는 못하겠습니다 ㅎㅎ